순우리말: 두 판 사이의 차이

(하위문서 쓰기 준비.)
잔글 (→‎만들어진 우리말: 문서명은 더 깔끔하게 고침)
4번째 줄: 4번째 줄:


==만들어진 우리말==
==만들어진 우리말==
<div class="rellink relarticle mainarticle">[[파일:Crystal Clear app xmag.svg|16px|링크=|<nowiki />]] 이 조각은 [[순우리말/들온말 바꾸기]] 글의 한 조각입니다.</div>
<div class="rellink relarticle mainarticle">[[파일:Crystal Clear app xmag.svg|16px|링크=|<nowiki />]] 이 조각은 [[순우리말/순화|순우리말/들온말 바꾸기]] 글의 한 조각입니다.</div>


[[국립국어원|우리말을 맡은 곳]]의 일 가운데는 들온말을 우리말로 바꾸려는 것이 있다. 여기서 사람이 만드는 우리말이 있다. 물론 거기에는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져서 쓰이는 때도 있지만, 몇몇 말은 [[망했어요|끝장났어요]]로 알려지거나 아니면 잘못 만들어진 일도 있다. [[순우리말/들온말 바꾸기]] 글을 보면 알 수 있다.
[[국립국어원|우리말을 맡은 곳]]의 일 가운데는 들온말을 우리말로 바꾸려는 것이 있다. 여기서 사람이 만드는 우리말이 있다. 물론 거기에는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져서 쓰이는 때도 있지만, 몇몇 말은 [[망했어요|끝장났어요]]로 알려지거나 아니면 잘못 만들어진 일도 있다. [[순우리말/들온말 바꾸기]] 글을 보면 알 수 있다.


==거짓 우리말==
==거짓 우리말==

2020년 4월 2일 (목) 10:16 판

이 읽을거리는 말하지 않는 다짐으로서 우리말로 쓰였습니다. 너의 눈이 잘못 된 게 아닙니다. 이 글의 다짐을 잘 알아 보세요.

추린 글

우리말의 낱말들 가운데 참한 우리말만을 가리키며, 이를테면 들온말이나 하늬이웃글, 다른 나라 말이 아닌 것을 뜻한다. 다만 우리말에서는 우리말만 잘 쓰인다고 보기가 어려운데, 이는 오래 앞서부터 하늬이웃글을 아주 많이 빌려쓰다보니 많은 낱말들에 하늬이웃글이거나 그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니혼의 아랫것으로[1]으로 들어간 때 샛녘것의 낱말들이 우리글에 뿌리박은 것도 제법 많으며, 그 뒤에는 아메리카의 낱말도 많이 받아들이면서 잉글랜드 낱말을 그대로 쓰는 때도 많아지면서 우리말의 쓰임이 반드시 좋다고만 할 수가 없게 되었다. 다만 이름을 지을 때는 우리말만을 쓰는 때도 꽤 있다.

만들어진 우리말

우리말을 맡은 곳의 일 가운데는 들온말을 우리말로 바꾸려는 것이 있다. 여기서 사람이 만드는 우리말이 있다. 물론 거기에는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져서 쓰이는 때도 있지만, 몇몇 말은 끝장났어요로 알려지거나 아니면 잘못 만들어진 일도 있다. 순우리말/들온말 바꾸기 글을 보면 알 수 있다.

거짓 우리말

본디 우리말이 아니었던 우리말을 뜻한다. 굳이 뜻을 따지면 우리말을 맡은 곳의 사람들이 만든 우리말도 만들어진 것으로서 우리말이기는 하다. 그쪽은 그래도 다른 나라 말, 들온말의 뜻을 살린다는 뜻으로 만든 우리말이다. 말할 것도 없이 그 뜻에 맞는지는 조금 다른 생각거리이긴 하다. 아무튼 그 밖의 우리말은 참인지 알 수가 없는 우리말인 때가 많다. 여러 가지를 보면 많은 말이 더한 말이거나 새로 말을 만든 다음 퍼뜨린 말이 많다.

보기

  • 아라 : 바다의 우리말로 알려진 낱말이나, 처음부터 '바다'가 우리말이다. 오히려 오랜 때에 바다를 이두로 옮기려는 것도 있어서 바다가 제대로 된 우리말이라 할 수 있다.
  • 씨밀레 : 벗이라는 낱말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가락 배움에서 쓰이는 말(simile)이다. 앞쪽과 같이 켜라는 뜻이다.
  • 수피아 : 숲의 하느님이나 도깨비라는 뜻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이 낱말의 난 곳은 광주수피아아낙윗글집으로 그곳의 잉글랜드 말 이름을 보면 '수피아'를 'Speer'로 적고 있다. 본디 잉글랜드의 낱말을 우리말로 옮겨 쓴 것.
  • 아띠 : 벗이나 동무[2]의 우리말로 잘못 알려진 낱말인데, 누가 만들었는 지도 모르는 낱말이다.

알쏭달쏭한 우리말

  • 가람 : 강(江)을 뜻하는 우리말로 알려져 있지만 '강'의 옛 소리가 가람이라는 얘기도 있어 딱 맞는 우리말로 여기지는 못하고 있다.

우리말인지 아닌지 알쏭달쏭한 것들

각주

  1. 고스란한 들온말에는 우리말의 말하지 않는 다짐을 하지 않았다. 우리말의 다짐에서 있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2. 동무도 우리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