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한 글자 문서을(를) 추가함)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토막글}}
{{다른 뜻|밥 (동음이의)}}
'''당신이 하루 세끼씩 맨날 먹는것.''' <s>무슨 일이 있으면 꼭 사줘야 하는것.</s><ref>"나중에 만나면 밥이나 같이 먹자" 혹은 "다음에 내가 밥 사줄게"는 그냥 다음을 기약한다는 관용적인 표현이다.</ref>
'''당신이 하루 세끼씩 맨날 먹는것.''' <s>무슨 일이 있으면 꼭 사줘야 하는것.</s><ref>"나중에 만나면 밥이나 같이 먹자" 혹은 "다음에 내가 밥 사줄게"는 그냥 다음을 기약한다는 관용적인 표현이다.</ref>



2016년 1월 26일 (화) 22:44 판

당신이 하루 세끼씩 맨날 먹는것. 무슨 일이 있으면 꼭 사줘야 하는것.[1]

개요

기본적으로 로 만드는 음식을 가리킨다. 현대 한국에서는 압력밥솥에, 옛날 한반도에선 가마솥등에서 만들어왔다. 근본적으로 그저 삶기만 하면 되는 것이라 뚝배기나 일반 냄비, 솥, 압력솥으로도 충분히 지을 수 있다. 단, 대충 만들어서는 맛을 책임 못진다.

한국어에서는 관용적인 표현으로서 식사(食事)를 가리키는 단어로 자주 쓰인다. 또한 식사는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 필수적인 과정이기 때문에 안부를 묻는 인사 등에도 자주 차용되어 쓰였다. 대표적인 예로 "밥 먹었어?"라는 질문이 정말로 '밥'을 먹었는가, 어떤 '밥'을 먹었는가 라던가 정말로 '식사'를 하고 왔는가를 묻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인사말이라는 사실을 한국인이라면 관념적으로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을 가려내는데 좋은 표현 중 하나.

김준현이 이 문서를 좋아합니다. 근데 이걸 안 만들고 있었던거야?

밥의 역사

선사시대

탄화미.jpg

한민족은 아주 옛날부터 밥을 먹고 살았다. 옆의 사진은 부여송국리유적에서 발견된 탄화미인데, 탄화미란 유적 출토 곡물의 하나로 불에 타거나 지층 안에서 자연 탄화되어 남아 있는 쌀을 말한다. 저 탄화미의 시간 연대는 약 기원전 6세기로 추측되며 한민족은 2600년전부터 이미 쌀로 음식을 만들어 먹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2]

삼국 시대

삼국시대 때부터 한국인은 밥을 무서울 정도로 많이 먹기로 유명했는데 삼국유사의 기록에 의하면

(김춘추의) 식사는 하루에 쌀 세 말(斗)과 수꿩 아홉마리였는데, 경신년(660) 백제를 멸망시킨 이후로는 점심을 먹지 않고 아침과 저녁만 먹었다. 그러나 이것들을 계산해보면 하루에 쌀 여섯 말, 술 여섯 말, 꿩 열 마리였다.[3]
삼국유사

ㅎㄷㄷ;;;;;; 고도비만으로 안죽은 게 신기할 정도이다.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서도 폭식다식 문화는 여전했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이 다식에 힘쓰는 것은 천하에서 으뜸이다. 최근 표류되어 류큐에 간 자가 있었는데, 그 나라의 백성들이 너희의 풍속은 항상 그 주발에 쇠숟가락으로 밥을 떠서 실컷 먹으니 어찌 가난하지 않겠는가 하고 비웃었다고 한다. 대개 그들은 전에 이미 우리나라에 표류되어 와서 사정을 잘 알고 있던 사람들이다.[4]
— 이익, 조선후기의 실학자

라는 기록이 있다. 이미 조선이 밥을 많이 먹는다는 사실이 공공연히 문제가 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임진왜란 당시에도 다식과 관련된 일화가 있었는데, 한양을 점령한 고니시 유키나가의 군량을 조선군의 식사량으로 계산하니 1달치 정도였다. 당연히 조정에서는 1달만 버티면 왜군들이 물러가리라 생각했는데 고니시 부대의 식사량을 본 밀정이 왜군들의 식사량이 조선군의 1/3정도임을 보고하자, 조정에서는 왜군들이 승리를 위해 일부러 식사량을 줄인다고 생각했다고...근데 이 얘기가 더 쩌는 것이, 당시 명나라군의 군량은 조선군은 2/3이었다고 한다(!) 대식가로 유명한 그 중국이!


1890년대 프랑스에서 유통되던 한국 관련 사진 엽서, 사진 아래에 'COREE, Bon appetit!'라고 적혀 있다. 한국어로 옮기면 '한국, 많이 드십시오!'이다.[5][6]

조선 말기의 한국을 방문한 선교사들은 한국인들이 밥을 더럽게 많이 먹는 것을 무척 신기하게 생각했고, 한국인은 밥을 엄청나게 많이 먹는다는 식으로 기록을 많이 해놓았다. 당장 저 섬네일에도 갓을 쓰고 도포를 입은 한국인이 밥과 국을 들고 있는데 이 그릇의 크기가 가히 밥솥급이다(...)

각주

  1. "나중에 만나면 밥이나 같이 먹자" 혹은 "다음에 내가 밥 사줄게"는 그냥 다음을 기약한다는 관용적인 표현이다.
  2. http://www.rice-museum.com/front/prod/all/allView.do?pageIndex=1&sflag=AL&skey=&skeyword=&sflag1=&board_seq=5
  3. http://www.instiz.net/pt/236709
  4. 이익(李瀷), 성호사설(星湖僿說), 제17권, 한국고전종합DB
  5. 주영하, 식탁 위의 한국사(http://aladin.kr/p/DIVy), 휴머니스트, 2013, p.61
  6. 컬러본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