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호

경춘선 청평역에 진입하는 무궁화호

무궁화호는 열차등급의 하나로, 과거에는 우등열차에 해당하였으나 하위등급 열차가 도태되고, 고속열차가 도입되면서 현재는 사실상 전동열차가 없는 구간의 실질적인 보통열차에 해당하게 되었다.

주요 무궁화호 열차에는 일부 객차를 개조한 카페객차를 설비하여 차내 판매를 도모하였으나, 여러 문제로 인하여 현재는 카페객차의 영업을 거의 사실상 중단하였고, 대부분 입석 승객의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그래서 대부분의 시설을 철거하고 장의자와 자판기만을 비치, 자유석 공간으로 변모했다.

KTX, ITX-새마을공공 와이파이를 장착한 후에도 꿋꿋이 와이파이를 장착하지 않아 인터넷을 사용하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였지만,[1] 2020년 중순부터 드디어 장착되었다![2] 만세

역사[편집 | 원본 편집]

무궁화호 운행개시 기록영상(대한뉴스)

무궁화호란 이름 자체는 1960년 2월 21일 시각개정으로 등장한 서울~부산 간의 특급열차 "무궁화"호에서 연원한다. 최초 운행개시엔 기존의 특급열차인 통일호보다 30분을 단축한 6시간 40분에 경부선을 주파하여 일제 당시의 경부선 최속달 열차인 "아카츠키"보다 5분을 단축 운행하여 일제 당시의 운행속도를 넘어선 최초의 열차가 되었다. 출발시각은 상하행 모두 오전 7시 30분으로 설정되었으며, 초기엔 2등객차 2량과 3등객차 5량, 식당차와 수하물차가 연결되었다. 개통 당시의 정차역은 천안, 대전, 김천, 대구, 삼랑진이었다.[3]. 무궁화호는 70년대에 여타 특급열차들과 같이 열차명칭 정리로 일시적으로 사라졌었다.

이름으로서의 무궁화와 달리 등급으로서의 무궁화는 우등열차에 그 연원을 둘 수 있다. 1977년에 등장한 우등 열차는 기존의 노후화된 특급 열차와 달리 공조장치가 설치되어 설비면에서 일획을 달리하는 열차였다. 이 과정에서 기존에 존재하던 새마을호의 하위, 기존 특급들의 상위 열차로 등급이 설정되어 투입되다가, 1984년 1월 1일부로 시행된 열차등급 및 명칭 개정에 의해 무궁화호로 불리게 되었다. 과거에는 창문의 적색 띠를 두른 것으로 구분되었으며, 공사화 이후 CI개정에 따라 중간의 붉은 도색 위에 청색띠를 입힌 도장이 표준이 되었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미래[편집 | 원본 편집]

과거 하위등급인 비둘기호, 통일호 등이 존재했던 시절에는 엄연한 우등열차 등급이었지만, 2004년 KTX가 운행을 시작하면서 점차적으로 장거리 여객수송은 KTX로 일원화되어 무궁화호의 등급이 지속적으로 격하되었다. 2020년대에는 실질적으로 장거리를 운행하는 코레일 열차 등급 중에서 사실상 최하위 등급의 완행열차이며, 저렴한 운임으로 근거리 수요를 담당하는 통근 및 통학열차 역할을 수행했다.

다만 무궁화호는 공기업인 코레일의 입장에서 철도의 공공성이라는 명제하에 억지로 운행하는 열차 등급으로 여겨졌으며 시간표가 개정되면 어김없이 수익성이 안좋은 노선의 무궁화호가 사라지거나 감편되는 현상이 지속되었다. 아예 코레일측은 무궁화호 후속 열차를 도입할 의사가 없는지 내구연한이 임박한 객차들을 대차하기 위한 발주를 진행하지 않고 있으며, 그나마 상태가 좋은 리미트 객차들도 장항선 투입용 새마을로 개조한다던가 각종 관광열차 객차로 개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장기적으로 무궁화호 등급은 객차의 수명이 다하는 시점에서 자연스럽게 도태될 것으로 보이며, 대한민국의 철도가 전철화와 고속화가 착실히 진행되었기 때문에 ITX-새마을 급 전동열차 위주로 등급이 개편될 것으로 보인다.

차량[편집 | 원본 편집]

객차[편집 | 원본 편집]

탕엥객차
1980년대 초반, 객차 충당을 위해 대만에서 수입해 온 객차. 이 녀석들의 특성이라면 비산식 화장실과 수동문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컨도 뒤집힌 사다리꼴 모양이었다. 당연히 현재는 전량 폐차되거나 역의 보선사무실로 사용되는 차량들이다.
직각형 무궁화호
탕엥객차와 비슷하지만 대우중공업에서 생산한 객차. 새마을호로 사용하다 무궁화호 특실로 넘어온 녀석들이 있었다. 일반실은 9부 창문 72석이었지만[19] 특실은 7부 창문 56석이었다.
구 새마을호 일반실
1990년대 초중반에 도입하여 내구 연한이 한참 남은 새마을호 일반실을 격하하여 중앙선·태백선 무궁화호 특실로 편성한다. 2000년대 오버홀 이후 새마을호 일반실의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으며, 격하 초기에는 선반과 객실 전후부 광고까지 랩핑된 채로 운행하기도 하였다.
나뭇결 객차
무궁화호 객차 2022.08.10.jpg
실내 벽이 베이지색이 아닌 나무무늬 시트지로 발린 차량. 1996년~1997년에 도입한 직접조명을 채용한 초기형과 1997~1999년에 도입한 간접조명을 채택한 후기형으로 나뉜다.
해태특실
별명대로 해태중공업에서 1998년에 도입하였다. 중앙선·태백선 열차에 1량씩 끼워넣어서[20] 특실로 운영한다. 객실은 나뭇결과 리미트의 중간적인 느낌으로, 6량이 재적중.
리미트객차
리미트 무궁화 내부.JPG
디자인리미트에서 2000년대 초반에 만든 객차. 최초 도입이 디자인리미트라서 리미트로 불리고 있지만, 이후에는 현대로템 등에서도 제작하였다. 이전의 무궁화호 객차와 달리 해태특실과 유사한 전망형 창문이 달려 금방 구별이 가능하다. 관광열차나 ITX-새마을 개조 등으로 재적수가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무궁화호 침대차
  • 직각침대차: 모양이 직각이고 화장실도 동양식 화장실이었다.
  • 신형침대차: 현재도 현역으로 굴러다니는 침대차다.

동차[편집 | 원본 편집]

  • EEC : 산업선 우등 여객 동차로 들어온 차량.
  • DEC : EEC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첨두부의 십자 마크로 구별 가능. 새마을호에서 격하된 타입.
  • NDC : RDC 이전 단편성 무궁화호로 운영하던 차량. 2000년대 중반 영업에서 제외되었다.
  • RDC : NDC의 빈 자리를 채우기 위해 통일호에서 승격개조를 거친 차량. 동대구역에 가면 중단거리 무궁화호로 아주 많이 볼 수 있다. 원판이 통일호급인 CDC였던지라 승차감 자체가 뭔가 좀 더 많이 위아래를 오가는 느낌이 든다.

계통[편집 | 원본 편집]

2004년 KTX의 개통 이전에는 통일호 윗 등급의 나름 급행인 열차였으나 KTX 개통과 함께 통일호가 폐지되면서 자연스럽게 통일호의 자리를 무궁화호가 대체하게 되었다. 이는 무궁화호의 주 역할이 주요 간선의 완행열차 및 새마을호가 들어가지 않는 노선의 급행/완행열차의 성격을 가지게 된 것을 의미한다.

나름 특급이라고 나온 열차를 완행으로 굴리다보니 소요 시간도 늘어나고, 지연 회복성이 나빠졌다. 2010년대 들어 주요 지선에도 전철화가 이루어져 여객 견인은 전기기관차 위주로 투입하고, 잇따른 폐역으로 정차역이 감소하면서 사정이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

  • 2023년 12월 29일 시간표 기준
  • 굵은 글자: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역

경부선 계열[편집 | 원본 편집]

경부선 (1200번대, 1300번대)
1200번대는 서울~부산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1310번대는 서울~대전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1340번대는 동대구~부산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1350번대는 대전~부산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경부충북선 (1280번대)
서울~제천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누리로로 대체운행했던 적이 있다.
충북선 (1700번대)
대전~제천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계통 번호 정차역 운행
경부선 1200 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21] - 평택 - 성환[21]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이원 - 심천[22] - 영동 - 황간 - 추풍령 - 김천 - 구미 - 약목[23] - 왜관 - 신동[24]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25] - 부산 매일 9왕복
경부선 1310 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26]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대전 평일 6왕복
주말 5왕복
경부선 1340 동대구 - 경산 - 남성현[27]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 평일 2왕복
주말 1왕복
경부선 1350 대전 - 옥천 - 이원[28] - 지탄[29] - 심천 - 영동 - 황간 - 추풍령 - 김천 - 구미 - 약목 - 왜관 - 신동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30] - 부산 매일 6왕복
경부충북선 1280 서울 - 영등포 - 수원 - 오산[31] - 평택 - 천안 - 전의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삼탄[32] - 봉양[32] - 제천 매일 1왕복
충북선 1700 대전 - 신탄진 - 조치원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삼탄 - 봉양 - 제천 매일 8왕복

호남선 계열[편집 | 원본 편집]

호남선 (1400번대, 1980번대)
1400번대는 용산~목포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1420번대는 용산~광주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1440번대는 용산~익산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1460번대는 서대전~광주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1470번대는 익산~목포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정확한 열차번호는 1469, 1473(하행), 1470(상행)이다.
1470번대는 익산~광주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정확한 열차번호는 1472(상행)이다.
1980번대는 광주~목포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정확한 열차번호는 1981(하행), 1474, 1982(상행)이다.
전라선 (1500번대)
1500번대는 용산~여수엑스포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1530번대는 익산~여수엑스포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장항선 (1550번대)
용산~익산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계통 번호 정차역 운행
호남선 1400 용산 - 영등포 - 안양[33] - 수원 - 평택 - 성환[33] - 천안 - 전의[34]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35]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36]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목포 매일 2왕복
호남선 1440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37] - 평택 - 천안 - 전의[37]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매일 2왕복
호남선 1470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38]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목포 매일 1왕복[39]
호남선 1420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40] - 서정리[41]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42] - 조치원 - 부강[40]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43]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극락강 - 광주 매일 2왕복
호남선 1460 서대전 - 계룡 - 연산[44]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극락강 - 광주 매일 2왕복
호남선 1470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 매일 익산행 1편성
호남선 1980 광주 - 극락강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 매일 1왕복[45]
전라선 1500 용산 - 영등포 - 안양[46] - 수원 - 오산[47] - 서정리[48]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47] - 조치원 - 부강[49]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삼례 - 전주 - 임실 - 오수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매일 4왕복
전라선 1530 익산 - 삼례 - 전주 - 임실 - 오수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매일 6왕복
장항선 1550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도고온천 - 신례원 - 예산 - 삽교 - 홍성 - 광천 - 청소 - 대천 - 웅천 - 판교 - 서천 - 장항 - 군산 - 대야 - 익산 매일 9왕복

중앙선 계열[편집 | 원본 편집]

중앙선 (1600번대, 1620번대)
1600번대는 청량리~부전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1620번대는 청량리~제천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평일에만 운행한다.
태백선 (1630번대, 1640번대)
1630번대는 청량리~동해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2020년 3월 2일부터 왕복 1편성을 제외한 나머지 열차가 누리로로 대체되었다가 2021년 1월 5일부터 다시 무궁화호로 운행한다.
1640번대는 제천~동해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이 역시 같은 기간 동안 누리로로 대체되었다.
영동선 (1670번대)
동해~동대구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영동동해선 (1680번대)
동해~부전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계통 번호 정차역 운행
중앙선 1600 청량리 - 양평 - 용문 - 지평 - 일신[50] - 매곡[50] - 양동 - 서원주 - 원주 - 봉양[51]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 안동 - 의성 - 탑리 - 화본 - 신녕 - 영천 - 아화 - 경주 - 북울산 - 태화강 - 남창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매일 2왕복
중앙선 1620 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52] - 일신[52] - 매곡[52] - 양동 - 삼산[52] - 서원주 - 원주 - 봉양[52] - 제천 평일 1왕복
태백선 1630 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 - 일신 - 매곡 - 양동 - 삼산 - 서원주 - 원주 - 봉양[53] - 제천 - 쌍룡 - 영월 - 예미 - 민둥산 - 사북 - 고한 - 태백 - 동백산 - 도계 - 신기 - 동해 매일 4왕복
태백선 1640 제천 - 쌍룡 - 영월 - 예미 - 민둥산 - 사북 - 고한 - 태백 - 동백산 - 도계 - 신기 - 동해 매일 1왕복
영동선 1670 동해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양원 - 분천 - 현동 - 임기 - 춘양 - 봉화 - 영주 - 안동 - 의성 - 탑리 - 화본 - 신녕 - 북영천 - 하양 - 동대구 매일 2왕복
영동동해선 1680 동해 - 신기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양원 - 분천 - 현동 - 임기 - 춘양 - 봉화 - 영주 - 안동 - 의성 - 영천 - 경주 - 북울산 - 태화강 - 남창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영주: 매일 1왕복
부전: 매일 1왕복

동해선 계열[편집 | 원본 편집]

동해선 (1730번대, 1760번대)
1730번대는 포항~영덕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1760번대는 부전~포항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동해대구선 (1750번대, 1790번대)
1790번대는 동대구~부전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원래 1770번대에 속해있었다.
계통 번호 정차역 운행
동해선 1730 포항 - 월포 - 장사 - 강구 - 영덕 매일 5왕복
동해선 1760 포항 - 안강 - 서경주 - 경주 - 북울산 - 태화강 - 남창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태화강: 매일 1왕복
부전: 매일 1왕복
동해대구선 1790 동대구 - 하양 - 영천 - 경주 - 북울산 - 태화강 - 남창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매일 3왕복

경북선 계열[편집 | 원본 편집]

경북선 (1800번대)
김천~영주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과거에는 부산~영주 구간을 운행했으나 셔틀화하는 대신, 하루 3편성에서 5편성으로 늘렸다.
계통 번호 정차역 운행
경북선 1800 김천 - 옥산 - 청리 - 상주 - 함창 - 점촌 - 용궁 - 개포 - 예천 - 영주 매일 5왕복

경전선 계열[편집 | 원본 편집]

경전선 (1900번대, 1940번대, 1950번대, 1970번대)
1900번대는 동대구~진주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1940번대는 부전~순천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원래 포항~순천 구간을 운행했었다.
1950번대는 부전~목포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1970번대는 순천~광주송정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계통 번호 정차역 운행
경전선 1900 동대구 - 경산 - 남성현[54] - 청도 - 상동 - 밀양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매일 6왕복[55]
경전선 1940 부전 - 사상 - 구포 - 화명 - 물금 - 원동 - 삼랑진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 매일 3왕복
경전선 1950 부전 - 사상 - 구포 - 화명 - 물금 - 원동 - 삼랑진 - 한림정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56] - 목포 매일 1왕복
경전선 1970 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매일 3왕복

파생형[편집 | 원본 편집]

무궁화호 객차의 개조상품(?)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 리미트 개조품이고 가끔 동급의 동차를 개조한 것이 있다.

  • 레일크루즈 해랑 : 리미트 객차를 개조한 것이다. 무궁화 가격으로는 절대 승차가 불가능한 후덜덜한 가격을 자랑한다. 무궁화호 객차를 개조한 녀석들 중에서 가장 비싼 몸값(?)을 가진 편성이다.
  • 팔도장터관광열차 : 무궁화호 객차에 전국 각 도별 특색을 담은 래핑을 한 관광열차이다.
  • 남도해양열차 : S트레인이라 불리는 편성. 객차 자체는 리미트 객차를 개조한 것으로 등급은 새마을호 특실 등급이다.
  • 백두대간협곡열차 : V트레인이라 불리는 편성. 과거 무궁화호 뒤쪽에 붙어서 딸려다니던 고속소화물차를 개조한 것으로 엄밀히 따지면 무궁화호 객차를 개조한 것은 아니다.
  • 정선아리랑열차 : 일명 A트레인이라 불리는 녀석이다. 등급은 새마을호 특실 등급이지만 객차는 리미트 객차를 개조한 것이다.
  • 서해금빛열차 : 일명 G트레인이라 불리는 녀석. 리미트 객차를 개조한 것으로 A트레인과 마찬가지로 새마을호 특실 등급으로 취급한다.

각주

  1. '무료 와이파이 소외' 무궁화호 열차 이용객들 불만”, 《동아일보》.
  2. 무궁화호 열차 무료 와이파이 후기.
  3. '입일일부터 운행 서울-부산간 육시간 40분에 초특급열차 '무궁화'호', 동아일보 1960년 2월 11일 보도
  4. 서울~東大邱(동대구) 月末(월말)엔釜山(부산)도 「優等列車(우등열차)」신설運行(운행), 동아일보
  5. 冷暖房(냉난방)시설 優等列車(우등열차) 운행 우선 서울~東大邱(동대구) 왕복, 매일경제
  6. 7월1일부터 서울~釜山(부산) 새마을호增設(증설) 龍山(용산)~城北(성북)간 電動車(전동차)운행, 매일경제
  7. 中央(중앙)·全羅線(전라선) 우등열차 始発駅(시발역)서 개통식, 매일경제
  8. 21일부터 서울~長項(장항)간에—우등列車增設(열차증설), 매일경제
  9. 長項線(장항선)에 優等(우등)열차 21일부터 하루1回(회), 경향신문
  10. 우등列車(열차) 12개신설, 매일경제
  11. 11월부터 湖南(호남)·嶺東(영동)·太白線(태백선)에 優等列車(우등열차)신설, 동아일보
  12. 京釜線特急(경부선특급)을「우등」으로, 경향신문
  13. 優等(우등)열차 무궁화호 특급 統一號(통일호)로改名(개명), 경향신문
  14. 鐵道廳(철도청) 10月(월)부터 무궁화·통일호 차표 電算(전산)발매 예매는1週日前(주일전)…10日前(일전) 왕복표도 팔아, 동아일보
  15. 서울~春川(춘천) 직행動車(동차) 운행, 동아일보
  16. 京春線(경춘선) 최신형動車(동차)운행, 경향신문
  17. 무궁화号(호) 열차 女乘務員(여승무원) 배치, 매일경제
  18. 鐵道廳(철도청) 29일부터 운행 「한줄 의자5개」무궁화號(호)폭넓혀, 동아일보
  19. 중간에 3-2 배열 78석으로 개조되기도 했다.
  20. 1호차로 편성된다
  21. 21.0 21.1 상행 1편성(1216)만 정차
  22. 하행 2편성만 정차
  23. 상행 4편성만 정차
  24. 하행 1편성(1209)만 정차
  25. 상행 1편성(1206)만 정차
  26. 상행 1편성(1316)만 정차
  27. 주말 미정차
  28. 하행 1편성(1361)만 정차
  29. 하행 1편성(1357)만 정차
  30. 상행 1편성(1360)만 정차
  31. 하행만 정차
  32. 32.0 32.1 상행만 정차
  33. 33.0 33.1 하행 1편성(1401)만 정차
  34. 상행만 정차
  35. 상행만 정차
  36. 상행 1편성(1404)만 정차
  37. 37.0 37.1 상행 1편성(1442)만 정차
  38. 하행만 정차
  39. 하행은 1편성 추가 운행
  40. 40.0 40.1 상행 1편성(1424)만 정차
  41. 하행 1편성(1421)만 정차
  42. 상행 1편성(1422) 정차
  43. 하행 1편성(1423)만 정차
  44. 상행 1편성(1462)만 정차
  45. 상행 1편성 추가 운행
  46. 상행 1편성(1506)만 정차
  47. 47.0 47.1 하행 1편성(1503)만 정차
  48. 하행 3편성만 정차
  49. 상행 1편성(1502)만 정차
  50. 50.0 50.1 상행 1편성(1602)만 정차
  51. 하행 1편성(1601)만 정차
  52. 52.0 52.1 52.2 52.3 52.4 상행만 정차
  53. 상행 1편성(1638)만 정차
  54. 상행 1편성(1902)만 정차
  55. 하행 1편성은 마산까지만 운행
  56. 상행만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