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업

이러고 후회하지 말고.
정보화 시대의 재난 대비

백업(Back-up)은 특정 시점의 데이터를 복사, 보관하여 미래의 재난에 대비하는 행동이다. 중요 서류의 복사본을 준비하는 것도 백업의 일종이라 볼 수 있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종이 등의 물리적인 자료를 주로 사용할 때에는 그다지 중요한 부분이 아니었다. 내용이 적혀있는 종이나 사진을 찍은 필름 등을 직사광선이 들지 않는 서늘한 곳에 잘 보관하기만 해도 반은 먹고 들어가는 셈이었으니. 물론 문화재나 기밀 서류 정도 되면 향온향습 유지라던가 철통 보안 같은 게 필요하긴 하다. 정보화 시대 이전의 백업의 예로 사본 5부를 만들었으나 화재 등으로 인해 1부만 대부분 온전히 보존된 《조선왕조실록》이 있다.

이게 정보화 시대가 되면서 전자 자료가 주류를 이루게 되고, 랜섬웨어를 비롯한 악성코드 개발 기술의 발달로 인해 컴퓨터 저장장치 내의 파일을 훼손하는 악성 프로그램이 불시에 침투할 수 있게 되었고, 거기에 사소한 부주의로 인한 저장 장치의 파손으로 오랜 시간 동안 누적되어 온 정보를 한순간에 잃을 수 있는 수준에 이르자 백업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여러 매체에 분산 보관하는 것은 기본이고, 주요 기관들은 물리적으로 동떨어진 곳에 백업 시스템을 구축하여 만약에 있을 자연재해에도 대비하고 있다.

잃어버리고 땅 치지 말고, 미리미리 준비해라. 백업만 잘 해 놓으면 자신만의 컬렉션 수 기가바이트를 날려도 안심된다

백업 종류[편집 | 원본 편집]

  • 풀 백업
    특정 시점의 모든 데이터를 뽑아내는 방법으로, 가장 오래 걸리고 가장 큰 용량이 나오지만 해당 백업 데이터만 때려부으면 복구가 가능하므로 복구가 확실하고 간단하다.
  • 차분 백업
    풀 백업의 데이터와 현재 시점의 데이터 중 다른 부분만 뽑아내는 방법으로, 기준이 되는 풀 백업과 복구하고자 하는 차분 백업이 있으면 해당 시점으로 복구할 수 있다.
  • 증분 백업
    마지막 증분 백업(최초 백업시에는 풀 백업)의 데이터와 현재 시점의 다이터 중 다른 부분만 뽑아내는 방법으로, 차지하는 용량은 적지만 기준이 되는 풀 백업부터 복구하고자 하는 시점의 증분 백업 시점까지 도중의 백업 데이터를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해당 시점으로 복구할 수 있다.

백업 방법[편집 | 원본 편집]

하드코어 유저의 경우 2중, 3중 백업본을 소장하거나 월정액을 가입하고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보관한다. 백업본을 다수 준비할 수 있다면 그 백업본을 소신 보관(자택 1, 일터 1, 친척집 1, 클라우드 1 등)하면 DR(재해복구)이라는 한차원 너머에 도달한다. 그 만큼 돈이 들겠지만 재해시에 투자한 만큼 빛을 발휘한다.

컴퓨터 내부에 설치한 하드디스크는 랜섬웨어, 해킹 등에 취약하므로 반드시 분리 보관하는 백업본이 1개 이상 있어야 한다. 흔히 "3-2-1 법칙"으로 말하며 최소 3부 복사, 로컬 2부 유지, 소산지 1부 유지로 잘 알려져 있다.

  • 단순 파일 복사
    가장 귀찮지만 가장 정확하고 안전한 방법이다. 클라우드하드디스크, DAT로 대표되는 대용량 저장장치에다 별도 보관한다. 하드디스크의 용량대비 가격이 상당히 저렴한 편에 속하기 때문에 가장 보편적이기도 하다. 단, 백업본을 하나만 유지할 경우 스냅샷 등의 기능이 미비하다면 직전 백업본만 복구할 수 있다.
  • 디스크 이미지를 뜨기
    과거 MS-DOS 시절 존재하던 미러가 이런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고스트, 윈도우 백업 기능 등이 이런 방법이며 운영체제를 포함해 모든 내용을 본뜰 수 있으므로 시스템 장애 복구에 유용하다. 백업·복구에 전용툴이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다.
    최근 도킹 스테이션같은 독립형 하드 디스크 관리제품이 출시되어 컴퓨터 없이 백업을 할 수 있으나, 저가형은 데이터 오염으로 자료를 날릴 수 있으므로 혹시라도 의구심이 든다면 귀찮더라도 그냥 컴퓨터 끼고 CCCV하는 것이 정신 건강에 좋을 것이다.
  • RAID 구성
    RAID의 목적은 디스크 용량 확장과 운용 안정성 확보이며, 백업 목적이 아니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백업을 했다면, (물론 여러 곳에 백업했다는 가정하에) 가끔씩 아무 이유 없이 복구를 해보는 게 좋다. 멀쩡할 때 빈 공간에 일부러 복구를 돌려보고 깨진 게 있는 지 확인해 봐야 미리 대처할 수 있다.
  • 저작권이 걸린 매체라도 소장한 미디어(비디오, 광디스크 등)에서 백업 용도로 복제하는 경우는 저작권에서 허락한다.
  • 백업을 고가용성 영역으로 확장한 것이 DR(재해복구) 작업이다. DR은 메인 인프라가 다운되었을 경우 업무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마련하는 인프라 및 작업을 말한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