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나 카르타: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참고)
잔글 (오류 수정 (빈칸))
 
(사용자 12명의 중간 판 4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마그나 카르타 (게임)||소프트맥스의 게임}}


{{퍼온문서|마그나 카르타|13536176}}
'''마그나 카르타'''(Magna Carta) 또는 '''대헌장'''(大憲章)은 [[1215년]] [[잉글랜드]]의 왕 [[존 (잉글랜드의 왕)|존]]이 승인한 칙허장이다. 왕권을 제약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한다. 현재 [[영국]] [[관습헌법]]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 평가된다.
{{노잼}}
[[파일:Magna Carta (British Library Cotton MS Augustus II.106).jpg|thumb|230px|마그나 카르타]]
[[File:Magna Carta (1297 version, Parliament House, Canberra, Australia) - 20080416.jpg|thumb|[[오스트레일리아 국회의사당]]에 마그나 카르타 1297년판이 전시되어 있다]]
'''마그나 카르타'''({{llang|la|Magna Carta, Magna Carta Libertatum}}, {{llang|en|the Great Charter of Freedoms}}) 혹은 '''대헌장'''(大憲章)은 [[1215년]] [[6월 15일]]에 영국의 [[잉글랜드의 |존 ]]이 귀족들의 강요에 의하여 서명한 문서로, 국왕의 권리를 문서로 명시한 것이다. 왕에게 몇 가지 권리를 포기하고, [[법적 절차]]를 존중하며, 왕의 의지가 [[법치주의|법에 의해 제한]]될 수 있음을 인정할 것을 요구했다. 국왕이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을 문서화하기 시작하여 전제 군주의 절대 권력에 제동을 걸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흔히 영국 [[민주주의]]의 시발점으로 강조되는 것과 달리, 문서 자체에 민주주의적 요소는 없다. 이 문서에서 민주주의의 시사점은 후대에 국왕과 대립이 발생했을 때 계속 확대 해석된 것이다.


== 배경 ==
== 배경 ==
[[1189년]] [[잉글랜드의 헨리 2세|헨리 2세]]의 뒤를 이어 [[잉글랜드의 리처드 1세|리처드 1세]]가 즉위했다. 그러나 그는 10년간을 [[십자군 전쟁]]과 프랑스와의 전쟁으로 외국에 있었고, 본국에는 단지 6개월 가량만 있었다. 따라서 사실상 그의 동생인 존이 왕 역할을 하고 있었다(존은 헨리 2세의 아들이자 리처드 1세의 동생이다).
당시 잉글랜드의 선대왕이었던 존 왕의 형 사자심왕 [[리처드 1세]][[십자군 원정]]에 참여하는 등의 전쟁으로 이미 당시 영국의 국가재정은 파탄상태에 가까웠다. 형의 뒤를 이어서 즉위한 존은 형의 명성에 꽤나 컴플렉스를 가지고 있었는지 대외적으로 이런 저런 전쟁을 계속하여 벌이게 된다. 그러나 전쟁을 계속 벌였음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쪽 전선은 노르망디쪽 일부 영토만 남겨놓고 오히려 프랑스에게 역관광을 당하면서 탈탈 털려먹게 되고 결과적으로 {{ㅊ|판돈}} 돈이 거덜나버린 파탄난 재정을 메꾸기 위해 존 왕은 [[귀족]]들에게 세금을 거두려 했다. 그러나 잦은 전쟁으로 안그래도 병사를 빼내고 봉신의 의무를 다하는 데에 불만이 쌓여왔던데다 일반적으로 면세특권을 누려 왔던 귀족들이 무리한 세금징수에 불만을 가지지 않을 리 만무하다. 게다가 당시 존 왕은 교황과의 사이도 좋지 않았으니, [[버틸 수가 없다]]. 결국 귀족들이 [[세금]]을 내지 않겠다고 [[배째라|배를 째면서]], 오히려 왕에게 왕권을 제한하는 [[문서]]에 서명할 것을 강요하게 되니 그것이 바로 마그나 카르타(대헌장).
 
10년 뒤인 [[1199년]], 사자왕 리처드 1세가 사망하자 존이 정식으로 대관식으로 즉위했다.
[[프랑스]]의 [[프랑스의 필리프 2세|필리프 2세]]는 리처드 1세의 아들인 아서 왕자(브르타뉴 공)가 정당한 왕위 계승자라고 주장하였고, 프랑스로 존 왕을 소환하였으나 존 왕은 거절하였다(이때는 영국 왕은 프랑스 국왕에 대해 신하 관계에 있었다).
 
존 왕은 프랑스와 영토 전쟁을 명목으로 조세를 대폭 상향 조정했다. 그러나 프랑스와 전쟁에서 크게 패하여 [[노르망디]]의 대부분을 빼앗겼고, 교황과의 충돌로인해 [[파문]]을 당했다.
 
노르망디의 대부분을 빼앗기고 영주들과 대립 관계에 놓였고, 교회와도 맞섰으며, 귀족이나 도시에 대해 과도한 세금을 매긴 존 왕에게 귀족과 성직자들이 반발을 일으킨 것은 당연했다.
 
결국 영국 내에서는 반란이 일어났다.
 
"마그나 카르타(Magna Carta)"라 불리는 이 문서는 존 왕과 귀족들 간의 이러한 무력 충돌의 결과, 수세에 몰린 존 왕이 전통적으로 귀족들이 누리던 봉건적 권리와 지위를 재확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봉신과 주군 간의 봉건적 관계에서 봉신이 지는 의무는 흔히 "조언과 원조(concilium et auxilium)"로 요약된다. 존 왕은 당시 프랑스에서 자신이 오래 수행해 온 전쟁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봉신들의 이 의무를 악용하여 수탈을 거듭하였으며, 이것이 봉건 귀족들을 자극하게 된 것이다.
 
이 문서 중, "어떠한 군역세 또는 봉건 원조도 우리 왕국의 공통된 조언(commune consilium)에 의하지 않고서는 징수하지 않는다"는 조항(제12조)은 특히 유명하다. 이 조항은 후일 일반적으로 징세에 대해서는 의회의 동의가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되게 된다. 또한 "자유민은 그와 동등한 자의 적법한 판정(judicium parium suorum)에 의하지 않고는 체포, 구금되거나, 재산이 박탈되거나, 법적 보호가 박탈[되지 않는다]"는 조항(제39조)은 후대의 법률가와 역사가들에 의하여 배심재판을 보장하는 뜻으로 해석되어 왔지만, 원래의 의미는 봉건 영주가 전통적으로 누리던 봉건법정을 열 권한을 보장하는 내용이었다.
 
"카르타(Carta)"는 중세 영국 법제하에서 특정 집단에게 국왕이 부여하는 특혜나, 구체적 양허사항을 담고 있는 문서를 말한다. 도시, 직업 집단, 대학교 등에게 국왕이 부여하는 특혜(libertates; liberties)를 규정한 문서들이 바로 그것이다. "마그나 카르타" 또한 이 범주를 넘어서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현대적 의미의 "인권선언"과는 거리가 멀다. 그러나, 법제도의 변천과정에서 흔히 그러하듯이, 과거의 문서가 담고 있는 의미는 후세의 해석자들이 지배하게 되며, 마그나 카르타는 후대의 해석을 통하여 민주주의와 시민의 권리를 보장하는 문서로 각인되게 되었다.
 
== 경과 ==
‘'''대헌장'''’(大憲章)으로 번역된다. 존의 실정(失政)에 견디지 못한 귀족들이 런던 시민의 지지를 얻어 왕에 압력을 넣어 템스 강변의 러니미드에서 왕에게 승인하도록 한 귀족 조항을 기초로 작성되었다. 원문에는 개조번호(個條番號)가 없으나 '''18세기 이래 63개조로 정리'''되어 있다. 새로운 요구를 내놓은 것은 없고, 예로부터 관습적인 모든 권리를 확인한 문서로서 '''교회의 자유, 봉건적 부담의 제한, 재판 및 법률, 도시 특권의 확인, 지방 관리의 직권 남용 방지, 사냥, 당면한 애로 사항의 처리 등 여러 규정'''을 포함하고 있다.
 
[[1215년]] [[6월 15일]], 존 왕이 날인한 문서, 이것이 바로 '''마그나 카르타'''(혹은 '''대헌장''')이다.


== 마그나 카르타의 내용 ==
== 마그나 카르타의 내용 ==
다음은 마그나 카르타의 주요 조항 중 일부이다.
당시 영국에는 [[왕]]이라고 해서 자기 마음대로 하지 못하는 [[불문율]]이 이미 있었다. 사실 마그타 카르타의 내용 자체는 이전부터 관례적으로 내려오던 것을 문서로 확인한 것에 불과하지만, 국왕의 서명이 들어간 법적인 문서라는 것에 의의가 있다. 대강의 내용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제1조''' 교회는 국왕에게 자유롭다
* '''제12조''' 오래된 관습상 인정되어 온 것(관례로 굳어진 것) 외의 과세 혹은 봉건 지원금은 귀족들의 자문을 거치지 않으면 부과할 수 없다. 다만 왕이 인질이 되었을 때의 협상금, 왕의 아들이 기사가 될 때 필요한 비용, 왕의 장녀가 시집을 갈 때 필요한 비용 등은 예외로 한다.
* '''제12조''' 왕의 명령만으로는 전쟁 협력금 등의 명목으로 세금을 거둘 수 없다
* '''제21조''' [[대귀족]]은 동료 귀족에 의해서만 처벌될 수 있다. 그러나 큰 죄목(반역죄 등)일 경우로만 제한한다.
* '''제13조''' 런던과 다른 자유시들은 교역의 자유가 있고, 자체적으로 관세를 정한다
* '''제39조''' 자유민은 동등한 신분을 가진 자에 의한 합법적 재판 혹은 국법에 의하지 않고서는 체포, 감금, 추방, 재산의 몰수 또는 어떠한 방식의 고통도 받지 않는다.
* '''제14조''' 왕은 이러이러한 때에만 의회를 소집할 수 있다
 
* '''제39조''' 자유민은 법이나 재판을 통하지 않고서는 자유, 생명, 재산을 침해받지 않는다.<ref> 원본과 법률화된 조항에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원본의 경우 39조 항이 저 항목이지만, 법제화된 항목의 경우 29조입니다. </ref>
조약의 내용들로 알 수 있듯이 대헌장은 오직 성직자와 귀족, 그리고 봉건 제후의 권리만을 보장하는 문서였다. 또한 이 문서에서의 자유민이란 성직자, 귀족, 자유 시민(거주와 이주의 자유가 있는 평민)을 뜻한다.
 
== 결과 및 의의 ==
마그나 카르타로 인해 왕의 권한은 크게 줄어들었고 귀족과 성직자들의 권리는 크게 늘었다. 이는 곧 의회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마그나 카르타는 원래 고위 귀족신분만을 위한 문서였으나 후대에 가서는 부르주아 시민들에 대한 것으로 확대 해석되었다. 특히 12조에서의 왕의 과세권 제한 내용은 이후에 발생한 [[권리 청원]], [[권리 장전]] 등의 영국 부르주아혁명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고, 영국 의회정치의 기틀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에드워드 코크의 견해==
[[파일:Edward coke.jpg|thumb|right|[[에드워드 코크]]는 마그나카르타가 귀족만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고 해석했다.]]


[[에드워드 코크]] 경은 마그나 카르타를 깊게 논평한 최고의 법학자 중의 한 명이다. 그는 1225년 판본을 해석했는데, 마그나 카르타가 귀족만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고 해석했다. 코크는 마그나 카르타가 수백년 간 잘못 해석되어 왔다고 비판했다.<ref>Turner, Ralph V. ''Magna Carta'' Longman (2003) 148</ref> 그는 마그나 카르타의 자유들(liberties)이 개인의 자유(individual liberty)과 같은 것이라고 해석했다.<ref>Holt, J.C. ''Magna Cart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nd edition (1992) p12</ref>
== 마그나 카르타의 실효 ==
당시 최강의 [[교황권]]을 누리던 [[인노첸시오 3세]]가 "너희들 아무리 내가 국왕과 사이가 안 좋아도 그렇지 어디서 왕을 협박해!"라고 하는 바람에 마그나카르타는 무용지물이 되어버렸다. 그 직후에 [[헨리 3세]] 파인 [[윌리엄 마셜]]이 이끄는 [[왕당파]]가 반란군들을 박살내고, 설상가상으로 존 왕의 뒤를 이은 [[헨리 3세]]는 "존 왕과 약속했지 나하고 약속한건 아니잖아" 라면서 무시해버렸다. 마그나 카르타라는 문서는 이제 아무런 규범성도 가지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다음화에 계속]]


코크는 마그나 카르타의 자유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1628년 [[권리청원]]을 기초했다. 권리청원을 제정하는 토론 중에, 코크는 국왕의 주권을 부정하는 유명한 주장을 했다. 그는 국왕이 아니라 성문법이 절대적이라고 믿었다.<ref>Turner, Ralph V. ''Magna Carta'' Longman (2003) 157</ref>
== 뒤늦은 주목 ==
몇백 년 동안 잊혀졌다가 [[국왕]]과 [[의회]]가 대립하게 된 17세기에 주목받게 되었다. 귀족들은 이 마그나 카르타를 기반으로 전제 왕권과 대결했다. 이 대립은 [[청교도 혁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에드워드 코크]] 경과 같은 법관들은 마그나 카르타를 연구해 [[법치주의|법에 의한 지배]]라는 개념을 확립하게 되었다.


==참고==
본래 마그나 카르타는 귀족들의 [[특권]]을 철저하게 주장하는 내용이었지만 세월이 지나다보니 해석이 달라지면서 평등사상의 전파와 법치주의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헌법]]
현재 마그나 카르타는 성문의 헌법이 없는 현재의 영국에서 헌법과 같은 지위를 가지는 법령 중 하나이다. 다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현재 대부분의 조항들은 다른 법령에 의하여 또는 자연스럽게 효력을 잃게 되었다.
* [[십자군전쟁]]
* [[잉글랜드의 존|존]]
* [[잉글랜드의 리처드 1세|리처드 1세]]
* [[권리장전]]
* [[권리청원]]
* [[영국 의회]]


== 주석 ==
{{주석}}
{{각주}}
[[분류:세계사]]
[[분류:영국의 정치]]
[[분류:헌법]]

2021년 6월 19일 (토) 23:42 기준 최신판

마그나 카르타(Magna Carta) 또는 대헌장(大憲章)은 1215년 잉글랜드의 왕 이 승인한 칙허장이다. 왕권을 제약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한다. 현재 영국 관습헌법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 평가된다.

배경[편집 | 원본 편집]

당시 잉글랜드의 선대왕이었던 존 왕의 형 사자심왕 리처드 1세십자군 원정에 참여하는 등의 전쟁으로 이미 당시 영국의 국가재정은 파탄상태에 가까웠다. 형의 뒤를 이어서 즉위한 존은 형의 명성에 꽤나 컴플렉스를 가지고 있었는지 대외적으로 이런 저런 전쟁을 계속하여 벌이게 된다. 그러나 전쟁을 계속 벌였음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쪽 전선은 노르망디쪽 일부 영토만 남겨놓고 오히려 프랑스에게 역관광을 당하면서 탈탈 털려먹게 되고 결과적으로 판돈 돈이 거덜나버린 파탄난 재정을 메꾸기 위해 존 왕은 귀족들에게 세금을 거두려 했다. 그러나 잦은 전쟁으로 안그래도 병사를 빼내고 봉신의 의무를 다하는 데에 불만이 쌓여왔던데다 일반적으로 면세특권을 누려 왔던 귀족들이 무리한 세금징수에 불만을 가지지 않을 리 만무하다. 게다가 당시 존 왕은 교황과의 사이도 좋지 않았으니, 버틸 수가 없다. 결국 귀족들이 세금을 내지 않겠다고 배를 째면서, 오히려 존 왕에게 왕권을 제한하는 문서에 서명할 것을 강요하게 되니 그것이 바로 마그나 카르타(대헌장)다.

마그나 카르타의 내용[편집 | 원본 편집]

당시 영국에는 이라고 해서 자기 마음대로 하지 못하는 불문율이 이미 있었다. 사실 마그타 카르타의 내용 자체는 이전부터 관례적으로 내려오던 것을 문서로 확인한 것에 불과하지만, 국왕의 서명이 들어간 법적인 문서라는 것에 의의가 있다. 대강의 내용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제1조 교회는 국왕에게 자유롭다
  • 제12조 왕의 명령만으로는 전쟁 협력금 등의 명목으로 세금을 거둘 수 없다
  • 제13조 런던과 다른 자유시들은 교역의 자유가 있고, 자체적으로 관세를 정한다
  • 제14조 왕은 이러이러한 때에만 의회를 소집할 수 있다
  • 제39조 자유민은 법이나 재판을 통하지 않고서는 자유, 생명, 재산을 침해받지 않는다.[1]

마그나 카르타의 실효[편집 | 원본 편집]

당시 최강의 교황권을 누리던 인노첸시오 3세가 "너희들 아무리 내가 국왕과 사이가 안 좋아도 그렇지 어디서 왕을 협박해!"라고 하는 바람에 마그나카르타는 무용지물이 되어버렸다. 그 직후에 헨리 3세 파인 윌리엄 마셜이 이끄는 왕당파가 반란군들을 박살내고, 설상가상으로 존 왕의 뒤를 이은 헨리 3세는 "존 왕과 약속했지 나하고 약속한건 아니잖아" 라면서 무시해버렸다. 마그나 카르타라는 문서는 이제 아무런 규범성도 가지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다음화에 계속

뒤늦은 주목[편집 | 원본 편집]

몇백 년 동안 잊혀졌다가 국왕의회가 대립하게 된 17세기에 주목받게 되었다. 귀족들은 이 마그나 카르타를 기반으로 전제 왕권과 대결했다. 이 대립은 청교도 혁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에드워드 코크 경과 같은 법관들은 마그나 카르타를 연구해 법에 의한 지배라는 개념을 확립하게 되었다.

본래 마그나 카르타는 귀족들의 특권을 철저하게 주장하는 내용이었지만 세월이 지나다보니 해석이 달라지면서 평등사상의 전파와 법치주의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현재 마그나 카르타는 성문의 헌법이 없는 현재의 영국에서 헌법과 같은 지위를 가지는 법령 중 하나이다. 다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현재 대부분의 조항들은 다른 법령에 의하여 또는 자연스럽게 효력을 잃게 되었다.

각주

  1. 원본과 법률화된 조항에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원본의 경우 39조 항이 저 항목이지만, 법제화된 항목의 경우 29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