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호항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어있" 문자열을 "어 있" 문자열로)
11번째 줄: 11번째 줄:


==개요==
==개요==
[[강원도]] [[동해시]]의 [[동해역]]과 [[묵호항역]]을 연결하는 5.1km의 단선철도. [[영동선]] [[묵호항역]]과 [[묵호역]]사이의 0.8km연결선로가 있어 [[영동선]]의 [[동해역|동해]]-[[묵호역|묵호]]간 복선의 역할로 취급하기도 한다. 단, [[영동선]] 본선은 전철화가 완료되어있는 반면, 묵호항선은 비전철 구간이라 [[전기기관차]]가 들어갈 수 없어 실질적인 복선의 역할은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강원도]] [[동해시]]의 [[동해역]]과 [[묵호항역]]을 연결하는 5.1km의 단선철도. [[영동선]] [[묵호항역]]과 [[묵호역]]사이의 0.8km연결선로가 있어 [[영동선]]의 [[동해역|동해]]-[[묵호역|묵호]]간 복선의 역할로 취급하기도 한다. 단, [[영동선]] 본선은 전철화가 완료되어 있는 반면, 묵호항선은 비전철 구간이라 [[전기기관차]]가 들어갈 수 없어 실질적인 복선의 역할은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 역사 ==
== 역사 ==

2015년 5월 2일 (토) 15:08 판

기점 동해역
종점 묵호항역(묵호역)
영업거리 5.1km(5.9km)
선로 형태 전구간 비전철 단선구간

개요

강원도 동해시동해역묵호항역을 연결하는 5.1km의 단선철도. 영동선 묵호항역묵호역사이의 0.8km연결선로가 있어 영동선동해-묵호간 복선의 역할로 취급하기도 한다. 단, 영동선 본선은 전철화가 완료되어 있는 반면, 묵호항선은 비전철 구간이라 전기기관차가 들어갈 수 없어 실질적인 복선의 역할은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역사

1967년 북평선을 통해 수송된 시멘트를 묵호항을 통하여 운송하기 위해 1968년 1월 4일에 착공하여 영동선 옆에 추가로 더 건설하여 1968년 12월 30일에 완공한 선로가 바로 이 묵호항선이다. 당시 북평선 종점인 삼화역에서 생산된 시멘트가 묵호항을 통하여 해상수송을 하였었는데 연간 130만톤이 넘어가는 어마무시한 규모여서 도저히 단선철도인 영동선 본선만으로는 감당이 되지 않았던 것.

역 목록

틀:철도역 범례

역명 등급 역간거리
km
영업거리
km
접속노선 소재지 비고
동해 0.0 0.0 영동선, 북평선, 삼척선 강원도 동해시
묵호항 green 5.1 5.1 강원도 동해시
묵호 0.8 5.9 강원도 동해시 묵호항선을 동해-묵호간 복선의 역할로 볼 경우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