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구역

동대구
주소 대구광역시 동구
노선 경부고속선 267.5 km
경부선 326.3 km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4.9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대구교통공사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하는 철도역. 경부고속선, 경부선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정차한다.

역 옆에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가 들어서, 철도-시외버스-도시철도 간 환승이 용이하다. 4개로 흩어져 있었던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들과 동부정류장, 남부정류장을 모두 통합했다. 주변 환승정보 또한 해당 문서를 참고.

역사[편집 | 원본 편집]

1호선 역사

인프라[편집 | 원본 편집]

  • 대중교통 환승
    지하철 동대구역과 코레일 동대구역, 동대구터미널, 시내버스 정류장이 어우러져 최고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자랑한다.
  • KTX 특송
    "동대구역지하도" 버스 정류장 부근(제2주차장 부근)에 위치한다.
  • TMO
    북쪽 출구로 나가서 오른쪽에 위치한다. 리모델링을 한 번 거쳤기 때문에 내부는 깔끔하고, 환승 대기하는 장병들을 위해 음료수와 인터넷 PC를 제공한다. 2010년대 초반에 내부 리모델링을 위해 사무실을 폐쇄하고 대합실 내 창구를 하나 빌려 TMO를 운영했다.
  • 코레일 라운지
    제1맞이방 2층에 위치, 약 40석 규모
    • YTN & 연합뉴스TV 시청
    • 커피 자판기 및 휴대폰 충전 (무료)
    • 인터넷 검색 (무료) 및 인쇄 서비스 (유료)

시설[편집 | 원본 편집]

KTX · 일반열차[편집 | 원본 편집]

동대구
주소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73
노선 경부고속선 267.5 km
경부선 326.3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개업일 1969년 6월 10일
코드 15

한국철도공사의 경부선, 경부고속선 철도역.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550에 위치한다.

대한민국에서 발착 편수가 가장 많은 역으로, 경부선, 경부고속선을 경유하는 열차는 반드시 동대구역에 정차하며 중앙선, 동해남부선, 경전선, 경북선, 영동선 열차들이 분기하거나 합류하는 중요한 역이다. 승객수도 서울역에 이어 2위.

수요에 맞춰 제2맞이방을 열긴 했는 데 눈에 띄지 않는 곳이라 주 맞이방만 사람이 넘쳐난다.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가 개장하면서 제2맞이방과 연결된 8번 출구에 활기가 생긴 편이다. 복합환승센터 공사와 함께 진행된 동대구역 주변 고가도로 건설로 인해 제2맞이방 방면으로도 택시 승차장이 생겼다. 제2맞이방에 위치한 상업시설은 스토리웨이, 롯데리아, 엔젤리너스가 전부. 제2맞이방에 위치한 곳들이 상대적으로 한가한 편이니 여유롭고 조용하게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맞이방이 제격이다.

동대구터미널이나 도시철도로 들어가려면 2번 출구로 나가면 된다. 2번 출구를 이용해 열차에 탑승하려면, 2번 출구에서 자동발매기 오른쪽으로 들어가면 13·14번 타는 곳과 맞닿은 통로가 있다. 해당 통로를 통해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2번 출구로 나가는 건 그 역순.

1호선[편집 | 원본 편집]

동대구역
주소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지하530
번호  135 
노선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4.9 km
관할 대구교통공사
개업일 1998년 5월 2일
승강장 2면 2선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지하530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코레일 동대구역과 연계된다. 정확한 명칭은 '동대구역역' 되시겠다. 대구 지하철 참사 후 완전 복구되기 전까지 큰고개역의 회차선을 이용해 종착역으로 기능했었다.

2면 2선의 평범한 상대식 승강장으로, 반대방향으로 횡단이 불가능한 구조라서 초행길에 주의가 필요하다. 스크린도어 가동중.

코레일 동대구역이나 동대구터미널로 들어가려면 2번 출구에 연결된 신세계 백화점 지하통로로 나가면 된다. 굳이 터미널을 거치지 않고 코레일 동대구역을 간다면 터미널 3층으로 올라가서 출구를 찾으면 된다. 모든 출구가 역과 터미널 앞에 몰려 있어서 도로횡단 기능은 없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유행 당시 동대구역에서 가짜 뉴스를 연출한 유튜버가 있었다. 폐렴환자 추격전을 구성한 것.[1]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시흥분기점 방면
김천구미 53.1 km
동대구 부산 방면
신경주 49.0 km
서울 방면
대구 3.1 km
동대구 부산 방면
고모 5.5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대구 도시철도[편집 | 원본 편집]

1호선
설화명곡 방면
 134  신천
 135  동대구역 안심 방면
 136  동구청

여객열차[편집 | 원본 편집]

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 목록
종류 노선 정차역 (구간운행 포함)
KTX 경부선 (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서대구 - 동대구 - 경주 - 울산 - 부산
경부선 (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서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물금 - 구포 - 부산
경부선 서울 - 영등포 - 수원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경주 - 울산 - 부산
경전선 (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서대구 - 동대구 - 경산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진주)
동해선 (행신 -) 서울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포항
SRT 경부선 수서 - 동탄 - 평택지제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서대구 - 동대구 - 경주 - 울산 - 부산
경전선 수서 - 동탄 - 평택지제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진주
동해선 수서 - 동탄 - 평택지제 - 천안아산 - 오송 - 대전 - 김천(구미) - 동대구 - 포항
ITX-마음 경부선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대전 - 김천 - 구미 - 대구 - 동대구 - 구포 - 부산
동해선 동대구 - 하양 - 영천 - 경주 - 북울산 - 태화강 - 기장 - 신해운대 - 부전
ITX-새마을 경부선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밀양 - 삼랑진 - 물금 - 구포 - 부산
경부선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밀양 - 구포 - 부전 - 신해운대
경전선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옥천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함안 - 진주
무궁화호 경부선 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이원 - 지탄 - 심천 - 영동 - 황간 - 추풍령 - 김천 - 구미 - 약목 - 왜관 - 신동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
영동선 동해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양원 - 분천 - 현동 - 임기 - 춘양 - 봉화 - 영주 - 안동 - 의성 - 탑리 - 화본 - 신녕 - 북영천 - 하양 - 동대구
동해대구선 동대구 - 하양 - 영천 - 아화 - 경주 - 북울산 - 태화강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경전선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한림정 - 진영 - 진례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충북종단 동대구 - 대구 - 신동 - 왜관 - 약목 - 구미 - 김천 - 추풍령 - 황간 - 영동 - 각계 - 심천 - 지탄 - 이원 - 옥천 - 대전 - 신탄진 - 부강 - 조치원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삼탄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누리로 경부선 동대구 - 경산 - 청도 - 밀양 - 구포 - 부산
동해대구선 동대구 - 하양 - 영천 - 아화 - 서경주 - 안강 - 포항
중앙선 동대구 - 하양 - 영천 - 아화 - 경주 - 북울산 - 태화강
정확한 정차역은 열차 운영사의 안내를 참고하세요.
  • SRT 개통으로 개정된 시각표에 의해 경부고속선 2단계 개통으로 사라졌던 동대구 착발 KTX가 1일 1왕복 부활했다. 해당 열차의 번호는 상행 06시 40분 출발하는 286열차와 하행 00시 58분에 종착하는 281열차이다. 평일에는 KTX-산천이 배차되며, 금요일을 포함한 주말에는 수요를 고려해 KTX-I이 배차된다. 해당 열차는 동대구와 서울 사이 모든 역에 정차한다.

여담[편집 | 원본 편집]

  • 2017년 하반기까지 진행된 동대구역 고가교와 2016년 12월까지 진행한 동대구복합환승센터 공사로인해 역사 주변은 물론이고, 역사내 승강장 곳곳이 공사관계로 어수선한 분위기였다. 특히 KTX를 취급하는 상행선 10, 11번 승강장도 고가도로 공사와 관련하여 1~6호차, 17호차 이후의 승강장의 대부분을 가벽으로 막아두고 공사를 하였기에 매우 비좁았고, 각종 중장비 소음은 물론이고 승강장에 지게차나 사다리차같은 중장비들도 진입하여 승객들의 불편함이 발생했었다.
  • 고속열차 플랫폼은 승객들이 오르내리는 계단위치가 10호차 근처에 위치하여 이보다 짧은 KTX-산천 계열 단편성 열차들은 계단에서 한참 떨어진 곳에 정차[6]한다. 이때문에 간혹 승차위치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승객들이 황급히 승차위치로 뛰어가는 광경도 흔히 접할 수 있다. 안내방송도 정차할 열차가 KTX-산천일 경우 산천 위치로 가서 기다리라고 나온다.
  • 배차간격이 매우 짧고 승강장들이 굉장히 많다. 이는 동대구역을 지나는 모든 열차가 동대구역에 반드시 정차하기 때문이다. 열차가 너무 많고 승강장 홈들도 많아 기차를 놓치는 승객들도 있다. 동대구역에는 기차가 딱 1분(!)만 정차하므로 시간을 매우 정확하게 맞추어야 한다.

각주

  1. 철도청고시 제113호
  2. 철도청 고시 제1993-19호
  3. 철도청 고시 제1995-24호
  4.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561호
  5.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030219093101806
  6. 동대구역에서 경전선과 동해선 계통 복합열차가 결합/분리를 진행하기에 단편성 기준으로 정차위치를 조절하기 어렵다. 즉 모든 10량 규격의 KTX-산천 단편성도 KTX-I의 규격에 맞춰서 정차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