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Sternradio/힘의 균형

< 사용자:Sternradio
Sternradio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5월 20일 (수) 21:45 판

틀:학술 관련 정보

제1차 세계대전의 원흉[3] 국제정치학, 역사학, 외교에서 주로 사용되는 표현으로, 말 그대로 ‘힘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황’을 가리킨다. 사실 그 정도는 말 안 해도 알 테니 좀 더 엄밀하게 말하자면, 힘의 균형은 보통 다음의 세 가지 중 하나를 의미한다.[1]

  1. 국제체제상 힘의 분배 상태 (the distribution of power in the international system)
  2. 어느 한 국가가 우세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세의 균형을 조절하는 정책 (a policy of balancing foreign powers to prevent one state from gaining a preponderance of power)
  3. 19세기 유럽에 존재했던, 군사력의 다극적 균형 상태 (the balances of military power that existed in the multipolar system of Europe in the nineteenth century)

일반적인 이미지로는 '힘의 균형'으로 인한 평화 상태를 떠올리는 듯하다. 후술하겠지만 이에 모두가 동의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심지어 이와 정반대되는 이론도 있다(...).

개요

국제정치학 용어 중 대중에게도 많이 친숙한 표현일 테지만, 사실 그렇게 이쁨받는 표현은 아니다(…). 나이에 따르면[1], 힘의 균형이란 표현은 보통 아무거나 적당히 그럴싸하게 나타내고 정당화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19세기 영국의 자유주의자 리차드 콥든(Richard Cobden)에 따르면, 힘의 균형은 “키메라––묘사할 수도, 형언할 수도, 이해할 수도 없는, 아무것도 아닌 어떤 것”[4]이다. 또한 전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의 표현을 빌리자면, “힘의 균형”이란 참으로 악한 원칙이 아닐 수 없는데, 이는 “힘의 균형” 원칙에 따르자면 국경은 그 국경 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형편은 신경 쓰지 않고 지도상으로 “치즈 조각 자르듯이” 줄이나 죽죽 그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심지어 윌슨은 “힘의 균형”이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고 믿었다. 실제로 패권 안정 이론에서는 ‘힘의 불균형’이 국제 체제의 안정성(=평화)를 유지한다고 본다.

정의

“힘의 균형”을 이해하려면 당연히 “힘”(power)과 “균형”(balance)이 뭘 의미하는지 알아야 할 것이다. 우선 힘이 뭔지는 여기서 설명하고 넘어가도록 하겠다. '균형'이 뭘 뜻하는지는 세 가지 용례에 따라 조금씩 다르므로 각 항목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힘”이란 무엇인가?

간단히 말해, "목적이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분명 맞는 말이긴 한데... 그렇다. 너무 광범위한 정의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남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도 할 수 있다. 혹은 로버트 달(Robert Dahl)에 따르면, '남들이 원래는 안 했을 건데 하게 만드는 능력"이라고도 정의된다.

한편 힘은 다시 직역하자면 '단단한 힘'단단한 힘?, 진지한 말로는 '경성권력'이라고 부르는 것(hard power)과 '부드러운 힘' 내지는 '연성권력'이라고 부르는 것(soft power)로 양분할 수 있다. 연성권력은 그냥 음차해서 '소프트 파워'라고 부르기도 한다.

참고로 이 문서의 초판이 기반하고 있는 문헌[1]의 저자인 조지프 나이는 연성권력을 고안한 사람으로 유명하다. 따라서 서술 역시 "음 역시 요즘은 경성권력보다는 연성권력의 시대지!"라는 느낌으로 편향성이 존재할 수 있으니 양해바란다(...).[5]

  • 경성권력
모든 것을 물질정신으로 나누는 이분법적으로 생각해보자. 그 중 단단한(hard) 것을 고르라면 단연 물질일 것이다. 물론 멘탈이 강철처럼 단단한 사람도 있겠지만... 하여튼 그렇다고 하자. 힘(권력, power) 또한 그렇다. 단단한 힘이라 함은 물질적인 힘, 다시말해 무기[6]을 말한다. 많은 경우에 효과적인 도구이다. 돈 싫어하는 사람 없고, 죽고 싶어하는 사람 없는 법이니 말이다.
  • 연성권력
물론 경성권력이 만능은 아니다. 세상이 물질로만 돌아가는 것도 아니다. 그래서 나이는 연성권력을 고안했다. 위의 이분법에서 '정신'에 해당한다고 보면 된다. 나이의 정의에 따르면 연성권력은 "내가 원하는 것을 남들도 원하게 하는 능력"이다.[1] 쉽게 말해 '매력'이다. 이 '매력'의 예로는 헐리우드 영화나 한류, 이슬람교, 가톨릭교, 민주주의 등을 들 수 있다. 이쯤이면 감이 올 것이다. 나이에 따르면 연성권력의 중요성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민주주의가 지배적인 정보화시대의 후기산업사회에서는 연성권력이 중요하고, 경성권력은 주로 산업화중이거나 산업화되기 전인 곳에서 더 중요하다. 그러니까 어쨌든 요즘엔 연성권력이 중요하다 이 말이다.

힘의 분배 상태로서의 “힘의 균형”

먼저 '힘의 균형'이란 표현은 국제 체제에서 힘이 분배된 상태를 나타내는 말로 쓰일 수 있다. 그런데 사실 이 '힘의 균형' 상태라는 것이 '아무 상태나 모두'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힘의 균형'은 현재 상태(status quo)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일 수 있다. 이런 용례로는 1980년대 일부 미국인들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니카라과가 공산화 된다면, 힘의 균형이 변할 것이다!"라는 주장을 펼쳤다. 사실 미국이나 소련같은 큼직한 나라들 사이에서 니카라과가 균형을 바꿔봤자 얼마나 바꾸겠는가(...). 따라서 이 경우 '힘의 균형'은 그저 현재 상태를 의미한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또는 문자 그대로 '힘이 모두에게 똑같이 분배된 상황'을 말할 수도 있다. 당연히 현실에서는 일어나기 어려운 상황이다(...). 참고로 현실주의자들 사이에서도 견해가 갈리는 부분이다. 일부는 힘의 균형이 이뤄졌을 때 안정 상태(stability, 맥락상 '평화')가 유지되지만, 일부는 반대로 힘의 균형이 깨졌을 때(!) 안정상태가 유지된다고 본다. 이들에 따르면 압도적인 패권국이 있을 때(=힘이 불균형할 때) 평화가 유지되고, 전쟁은 이 패권에 도전하는 국가가 나타날 때 생겨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투키디데스펠로폰네소스 전쟁을 설명한 것도 이와 같은 방식이다. 아테네의 부흥과 이에 따른 스파르타 내부의 불안감이 이 전쟁을 일으켰다는 것이다. 제1차 세계대전 또한 마찬가지라고 볼 수 있다.

물론 '힘의 불균형=평화'라는 이론도 항상 들어맞는 것은 아니다. 사회과학판이 원래 다 그렇다. 이 관점은 전쟁의 발생 가능성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1880년대 미국영국을 넘어 세계 최대의 경제규모를 자랑하게 됐다. 또 1895년에 두 국가는 남아메리카에서의 국경 분쟁에 휘말렸다. 패권의 전이가 이루어지는 상황에 분쟁의 씨앗까지 있으니 이제 남은 것은 세계대전 뿐이다! 하지만 우리는 역사 교과서에서 그런 전쟁을 본 기억이 없다. 있다면 역사시간에 존 것이 분명하다.

여기서 내릴 수 있는 결론은, 힘의 (불)균형의 변화는 전쟁과 평화의 한 요인이 될 수는 있을지언정, 유일한 요인은 아니라는 것이다.

외교 정책으로서의 “힘의 균형”

외교 정책 중에도 '힘의 균형'을 중시하는 기조가 있을 수 있다. 이런 입장에서 보자면, 국가는 다른 한 국가가 지나치게 강대해지는 것을 막으려고 노력할 것이다. 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것이 윈스턴 처칠의 발언이다. "만일 히틀러가 지옥을 침략했다면, 나는 최소한 의회에서 악마에 관해 호의적인 언급 정도는 할 것이다."[7]

이 관점에서는 다음의 두 기본 가정을 깔고 들어간다.

  1. 국제정치는 국가들로 이루어진 무정부 체제이다. (The structure of international politics is an anarchic system of states.)
  2. 국가는 독립을 최우선순위에 둔다. (States value their independence above all.)[1]

단, "국가는 국력의 최대화를 추구한다"는 가정까지 하는 것은 아니다. 사실, 국가가 국력의 최대할 경우엔 '힘의 균형' 전략보다는 '편승'(bandwagon) 전략을 추구할 것이다. 즉, 힘 쎈 나라에 묻어가려고 할 것이다. 하지만 '힘의 균형' 전략에서는 반대로 약한 쪽의 편에 서게 된다. 그래야 균형이 맞춰지기 때문이다. 참고로 '힘의 균형'에 따르면, 국가가 편승 전략을 택하는 것은 오히려 자살 행위이다. 이는 강대국에 편에 서는 것이 국가의 주권, 즉 그 소중한 독립을 잃을 가능성을 내포하는 것이기 때문. 예를 들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에 편승한 이탈리아가 있다. 두체께서 갈수록 총통에 의존하게 된 것이다.

하여간 국가는 '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두 가지 선택을 할 수 있다. 첫째는 자기가 힘을 기르는 것이고, 둘째는 위협이 되는 국가에 대항하는 동맹을 맺는 것이다. 후자의 예로는 1902년에 체결된 영일동맹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당시만 하더라도 일본은 "노란 원숭이들이 사는 미개한 나라" 정도로 인식됐다. 그런데 영국은 그런 일본과 동맹을 맺은 것이다. 이는 당시 남하정책으로 세력을 급격히 길러나가던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함이었다.

수많은 예외

물론 모든 사회과학 이론이 그렇듯이 예외는 있다. 예를 들면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핀란드가 있다. 2차대전 당시 핀란드는 나치 독일과 동맹을 맺고 소련과 전쟁을 벌였으나, 결국 발리고 막대한 전쟁 배상금을 물어내야 했다. 종전 후 핀란드는 '힘의 균형' 전략에 따라 소련과 적대하여 '힘의 균형'을 유지하는 대신, 중립 정책을 택했다. 물론 말이 중립이고 사실은 소련의 입김을 꽤나 받았다. 소련이라는 강대국의 앞마당에서 '독립'을 지키기 위해 닥치고 적대하기보다는, 외교적 독립을 일부 포기하고 내정의 독립을 보다 확실히 보장받는 쪽이 훨씬 낫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또한, 위협의 인식이라는 주관적 척도에 따라 최종 판단이 달라지기도 한다. 그 예로,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독일 대신 영국, 프랑스, 러시아의 편을 들었다. 그런데 당시 이 세 국가의 산업력은 세계 산업력의 30%를 차지했고, 반대로 독일과 오스트리아는 겨우 19%만을 차지했다. 그럼에도 미국이 그런 선택을 한 것은 미국이 독일을 보다 큰 위협으로 받아들였고, 독일은 미국의 군사적 역량을 과소평가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는 측면이 있다. 그 외에 지리적 거리가 인식된 위협의 크기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그리고 또 예외가 있다(...). 이 쪽은 요즘 세상에서 갈수록 커져가는 경제적 상호의존도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힘의 균형' 전략에 따르면 프랑스는 독일의 경제 성장을 달갑지 않게 봐야 한다. 그런데 현실은 두 국가가 유럽연합의 핵심 국가로서 '우리 국경 지우고 함께 잘살자! ^0^'에 앞장서고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경제통합 때문에 독일의 경제성장이 곧 프랑스의 성장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드디어 마지막으로, 연성권력, 즉 이념이 영향력을 발휘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펠로폰네소스 전쟁 당시에도 민주주의를 택했던 폴리스들은 아테네 편에, 과두정을 택했던 폴리스들은 스파르타 편에 서는 경향이 존재했다. 또 민주국가들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 편을 들어 싸웠던 것도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다. 물론 이는 상당히 제한적으로만 영향력을 발휘하는 요소다. 당장 극좌의 상징 스탈린과 극우의 상징 히틀러가 잠시나마 불가침 조약을 맺었던 것을 보자.

역사적 사실로서의 “힘의 균형”

한편 역사학 쪽에서는 주로 19세기유럽에서 형성된 다극적 체제를 가리키는 말로 '힘의 균형'을 사용하곤 한다. 먼저 사실관계의 설명에 초점을 맞추고, 이후 이에 대한 (나이의) 평가로 넘어가기로 한다.

역사

제1차 세계대전 이전 '힘의 균형'의 구조 변화
1815-1870 느슨한 다극적 체제(Loose Multipolarity)
1870-1907 독일의 부흥
1907-1914 동맹에 의한 양극적 체제(Bipolarity of Alliances)

위 표에서 볼 수 있듯, 19세기 '힘의 균형' 체제는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어느 하나가 지나치게 강대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다섯 강대국이 이합집산하던 시기다. 이 단계는 빈 회의에 따라 프랑스를 이전의 상태로 돌려놓고, 각국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일련의 규칙이 만들어지면서 시작됐다. 이 규칙은 1815년부터 1822년까지 유지된 유럽 협조(Concert of Europe) 체제를 형성하는 데 일조했다. 이 시기 각국은 외교 접촉을 활발히 하면서 서로의 행동을 조율하고자 노력했다. 체제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 부분 외교 주권을 희생할 정도였다. 하지만 민족주의민주주의가 영향력을 높여가면서, 1822년부터 1854년까지의 기간 동안 유럽 협조 체제의 운영은 보다 느슨하게 되었다. 새로이 득세한 이 이념들은 '체제 유지'라는 명목으로 영토를 '치즈 조각 자르듯이' 주고받으며 국가를 멋대로 죽였다 살리는 당시의 관행을 썩 달갑게 여기지 않았다. 이 시기의 마지막 부분은 평범한(?) '힘의 균형'적 전쟁이었던 크림 전쟁[8]으로 시작해, 민족주의의 확산, 특히 독일에서 비스마르크가 민족주의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면서 끝을 향해 나아갔다.
독일이탈리아의 통일 이후 여섯 강대국이 모여 대항 동맹을 결성했다. 하지만 결국 크고 아름다워진 독일이 이 체제의 종식을 불러왔다. 고로 시기를 좌지우지한 것은 단연 비스마르크의 독일이었다고 할 수 있다. 비스마르크는 다양한 동맹 상대와 유연하게 동맹을 맺어가며 프랑스를 견제하고 알자스-로렌 지방을 사수하고자 했다. 또한 힘의 중심을 베를린으로 유지하고자 의도적으로 제국주의를 억제했다. 애석하게도 비스마르크의 후계자는 그만큼 유능하질 못했다(...). 1890년부터는 '힘의 균형' 자체는 유지되지만 그 유연성은 많이 상실된 상태가 1914년까지 이어지게 된다. 독일이 러시아와 맺었던 동맹은 연장되지 않았고, 제국주의는 확산됐으며, 영국의 우월한 해군에 도전했고, 오스트리아발칸 반도에서 러시아에 대드는 것을 그냥 보아 넘겨버렸다.
열심히 힘을 불려나가고 여기저기에 대들던 독일은 결국 주변국의 불안 심리를 자극했다. 이에 삼국협상(영국, 프랑스, 러시아)과 삼국동맹(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이탈리아)가 각자 블록을 형성하며 양극화되기 시작했다. 끝내 상황은 극단으로 치닫고 말았고, 제1차 세계대전씨밤쾅! 터져버렸다.

평가

다극적 체제로서의 '힘의 균형', 그 핵심에는 동맹이라는 개념이 있다.


각주

  1. 1.0 1.1 1.2 1.3 1.4 1.5 Nye, Joseph S., Jr. 2009. Understanding International Conflicts: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History. New York: Longman.
  2. 이 문서에서 주석으로 나이의 문헌을 표기하는 것은 원문을 거의 그대로 옮겼다는 것을 강조하는 의미로, 표기하지 않은 곳이 인용을 하지 않았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저 일일이 인용을 했다간 문서 전체가 각주로 도배될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3.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다. 자세한 것은 후술.
  4. 원문:”a chimera–an undescribed, indescribable, incomprehensible nothing.” 출처: Richard Cobden. 1969. The Political Writings of Richard Cobden. London: Unwin, 1903; New York: Kraus Reprint, 1969.을 조지프 나이(2009)에서 재인용.
  5. 편집자의 사견을 덧붙이자면, 딱히 틀린 입장은 아니라고 본다. 실제로 [[구성주의 (국제정치학)|]]에서 말하는 바와도 일맥상통하는 견해이기도 하고. 단 [[현실주의 (국제정치학)|]]의 입장에서는 정치의 본질을 부정하는 것에 가까운 주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6. 돈을 '물질적인 것'의 대명사로 쓰는 것을 보라!
  7. 원문: "If Hitler invaded Hell, I would make at least a favorable reference to the Devil in the House of Commons." 출처: Winston Churchill, June 22, 1941, to his private secretary Sir John Colville, quoted in Robert Rhodes James, ed., Churchill Speaks: Winston Churchill in Peace and War: Collected Speeches 1897-1963 (New York: Chelsea, 1980)을 나이(2009)에서 재인용. 인용을 인용한 것을 다시 인용했다.
  8. 쇠락해가는 오스만 제국을 압박하는 러시아에 대항해 프랑스영국이 동맹을 맺고 싸운 전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