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Bob-R: 두 판 사이의 차이

17번째 줄: 17번째 줄:
해군내에서는 1903년에서부터 1904년까지 [[로드 넬슨급 전함]]의 설계와 관련된 논의를 진행하였는데 이 논의 끝에 두 가지 유사한 방안이 나타났다. 하나는 필립 와트 제시한 방안으로 필립 와트는 1882년의 설계 방식으로 되돌아가 데바스테이션급 전함 HMS Devastation과 1881년 취역한 전함 HMS Inflexible의 장점을 종합하자고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연장 12인치 포탑을 선수 방향과 선미 방향, 선체 중앙에 하나씩 두고 나머지 하나를 함선의 중앙 부분에 두되 선체 중앙 포탑과는 대각선방향으로 엇갈리게끔(echeloned, 사다리꼴 편성) 배치하여 포탑을 4기 배치하는 구조였다. 반면, 해군성 장관 보좌관이었던 J.H.나베스(J.H.Narbeth)는 피셔가 1900년에 구상한 것과 유사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나베스는 12인치 함포 12기를 2연장 포탑에 장착하여 함선의 앞 부분과 뒷부분, 중앙 부분에 하나씩 포탑을 배치하고 나머지 2기를 선박 양 측면에 배치하여 총 6기의 포탑을 배치하자고 하였다. 이는 함선의 규모와 비용을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였고 이 이상의 논의가 진행되지 않았다.
해군내에서는 1903년에서부터 1904년까지 [[로드 넬슨급 전함]]의 설계와 관련된 논의를 진행하였는데 이 논의 끝에 두 가지 유사한 방안이 나타났다. 하나는 필립 와트 제시한 방안으로 필립 와트는 1882년의 설계 방식으로 되돌아가 데바스테이션급 전함 HMS Devastation과 1881년 취역한 전함 HMS Inflexible의 장점을 종합하자고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연장 12인치 포탑을 선수 방향과 선미 방향, 선체 중앙에 하나씩 두고 나머지 하나를 함선의 중앙 부분에 두되 선체 중앙 포탑과는 대각선방향으로 엇갈리게끔(echeloned, 사다리꼴 편성) 배치하여 포탑을 4기 배치하는 구조였다. 반면, 해군성 장관 보좌관이었던 J.H.나베스(J.H.Narbeth)는 피셔가 1900년에 구상한 것과 유사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나베스는 12인치 함포 12기를 2연장 포탑에 장착하여 함선의 앞 부분과 뒷부분, 중앙 부분에 하나씩 포탑을 배치하고 나머지 2기를 선박 양 측면에 배치하여 총 6기의 포탑을 배치하자고 하였다. 이는 함선의 규모와 비용을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였고 이 이상의 논의가 진행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런 상황은 피셔가 all-big-gun 개념 전함을 실현시킬 준비가 되어있는 것을 상징하였다.
하지만, 이런 상황은 피셔가 all-big-gun 개념 전함을 실현시킬 준비가 되어있는 것을 상징하였다. 피셔가 구상한 새로운 전함은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반영되었다.
# 사거리와 정확도의 증가로 증대된 어뢰의 위협으로 인해 교전 거리가 3000야드(2.7432km) 이상으로 늘어날 수 밖에 없어졌다.<ref>The menace of the torpedo with its increasing range and accuracy made imperative longer battle ranges to over 3,000 yards.</ref>
# 사거리 측정 기구의 개선으로 함포의 사정거리가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1899년부터 지중해 함대는 효과적인 화력통제로 8000야드(7.3152km) 이상 거리에 있는 목표물을 명중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ref>Long-range hitting had become practicable with the introduction of satisfactory rangefinding instruments. Since 1899, shooting in the Mediterranean Fleet had indicated that, with efficient fire control, it might be possible to secure hits at 8,000 yards or over.</ref>
# 5000야드(4.572km) 이상 위치한 목표물을 효과적으로 타격하기 위해서는 8문 이상의 동일 구경 함포로
일제사격을 가해야한다. 그렇게하면 사격시 발생하는 상당량의 파편들이 목표물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게 하고, 파편들이 목표물을 가로지를 때 목표물과의 정확한 거리를 확정할 수 있다.<ref>Effective fire control at ranges over 5,000 yards called for salvoes by eight or more guns of equal calibre, a large group of splashes being easy to observe. When the splashes straddled the target, the exact range could be determined.</ref>
# <ref>The 12in gun combined destructive effect and accuracy to a degree that considerably outweighed the faster rate of fire if intermediate calibres, especially at long ranges.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reports received by British Intelligence in May 1904 concerning actions fought by the Japanese off Port Arthur, Chemulpo (and, later, in the Gulf of Pechili) stressed the importance of long-range hitting and the substantially greater effect of 12in guns compared with 8in and under. Reports received after the Battle of Tsushima in May 1905 (after ''Dreadnought's'' design had been approved) confirmed these findings</ref>


출처 : ''British Battleships of World War One: New Revised Edition'', p.20-
출처 : ''British Battleships of World War One: New Revised Edition'', p.20-

2018년 1월 19일 (금) 14:58 판

밥알입니다.

HMS 드레드노트 항목 작성연습장

건조배경 및 특징

1888년, 해군성 장관 윌리엄 화이트(William Henry White)은 그 이전의 전함들보다 커진 새로운 전함 설계를 제출하고 1889년 계획하에 승인되었는데 이 전함은 프리드레드노트(Pre-Dreadnought)급 전함의 시초인 로얄 소버린급 전함이었다. 로얄 소버린급 전함은 영국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의 전함 설계의 기준이 되었다.

1902년, 해군성 장관 필립 와트(Philip Watts)는 새로운 전함 설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에 따라 최소한의 배수량과 비용에 맞춰 ─ 타국의 프리드레드노트급 전함들보다 우월한 ─ 무장과 방호력, 기동성에 변화를 준 다양한 설계들이 나왔다. 동시에 윌리엄 메이(William May) 제독과 함께 각 설계안들의 상대적 효율성에 대해 철저한 조사를 지시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르면

  1. 군함의 부무장은 주무장에 비해 그 효과가 적었다.[1]
  2. 주무장의 파괴력이 강력하여 부무장의 유효 사거리까지 함선이 이동하기 전에 목표물이 파괴된다.[2]
  3. 전보다 장갑의 두꺼운 부분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3]

라는 결과를 얻었고 이를 1903년 계획(1903 Programme)에 반영시켜야 했다. 그러나 위원회는 프리드레드노트급인 킹 에드워드 7세급 전함 3척을 더 건조하고 다음해까지 설계안을 연기시키기로 결정하였다.

한편, 해군 본부 위원회 제1군사 위원인 존 피셔(John Fisher) 제독은 전장의 확대에 맞춘 무기 체계 변화 필요성을 느껴 몰타 기지창의 최고 조선기사 W.H.가드(W.H.Gard)와 새로운 전함을 설계하고 그 이후 포츠머스 사령관(Commander-in-Chief, Portsmouth)이 all-big-gun 개념에 맞춘 선체설계를 준비하였다.

1902년 여름, 비커즈 암스트롱(Vickers Armstorng)사는 속사가 가능하고 기존의 12인치 함포보다 더 많이 적재할 수 있다는 이유로 새로운 10인치 함포를 지지하였다. 비커즈 암스트롱사는 수많은 전함 설계를 하였고 그 중에서 1902년 10월에 제출된 설계안은 8문의 10인치 함포, 20문의 6인치 함포를 무장한, 최대 속도 20노트의 17000톤 전함이었다. 암스트롱사의 설계가 자신이 구상중인 전함 개념과 유사함에 흥미를 느낀 피셔는 해당 설계안을 검토한 뒤, 10인치 함포 16문을 장착시키기 위해 6인치 함포를 10문 장착하는 것으로 변경시켰다. 피셔 제독은 수정된 설계안을 ─드레드노트 설계 위원회(Design Committee)에 소속될─ 해군 장교 3명[4]에게 보여주었다. 설계안을 살펴본 해군 장교들은 10인치 함포 16문 대신 더 적은 수의 12인치 함포를 배치하는 것을 권유하였고 그 근거로 대구경 포탄에 의한 파괴력 증가와 보다 적은 수의 함포를 운용함으로 얻을 수 있는 화력 통제의 편의성을 들었다.

해군내에서는 1903년에서부터 1904년까지 로드 넬슨급 전함의 설계와 관련된 논의를 진행하였는데 이 논의 끝에 두 가지 유사한 방안이 나타났다. 하나는 필립 와트 제시한 방안으로 필립 와트는 1882년의 설계 방식으로 되돌아가 데바스테이션급 전함 HMS Devastation과 1881년 취역한 전함 HMS Inflexible의 장점을 종합하자고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연장 12인치 포탑을 선수 방향과 선미 방향, 선체 중앙에 하나씩 두고 나머지 하나를 함선의 중앙 부분에 두되 선체 중앙 포탑과는 대각선방향으로 엇갈리게끔(echeloned, 사다리꼴 편성) 배치하여 포탑을 4기 배치하는 구조였다. 반면, 해군성 장관 보좌관이었던 J.H.나베스(J.H.Narbeth)는 피셔가 1900년에 구상한 것과 유사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나베스는 12인치 함포 12기를 2연장 포탑에 장착하여 함선의 앞 부분과 뒷부분, 중앙 부분에 하나씩 포탑을 배치하고 나머지 2기를 선박 양 측면에 배치하여 총 6기의 포탑을 배치하자고 하였다. 이는 함선의 규모와 비용을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였고 이 이상의 논의가 진행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런 상황은 피셔가 all-big-gun 개념 전함을 실현시킬 준비가 되어있는 것을 상징하였다. 피셔가 구상한 새로운 전함은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반영되었다.

  1. 사거리와 정확도의 증가로 증대된 어뢰의 위협으로 인해 교전 거리가 3000야드(2.7432km) 이상으로 늘어날 수 밖에 없어졌다.[5]
  2. 사거리 측정 기구의 개선으로 함포의 사정거리가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1899년부터 지중해 함대는 효과적인 화력통제로 8000야드(7.3152km) 이상 거리에 있는 목표물을 명중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6]
  3. 5000야드(4.572km) 이상 위치한 목표물을 효과적으로 타격하기 위해서는 8문 이상의 동일 구경 함포로
일제사격을 가해야한다. 그렇게하면 사격시 발생하는 상당량의 파편들이 목표물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게 하고, 파편들이 목표물을 가로지를 때 목표물과의 정확한 거리를 확정할 수 있다.[7]
  1. [8]

출처 : British Battleships of World War One: New Revised Edition, p.20-

  1. The destructive effect of secondary guns was very small in relation to that of the main armament.
  2. Damage caused by heavy projectiles was so extensive that the more lightly protected secondery armament was likey to be destroyed before it got within its effective range.
  3. Heavier armour was required over a much larger area than had previously been customary.
  4. R.H.S.Bacon, H.B.Jackson, C.E.Madden
  5. The menace of the torpedo with its increasing range and accuracy made imperative longer battle ranges to over 3,000 yards.
  6. Long-range hitting had become practicable with the introduction of satisfactory rangefinding instruments. Since 1899, shooting in the Mediterranean Fleet had indicated that, with efficient fire control, it might be possible to secure hits at 8,000 yards or over.
  7. Effective fire control at ranges over 5,000 yards called for salvoes by eight or more guns of equal calibre, a large group of splashes being easy to observe. When the splashes straddled the target, the exact range could be determined.
  8. The 12in gun combined destructive effect and accuracy to a degree that considerably outweighed the faster rate of fire if intermediate calibres, especially at long ranges.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reports received by British Intelligence in May 1904 concerning actions fought by the Japanese off Port Arthur, Chemulpo (and, later, in the Gulf of Pechili) stressed the importance of long-range hitting and the substantially greater effect of 12in guns compared with 8in and under. Reports received after the Battle of Tsushima in May 1905 (after Dreadnought's design had been approved) confirmed these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