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우스 엑스 마키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Luft(토론)의 편집을 Lordproducer의 마지막 버전으로 되돌림)
12번째 줄: 12번째 줄:
== 예시 ==
== 예시 ==
*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메데이아]]> 의 결말부에서 복수를 마친 주인공 메데이아가 신이 보낸 용이 끄는 수레 <s>모양을 한 기중기</s> 를 타고 하늘에서 내려와 [[이아손]]을 비난하며 떠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이를 뜬금없는 구성이라며 깠다.
*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메데이아]]> 의 결말부에서 복수를 마친 주인공 메데이아가 신이 보낸 용이 끄는 수레 <s>모양을 한 기중기</s> 를 타고 하늘에서 내려와 [[이아손]]을 비난하며 떠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이를 뜬금없는 구성이라며 깠다.
{{주석}}

2015년 5월 21일 (목) 15:05 판

틀:토막글

Deus ex machina.[1] 기계 장치의 신. 투명드래곤

개요

갑자기 치트 캐릭터가 등장하거나, 개연성이 없는 갑작스러운 사건이 발생해 이야기의 흐름을 바꿔버리는 것을 일컫는다.

이 말이 만들어질 당시인 고대 그리스에서는, 연극에서 무대장치를 탄 배우가 내려와서 "나는 올림푸스에서 온 신이다." 라고 말하더니 나쁜 놈들을 모두 벌 주고 하늘로 돌아가버리는 전개가 흔히 있었다. 이 전개에 현대 한국 드라마의 시청자들이 느끼는 바와 같이 화가 난 아리스토텔레스가 이런 클리셰를 비판한 것이 기원이다.

예시

  •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메데이아> 의 결말부에서 복수를 마친 주인공 메데이아가 신이 보낸 용이 끄는 수레 모양을 한 기중기 를 타고 하늘에서 내려와 이아손을 비난하며 떠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이를 뜬금없는 구성이라며 깠다.
  1. 'God from machine' 이라는 뜻의 라틴어. ἀπὸ μηχανῆς θεός 라는 그리스어를 직역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