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6호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인천국제공항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공항}} 공항철도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공항}} 공항철도))
153번째 줄: 153번째 줄:
| style="text-align: right;" | 16.5
| style="text-align: right;" | 16.5
| [[공덕역|공덕]]
| [[공덕역|공덕]]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5}}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br />[[용산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공항}} [[인천국제공항선|공항철도]]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5}}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공항}} [[인천국제공항선|공항철도]]<br />[[용산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6}}; color: white;" | 627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6}}; color: white;" | 627

2021년 2월 14일 (일) 20:50 판

수도권 전철 노선
1 2 3 4 5 6 7 8 9 공항 인천1 인천2
경의중앙 경춘 수인분당 신분당 경강 서해 우이 신림 의정부 용인 김포
{{{이름}}}
나라 대한민국 대한민국
종류 도시철도(서울), 운행 계통(수도권 전철)
구간 응암 ~ 신내 (35.1 km[1], 39개)
소유자 서울특별시
운영자 서울교통공사
개통일 2000년 8월 7일
차량기지 신내, 도봉차량사업소(중정비)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응암 ~ 봉화산)
1 (응암 ~ 독바위 ~ 응암, 봉화산 ~ 신내)
전기 가공전차선 직류 1,500 V
신호 ATC-ATO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역중랑구 봉화산역 사이를 잇는 서울 지하철 노선. 노선 색깔은 갈색으로, 2기 지하철 중 가장 마지막으로 개통한 노선이다.

역사

계획

초기에는 장충단로를 경유해 동대문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동대입구역으로 지나갈 예정이었다. 그러나 공사 난이도의 상승으로 인해 현재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이 결과 사거리에서 조금 벗어나 있던 2호선 신당역은 6호선과 막장환승이 되어 버렸고, 노원역을 능가할 희대의 막장환승역이 될 뻔했던 역이 있었으니 바로 동묘앞역. 원래는 6호선 동대문역으로 하여 1-4-6호선 환승역을 만들려고 했으나 이렇게 되면 엄청난 막장환승이 탄생하기 때문에 결국 1호선 동묘앞역이 2005년 12월 21일에 신설되면서 4호선 대신 1호선과 환승할 수 있게 되었다.[6]

그리고 수색~효창 구간은 용산선을 그대로 따라가는 선형으로 지으려 했다가 인천공항철도와 경의선 전철화 계획에 중복된다는 점 및 마포구 일대 전철 음영지역 해소 등을 목적으로 약간 남쪽으로 선회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경춘선을 전철화하면서 현재의 선형으로 이설할 계획을 세울 때 직결 운행을 하려는 계획이 건설 초에 있었지만 통행 방향, 전동차 규격, 전력 공급 방식의 차이 등으로 무산된 바 있다.

험난했던 개통의 역사

2000년 8월 7일 응암역~상월곡역의 4.2 km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2], 2000년 12월 15일에는 응암역에서 상월곡역까지 구간이 완전 개통하기에 이르렀다.[3] 이에 서울도시철도공사는 지하철 6호선 완전 개통을 기념해서 2000년 12월 15일 정오부터 17일 자정까지 6호선 역에서 무료 승차권을 나눠주는 등[7] 6호선 완전 개통을 자축하였다. 이로써 서울 강북 서부와 동부 간의 교통망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줄 알았는데…….

시공사 부도로 인해 이태원역, 한강진역, 버티고개역, 약수역은 당분간 무정차 통과를 할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3] 이 구간은 2001년 3월 9일에서야 개통되어 정상적인 지하철 역 이용이 가능해졌다.[4] 거기에 신당역은 6호선 완전 개통 후에도 한동안 2호선과 환승이 되지 않았고, 2001년 8월 3일에 들어서야 환승통로가 개통되어 환승이 가능해졌으며[5], 끝으로, 서울 지하철 1호선상에 있는 동묘앞역은 6호선 역은 응암역~상월곡역 구간이 개통되었을 때 이미 운영을 시작한 상태이나, 1호선 역은 개통되지 않아 한 동안 환승이 불가능했었다가, 2005년 12월 21일에 1호선 역을 개통함으로써 환승이 가능해졌다. 이 역을 공사하는 데 무려 645억원이 투입되었다고 하며, 개통 때부터 스크린도어를 설치하여 승객들의 안전에 신경을 쓴 것이 특징이다.[8]

특징

응암순환

다른 지하철 노선과는 다르게 응암역역촌역독바위역구산역→응암역으로 돌아오는 응암순환 구간이 있다. 이 구간은 편도 방향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6호선을 타고 역방향으로 갈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 이 구간은 다음 아고라에 올라온 버뮤다 응암지대를 없애주세요라는 청원글에서 버뮤다 응암지대는 뫼비우스의 띠와 같은 곳이며, 응암역에서 지하철을 타고 10분 지났는데 어디쯤 왔는지 확인해 보니 응암역이었더라는 내용 때문에 네티즌들에게 큰 웃음을 주었고, 이말년 서유기에서도 이 장면을 패러디로 사용하기도 했다.[9]

운행차량

그 외

5호선과 마찬가지로 지하로만 다니는 노선이지만, 2019년 12월 21일, 신내역이 신내차량기지 내 완공되어 지상역을 갖춘 노선이 되었다.

한강 이남으로만 다니는 서울 지하철 8호선9호선과는 달리 한강 이북으로만 다니는 노선이기도 하다. 그나마 8호선은 별내선이 신내역까지 연장된다면 6호선과 환승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겠지만, 9호선은 고덕역 이북으로는 연장계획이 없어서 6호선과의 환승 자체가 불투명한 실정이다.

2010년 말부터 출근 시간대 한정으로 새절역 착발 열차가 1편성 신설되었다. 신내차량기지밖에 없는 상황에 출근시간 중에 반대편(은평구, 마포구 쪽) 배차간격 조절이 어려웠기 때문이라고 한다.

급행 운영 주장

2016년 3월 10일에는 6호선에 급행열차를 놓음으로써 기존 응암역에서 봉화산까지 69분이었던 운행 소요시간을 53분으로 줄이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결정하였다.[10] 하지만 그 이후로 후속 언론 보도가 없었고,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홈페이지에 6호선 급행 시간표가 기재되어 있지 않는 걸로 봐선, 이 계획은 어른의 사정으로 흐지부지 된 것으로 보인다.[11]

역 목록

번호 km 역명 연계 노선 소재지
610 0.0 응암 서울특별시 은평구
611 1.1 역촌
612 1.9 불광 3호선
613 2.8 독바위
614 4.2 연신내 3호선
615 5.1 구산
616 7.5 새절
617 8.4 증산
618 9.5 디지털미디어시티 경의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619 10.3 월드컵경기장 마포구
620 11.1 마포구청
621 12.1 망원
622 12.9 합정 2호선
623 13.7 상수
624 14.6 광흥창
625 15.6 대흥
626 16.5 공덕 5호선, 공항철도
용산선: 경의·중앙선
627 17.4 효창공원앞 용산선: 경의·중앙선 용산구
628 18.6 삼각지 4호선
629 19.7 녹사평
630 20.5 이태원
631 21.5 한강진
632 22.5 버티고개 중구
633 23.2 약수 3호선
634 24.0 청구 5호선
635 24.7 신당 2호선
636 25.3 동묘앞 지하철 1호선: 1호선 종로구
637 26.2 창신
638 27.0 보문 우이신설선 성북구
639 27.9 안암
640 28.7 고려대 동북선
641 30.1 월곡
642 30.9 상월곡
643 31.7 돌곶이
644 32.7 석계 경원선: 1호선 노원구
645 33.5 태릉입구 7호선
646 34.4 화랑대 7호선 연결선 (연결)
647 35.1 봉화산 중랑구
648 36.4 신내 경춘선: 경춘선

각주

틀:대한민국의 광역전철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