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 당시 뉴스 특집보도[1]
520 001 203908374EF427B9136B09.jpg 20141022182705901.jpeg
사고 당시 신문기사 사고 현장

1995년 4월 28일,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영남중학교 근처 네거리 지하철 공사장에서 폭발이 일어났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건설 과정에서 발생한 참사이자 안전불감증의 전형적인 사례.

사고 과정[편집 | 원본 편집]

사고는 오전 7시 52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2공구 공사장에서 갑작스럽게 거대한 폭발이 발생하였다. 사고 시간이 학생들의 등교시간과 직장인들의 출근시간이 겹친 아침이라서 인명피해가 컸고, 특히 인근 영남중학교에 등교하던 학생들의 피해가 매우 컸으며, 해당 학교 교사 1명도 희생되었다.

사고 원인[편집 | 원본 편집]

조사 결과, 폭발 원인인 가스 누출은 지하철 공사장이 아닌 사고 지역에서 남쪽에 위치한 대구백화점 상인점 신축공사장의 시공과정에 있었음이 밝혀졌다. 당시 백화점 공사장에서 그라우팅을 위한 천공작업을 위해 직경 75mm 크기의 구멍 31개를 굴착하는 과정에서 천공기가 도시가스 배관을 관통하며 가스가 누출되었다. 도시가스 배관이 손상되었음에도 즉각적인 폭발은 발생하지 않았으나, 누출된 대량의 가스는 하수도관을 통해 유출되었으며,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 특성상 지하철 공사를 위해 깊숙하게 굴착된 저지대인 사고 장소에 흘러들었다. 그리고 공사현장에서 원인 미상의 불꽃[2] 등의 이유로 폭발하였다. 거대한 폭음과 함께 50m가 넘는 거대한 불기둥이 솟아올랐고, 당시 개착식 공법으로 공사장 상부에는 도로를 대체하는 복공판이 깔려있었는데, 사고 시간에는 등교길, 출근길 등으로 많은 차량이 사고지점을 통과하고 있었다. 폭발과 함께 상부를 지탱하던 철골 구조물과 복공판이 사방으로 흩어졌고, 복공판 위를 통과하던 차량들 역시 폭발에 휘말려 종잇장처럼 구겨지거나 지하로 추락하는 등 큰 인명피해를 야기했다.

피해[편집 | 원본 편집]

  • 인명피해
    • 사망 : 101명
    • 부상 : 202명
  • 재산피해
    • 차량 152대 파손
    • 복공판 400m 이상 파손
    • 주변 건물 346채 파손
    • 피해액 : 약 540억원 이상

사고 시간이 등교길과 출근길이어서 인명피해가 컸으며, 특히 사고지점 인근에 위치한 영남중학교는 학생 42명, 교사 1명이 사망하는 큰 피해를 입었다. 또한 해당 지역을 순찰하던 경찰관 2명도 희생되었다. 폭발의 영향으로 지하 공사장을 지탱하던 육중한 철골 구조물과 복공판이 사방으로 파편이 되어 날아들었고, 이때문에 희생자들의 시신은 매우 처참한 모습이 많았다고 한다.

복구[편집 | 원본 편집]

사고가 발생하자 오전 8시 20분, 해당관청인 달서구청 대회의실에 약 350명으로 구성된 사고대책본부가 설치되었다. 5월 3일에는 사고수습본부로 개편되어 5개반 160명의 인력이 투입되었다.

사고 당일 응급조치의 일환으로 사고지역 주변 통제를 시작하였으며, 약 16,000여명의 인원 및 1,025대 가량의 중장비가 투입되어 사고 복구 및 희생자 수습에 나섰다. 부상자 치료를 위해 관내 의료기관 20여곳이 참여하였다.

5월 1일, 응급복구를 거쳐 끊겼던 상하수도, 전기, 가스 등 지하시설물의 기능이 되돌아왔고, 5월 12일에는 폭발로 흩어진 복공판 및 지하 철골 구조물 등에 대한 재정비를 거쳐 당일 새벽 4시부터는 사고지점 상부의 차량통행이 재개되었다.

처벌[편집 | 원본 편집]

사고 조사를 담당한 검경 합동수사본부는 사고원인을 제공한 대구백화점 상인점 시공사인 (주)표준개발의 과실을 밝혔다. 사고의 책임을 물어 회사 관계자 9명을 업무상 과실치사상 등의 죄목으로 기소하였고, 법원은 이들에게 징역 5년 등 실형을 선고했다. 또한 천공을 진행하였던 굴삭기 기사도 포함되었다. 검경 조사결과 사고 원인은 전형적인 안전불감증 및 체계적인 공사현장 관리감독의 부실로 드러났다.

  • 지하 굴착이 필요한 경우, 해당관청의 승인 및 지하 구조물이 설치된 경우 정확한 위치를 파악한 후 철저한 감독하에 공사를 진행해야 하나 당시 공사 관계자들은 이를 무시하고 무허가 불법굴착을 강행하였다. 이 사고 이전에 발생한 구포역 무궁화호 전복 사고의 원인도 무허가 발파로 밝혀진 것과 유사한 상황.
  • 시공사는 가스 누출을 파악하고도 30분이 지나서야 도시가스 회사에 연락하는 늑장 대응을 하였다.
  • 이 사고를 통해 지하에 매설된 각종 시설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에 대한 행정력 부족이 대두되었다.
  • 가스 누출시 자동화된 경보시스탬 등 제반 안전관리에 대한 보완책 부족도 드러났다. 이후 개선책으로 지하철 공사현장에 가스누출경보장치 설치가 의무화 되었다.
  • 이 사고를 통해 행정당국에 대한 비판이 크게 일어났고,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대책기구가 설립되었으며, 도로법 및 도시가스사업법 등 관계 법령의 개정을 가져왔다.

여담[편집 | 원본 편집]

  • 사고 이후 유족들을 중심으로 추모행사가 진행되어 왔다. 공식적인 추모행사는 10주년을 끝으로 마감되었으나, 유족들은 희생자의 넋을 기리고, 사고의 교훈을 잊지 말자는 취지로 자체적인 추모행사를 이어왔다. 그리고 2015년 4월 28일, 달서구 학산공원에서 구청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주년 추도식이 공식적으로 진행되었다.
  • 가스누출 신고를 접수한 가스공사 직원은 부랴부랴 누출현장으로 출동했으나 안타깝게도 도착하기 전에 폭발이 발생하였고, 서둘러 인근 가스배관을 차단시켜 더 큰 사고를 막았다고 한다.
  • 이 사고 역시 김영삼 정부 집권기 발생한 대형 참사중 하나이며, 사고가 발생하자 김영삼 대통령은 직접 사고 현장을 순시하였다.

각주

  1. 지금은 정치인으로 자리잡은 정동영 의원의 기자 시절 젊은 모습을 볼 수 있다.
  2. 공사장에서 용접 등 불꽃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흔하기 때문에 공사 과정 자체를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기는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