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이름

Mykim5902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5월 16일 (일) 21:26 판 (→‎계층)

도메인 이름(Domain name)은 인터넷에서 특정 네트워크 영역을 가리키는 식별자를 말한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규약이기도 하다. 호스트까지 가리키는 식별자는 FQDN이다.

개요

인터넷에서 네트워크나 호스트를 가리키는 주소는 기본적으로 IP 주소다. 하지만 전화번호도 외우기 버거운데 수십억개가 넘는 IP 주소를 일일이 외우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전화번호부에서 이름과 전화번호를 매칭하는 것 처럼 IP 주소도 이름을 매칭시켜 주는데, 여기서 매칭되는 것이 도메인 이름이다.

계층

(www) .gwanbo .mois .go .kr .
호스트 2차 이하 고유 이름 TLD 루트
  • 루트 도메인(.)
    도메인 이름의 종료 지점을 알리는 점으로, 원래 도메인 이름을 쓸 때 맨 마지막에 온점(.)을 찍어야 한다. 하지만 편의상 생략되는 경우가 많고 일부러 집어넣어도 생략된 채로 뜨는 경우가 많다. 루트 도메인도 DNS 서버가 있으며, 전세계 13곳에서 운영하며 TLD 정보만 가지고 있다.
  • 최상위 도메인(Top Level Domain; TLD)
    주소에서 가장 오른쪽에 오는 부분으로, 사이트의 목적이나 국적을 구분하기 위해 존재한다. .com, .net 처럼 신청만 하면 발급에 거의 문제가 없는 것들도 있지만, .int(국제기구), .gov(정부기관)처럼 특정 기관에만 발급되는 것도 있다.
    • 일반 최상위 도메인(General TLD; gTLD)
      국가에 상관없이 발급되는 TLD로, 3자리 이상이다. 기존에는 인터넷주소관리기구(ICANN) 주도로 계획되어 .com, .net, .gov 같이 3자리로 된 것 밖에 없었으나, 2008년 nTLD(새로운 최상위 도메인) 정책이 도입되면서 일반 명사 뿐만 아니라 고유 명사(.google 같은 것들)도 돈만 내면 등록이 가능해졌다.
    • 국가 최상위 도메인(Country Code TLD; ccTLD)
      .kr, .jp 같은 ISO 3166 2자리 코드를 사용하는 TLD다. 여기서 gTLD의 선례를 따라 목적을 구별하는 2레벨 도메인(.co, .go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프랑스(.kr)처럼 그런 것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의 경우 2006년부터 2레벨 도메인을 생략하는 "퀵돔"을 도입하면서 2가지를 모두 사용하는 형태다. 미국의 경우 .us가 있긴 한데 쓰는 모습을 보기 어렵고 gTLD를 그냥 쓰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다.
  • 고유 도메인 이름
    TLD 앞에 붙는 고유 명칭으로, 실질적인 이름 역할을 담당한다. gTLD를 사용한다면 2레벨 이름, ccTLD를 사용한다면 3레벨 이름이 된다. 일반적으로 영문자와 숫자만 사용하지만, 국제화 도메인이 도입되면서 퓨니코드로 변환할 수 있는 언어면 무엇이든지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조직내에서 DNS 서버를 운영한다면 이 고유 도메인 관리를 위한 서버다.
  • 2차 도메인 이름 이하
    고유 도메인 이하의 계층을 말한다. TLD에 따라 3~4레벨 이름인데 통상 2차 도메인이라고 퉁친다. 등록한 도메인 안에서는 도메인 소유자 마음대로 할 수 있으므로, 하위 도메인을 계속 분할해서 1st.2nd.3rd.4th.example.com 같은 도메인 이름을 만들 수 있다. 2차 도메인을 각 기관별로 떼어줬다면 DNS 권한을 위임하여 독자적인 DNS 서버를 두기도 한다.

관리

  • 등록
    도메인 이름은 주소관리기구에서 소정의 수수료를 주고 등록할 수 있으며, 유지비로 연간 일정액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대부분 주소관리기구가 직접 관리하지 않고 등록대행업체나 리셀러를 통해 등록한다.
  • 사용
    도메인 이름을 등록했다면, DNS 서버를 통해 자신의 도메인 이름을 관리할 수 있다. 내부에 전문가가 있는 게 아니라면 보통 등록대행업체에서 DNS나 리디렉션 같은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이를 활용하는 것이 편하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