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

(에서 넘어옴)
호랑이
Siberian Tiger by Malene Th.jpg
학명
Panthera tigris
Linnaeus, 1758
생물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아목 고양이아목(Feliformia)
고양이과(Felidae)
표범속(Panthera)
호랑이(P. tigris)
보전 상태
멸종위기등급 위기.png
시베리아 tiger.jpg
시베리아호랑이

호랑이(Tiger)는 식육목 고양잇과 표범속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으로, 구대륙의 사자, 표범, 눈표범과 신대륙의 재규어와 함께 표범속에 속하는 5종의 대형 고양이과 동물 중 하나이다. 순우리말로 이라고 불리며, 새끼 호랑이는 개호주라고 불린다. 멧돼지나 고라니 등 덩치 있는 동물을 주로 먹잇감으로 삼으며 동양권에서 주로 서식하는 동물로 알려져 있는데, 원래는 한반도에도 서식하던 동물이었으나 남획으로 인해 멸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로 시베리아 호랑이는 고양잇과 맹수들 중 덩치가 가장 크며 이게 어느 정도냐면 수컷은 몸길이 2.9m~3.6m에 몸무게 최대 370kg이며, 암컷 역시 몸길이 최대 2.9m에 몸무게 최대 200kg에 이르는 어마무시한 덩치를 자랑한다.

서식지[편집 | 원본 편집]

현재는 주로 동남아시아나 네팔, 부탄 등의 정글에 많이 서식하지만 예전에는 앞서 말했듯이 대한민국이나 한반도에도 진을 치고 있었다. 그러나 많이 멸종되어 동남아시아유럽 쪽이 아니면 이제 찾아보기 힘들다.

종류[편집 | 원본 편집]

Adult male Royal Bengal tiger.jpg Panthera tigris sumatrae (Sumatran Tiger) close-up.jpg
대륙호랑이
(Mainland Asian tiger, Panthera tigris tigris )
순다호랑이
(Sunda Island tiger, Panthera tigris sondaica )

호랑이는 대개 벵골호랑이, 시베리아호랑이, 수마트라호랑이, 말레이호랑이, 인도차이나호랑이, 남중국호랑이를 비롯한 현존하는 6종의 아종과, 현재는 멸종된 아종인 카스피호랑이, 발리호랑이, 자바호랑이 등을 합쳐 총 9종의 아종으로 분류한다.

1999년에 들어서부터 형태학적, 생태학적 및 분자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호랑이의 아종을 크게 벵골호랑이를 대표로 아시아 대륙 본토에 서식하는 대륙호랑이(Panthera tigris tigris)와, 자바호랑이를 대표로 수마트라 섬을 비롯한 순다 열도에서 서식하는 순다호랑이(Panthera tigris sondaica)로 총 2종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이견도 존재한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2018년 기존의 방식처럼 6종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는 등 아직 확실하지는 않다.

  • 벵골호랑이
  • 시베리아호랑이
  • 남중국호랑이
  • 수마트라호랑이
  • 인도차이나호랑이
  • †응간동호랑이
  • †완셴호랑이
  • †카스피호랑이
  • †자바호랑이

생태[편집 | 원본 편집]

삼림·갈대밭·바위가 많은 곳에 살며 물가의 우거진 숲을 좋아한다. 일반적으로 호랑이는 단독으로 생활하며, 먹이가 풍부한 지방에서는 약 50km2, 먹이가 부족한 지방에서는 3,000km2의 세력 범위를 가진다.

호랑이는 오줌과 항문 근처에 있는 샘에서 나오는 액체로 자신이 다니는 길을 표시한다. 냄새는 다른 호랑이에게 이 지역에 이미 주인이 있음을 알린다. 수컷의 넓은 텃세권은 두 마리 이상의 암컷의 작은 텃세권을 포함하는데, 암수는 각각 홀로 배회하지만 서로를 알고 있다. 3km 이상 되는 거리에서 들을 수 있는 포효 소리 등 여러 가지 소리로 서로 의사소통을 한다.

인도에서는 호랑이가 자신의 영역을 강하게 지키기 때문에 같은 형제자매도 경쟁을 통하여 쫓아내고, 심지어 여왕격인 엄마 호랑이도 딸이 몰아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식단[편집 | 원본 편집]

먹이는 주로 사슴과 산양, 영양, 고라니, 토끼, 멧돼지이고, 꿩과 들꿩, 비둘기, 메추라기, 꽃사슴, 어린 노루, 들쥐와 두더지, 숭어, 연어, 송어, 다람쥐 등도 먹으며, 때로는 대륙사슴등을 사냥해 잡아먹기도 한다.

육식성이라고 알려진 호랑이는 두리안이라는 과일을 먹기도 한다. 먹이가 부족하면 가축인 소나 돼지를 습격하기도 하고 닭이나 오리와 같은 가금류를 습격하기도 한다.

대형 고양잇과의 특징으로, 잠복하고 기다리거나 소리 없이 다가가서 사냥을 하는데, 작은 동물은 목덜미를 물어 죽이고 큰 동물은 송곳니로 기도에 구멍을 내어 질식시켜 죽인다. 주로 밤에 사냥을 하는데, 눈과 귀와 후각으로 사냥한다. 호랑이의 이빨은 먹이를 물고 살 덩어리를 뜯어내기에 적합하다. 호랑이는 짧은 거리는 아주 빨리 뛸 수가 있다. 그러나 쉽게 피로해지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먹이를 잡지 못하면 사냥을 포기해 버린다.

죽인 먹이를 물가로 끌고 가는데 다 큰 말이나 230kg짜리 새끼 물소를 0.5km나 끌고 갈 수 있다. 뼈와 내장만 남기고 다 먹을 때까지 먹이 옆에서 머문다. 호랑이는 고양잇과 동물 중, 뼈까지 부술 정도로 턱의 힘이 강한 맹수이다. 하룻밤에 23kg의 고기를 먹을 수 있고, 다 먹은 다음에는 많은 양의 물을 마시고 잠을 잔다. 헤엄을 잘 쳐 먹이를 찾아서 강을 건너기도 하고 이 섬에서 저 섬으로 이동하기도 한다. 보통 시속 48km 정도로 달리지만 최고 속력은 시속 80km에 이른다. 더운 날에는 몸을 식히러 물 속으로 들어간다. 나무도 탈 수 있지만, 즐겨 하지는 않는다. 호랑이의 먹이는 사슴 등의 큰 초식동물로써 생태계의 최상위에 있다. 인도에서는 호랑이로 인한 인명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생식[편집 | 원본 편집]

교미기는 다양하나 11-3월이 많고, 수컷끼리 암컷을 둘러싸고 격렬히 싸우며, 때로는 죽음에 이르기까지 한다. 임신기간은 105-113일이고, 한배에 2-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눈을 감고 있으며 무늬가 있고, 몸길이는 30cm, 몸무게는 약 1.5kg이다. 새끼는 성장이 빨라 2주 후에는 눈을 뜨고 4-5주 때 걷기 시작하며 8주가 되면 젖을 뗀다. 7개월 째에는 스스로 먹이를 잡을 수 있게 되는데, 2세까지는 어미와 지내며, 그동안에 사냥훈련을 받고, 젖을 떼면 자신이 사냥한 먹이를 새끼에게 처음으로 먹이를 맛보게 한다.

새끼는 주로 암컷이 돌본다. 그러나 아무리 같은 호랑이라도 자기 새끼가 아니면 물어 죽이는 것이 맹수들의 본능이다. 어린 새끼가 죽는 비율이 높아, 반 이상이 3-4세가 되기 전에 죽는다. 암컷은 3.5-4년이 되면 새끼를 낳을 수 있게 된다. 수호랑이와 암사자 사이에 태어난 새끼를 타이곤이라고 한다. 호랑이는 대개 9종으로 분류한다. 이들 중에서 발리호랑이, 카스피호랑이, 자와호랑이는 현재 멸종했으나 동물원에서나 볼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종도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대한민국에 존재했었던 호랑이[편집 | 원본 편집]

일명 백두산 호랑이라고 불리는 시베리아 호랑이대한민국을 비롯한 한반도에 많이 서식하고 있었다. 오죽하면 한반도에 호랑이가 서식하던 때에는 총을 든 관리원으로도 모자라 10명 이상의 사람들이 무리를 지어 이동했을 정도. 그러나 일제 강점기가 닥쳐오고 호랑이 말살 정책이 시행되자 일본은 호랑이를 닥치는 대로 사냥하기 시작하였고, 호랑이 개체 수가 눈에 띄게 줄어가다가 결국 1924년 강원도에서 마지막 호랑이가 포획되어 더 이상 대한민국에서는 야생 호랑이를 볼 수 없게 되었다. 북한에서는 2000년까지 호랑이 목격담이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그래도 어딘가에 살아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인지는 모르지만 호랑이는 현재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마지막 호랑이를 기념하는 영화까지 만들어졌다.

인간과의 관계[편집 | 원본 편집]

호랑이의 몸 중 많은 부분이 약재나 고급 가죽 등이 된다는 것을 알고 사람들이 마구 잡아들여 끝내 호랑이는 멸종위기의 동물로 지정되고 말았으며, 2016년 기준 개체 수는 약 3600마리 정도로 심한 개체 수 부족에 놓여 있다. 이에 세계에서는 호랑이 밀렵을 이전보다 더 엄격하게 제지하고 있으며 계속적으로 밀렵이 늘어간다면 호랑이는 10년 내에 완전히 자취를 감추게 될 것이라고... 다행히도 요즘은 밀렵이 줄어들어 개체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고 한다.

문화적 묘사[편집 | 원본 편집]

호랑이는 위험한 맹수로 무서움의 상징이나 인간의 말을 알아듣는 영물, 의리를 아는 친숙한 존재로 받아들여지기도 했다.

상징물[편집 | 원본 편집]

십이지에 등장하는 동물 중 하나.

대중매체[편집 | 원본 편집]

캐릭터[편집 | 원본 편집]

참고 자료[편집 | 원본 편집]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호랑이 문서를 원출처로 합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