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마

媽媽. 조선시대에 서열상 세자 이상의 왕실 인사들에 대해서만 쓰였던 극존칭. 원래는 엄마를 의미하는 구어체 중국어 단어인 마마에서 기원하였다.

법도상 민간에서는 국왕과 왕세자도 마마로 부를 수 있었으나(상감마마, 세자마마), 국왕과 왕세자는 공식석상에서는 주로 전하와 저하라는 존칭으로 불렸고 주로 마마로 불리운 것은 왕비(중전)과 모후(대비) 그리고 대왕대비였다. 인간의 수명상 대왕대비의 존재가 흔하지는 않았으므로 마마라고 불리울 수 있는 것은 보통 왕, 세자, 중전, 대비 네 사람이다.

한국 사극에서 가장 빈번히 고증에 완전히 어긋나는 활용을 보여주는 부분 중 하나로, 사극에서는 왕의 적자인 대군과 적녀인 공주 그리고 세자빈은 물론 서자군과 후궁까지 마마로 부르는데 이는 명백히 잘못된 것이다. 조선시대에 마마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즉 절대왕권과 직결된 존재들이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이를 마마로 부르면 이는 반역이다. 세자빈은 그나마 마노라로 불렸다지만, 태종 시절에 조선의 봉작체계가 확립된 이래 대군과 서자군의 공식 직함은 어디까지나 대감(그러니까 대군대감/나으리)이었고, 최상위 품계의 후궁인 빈과 공주 및 옹주의 공식 직함은 '자가'였다. 왕위계승자가 아닌 왕의 자식이라면 미성년일 땐 궁 내에서는 아기씨라 불리고, 혼인해서 출가하면 마님이라 불리는 것.

그나마 전통적으로 한국 사극에서 이런 고증이 제대로 지켜져온 것은 계유정난 관련 매체 정도이다. 사극식 마마 호칭에 익숙해져있다가 계유정난 관련 매체를 접하면 '수양대군은 적통 왕자인데 왜 마마가 아니라 나으리라고 부르는거지?'라고 생각할 수도있는데, 사실은 원래 그게 정상이다(...). 특히 사육신 인사들이 세조에게 '너는 찬탈한 대군일 뿐이지 임금이 아니야!'라는 것을 어필하기 위해 상감마마로 부르지 않고 나으리라 부르는 것이 강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