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 고왕

(대조영에서 넘어옴)
고왕(高王)
생몰년도 ? ~ 719년 3월
즉위 전 고구려 유민
부모 아버지 걸걸중상
재위 698년 ~ 719년
시호 고왕(高王)
묘호 (없음)
국적 발해

발해 고왕(渤海 高王, 생년 미상~719년, 재위 기간 698년~719년)은 발해의 제1대 국왕으로서 흔히 대조영(大祚榮)으로 알려졌다. 본디 고구려 장군 출신으로, 고구려가 신라당나라 연합군에 의해 멸망된 이후 당나라로 끌려갔다가 만주 지방으로 다시 돌아와 말갈족과 연합하여 당의 추적을 뿌리쳤으며 이후 동모산에서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인 발해를 건국하며 왕위에 오른다.

역사에 따르면 발해를 '진국'이라 부른 이력이 있다. 이는 당나라에서 걸걸중상을 '진국공'이라는 칭호로 불렀는데 당나라가 발해를 낮게 평가하려고 이렇게 저술한게 아니냐는 의논이 이어지기도 했다. 당나라의 사람들이 지은 역사서에서는 대조영이 '진국을 세우고 왕을 자처했다'고 서술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발해에 대한 역사를 기록한 서적이 부족한데다 유물의 발굴이나 현장 조사 등 진행이 무척 느리기 때문이다. 게다가 발해의 영토 대부분이 중국의 영토이다보니 발해를 서로의 역사라고 싸우는 판국에 중국이 한국 조사단을 긍정적으로 볼 수도 없기 때문이다.

생애[편집 | 원본 편집]

고구려군에 소속된 장수였으며 667년 당과 신라의 침공으로 고구려가 멸망한 후 고구려의 유력층으로 분류된 대조영을 포함한 일가족들은 당나라의 영주라는 곳으로 강제 이주된다.

이후 696년 당의 억압적인 이민족 지배정책에 반감을 가진 거란족들이 이진충과 손만영의 지휘 아래 반란을 일으켰으며 이때 발생한 영주의 혼란을 이용해 대조영 일가는 고구려 유민들과 걸사비우의 말갈족과 함께 당으로부터의 탈출을 감행한다. 이후 거란의 반란을 진합한 당나라는 이들에게 관직을 하사하며 회유하려 했으나 거부하고 당의 추격군을 격파한 후 동모산을 거점으로 하여 국호를 진(震)으로 정하고 연호를 정하며[1] 발해를 건국한다.

698년 진이라는 국호를 정했다가 측천무후가 발해군왕에 대조영을 봉함으로 국호가 발해로 바뀐다. 보하이만(bohai)의 지명을 따서 붙였다고 한다. 다만, 대조영이 직접 발해를 택했다는 주장도 있는데 이런 경우 발해라고 이름 지은 지명의 유래가 경박호라 부르는 한카호(Khanka)가 된다고 한다. 3대 왕인 문왕은 일본과 교류 할 때에 '고려'라는 국호를 사용했다고 한다.[2]

그러나 발해는 그 역사서가 온전한 것이 없고 대체로 타국에서 발해와 접점이 있을때 나타나는 서술을 통해서만 발해의 존재를 파악하고 있다. 즉, 대조영이 건국 후 나라를 어떻게 운영하였는지 그 내용이 자세히 없다.[3]

가계[편집 | 원본 편집]

  • 아버지: 걸걸중상
  • 어머니: 알수 없음
  • 아들: 발해 무왕(대무예)
  • 아들: 대문예
  • 손자: 발해 문왕(대흠무)[4]

출신 논란[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대조영의 연호는 천통이라는 설이 있으나 《환단고기》와 태씨 족보에만 기술된 내용이라 불명확하다.
  2. 고려가 이렇게 일찍 나온 이유는 문왕이 고려라는 국호를 처음 사용한게 아닌 고구려 장수왕 시절 장수왕이 정식 국호를 고려로 바꾸었기 때문이다.
  3. 학자들은 문서가 전쟁으로 인해 모두 소실되었거나 자연재해로 인해 소실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정확하진 않다고 한다.
  4. 대무예의 아들이다.
역대 발해 국왕
걸걸중상/건국 1대 고왕 대조영 2대 무왕 대무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