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

냉전은 이 한 장으로 요약된다.

냉전(冷戰, 영어: Cold War)은 20세기 후반, 소비에트 연방을 위시한 공산주의(사회주의) 진영과 미국을 위시한 자본주의(자유주의) 진영이 대립하던 구도를 가리킨다. 확대된 의미로는 두 비등한 강대국이 서로 전쟁하지는 않되 적극적으로 견제하는 체제를 뜻하기도 한다.

냉전 시기는 20세기 후반 가장 격렬하게 세계가 대립했던 시기이며, 우발적 핵전쟁이 수천 번 일어날 뻔했던 시기이고, 이데올로기가 모든 것을 지배했던 시기였다. 이 시기 미국과 소련은 세계를 두고 극한으로 대립했으나 전쟁으로 비화되지는 않았다. 물론 한국이나 베트남 등에서 열전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어원 및 개념[편집 | 원본 편집]

냉전의 어원은 1946년 미국 대통령 고문 바루크(Bernard Baruch)의 참모였던 허버트 스워프(Herbert B. Swope)로부터 유래했다.[1] 스워프의 발언으로 부터 냉전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냉전이라는 개념은 정부의 관료에게서 나왔기 때문에 어떤 시점부터 냉전이었다고 규정하기가 매우 어렵다.그냥 대충 내뱉은 말이 얻어 걸렸으니 그래서 냉전의 기간에 대한 논쟁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어떤 학자는 19세기 나폴레옹 전쟁 이후 영국러시아의 대결에서부터 찾기도 하고, 어떤 학자는 1917년 공산혁명 이후의 대립부터라 말하기도 한다.

흔히들 하는 말로 '얄타(1945)부터 몰타(1989)까지'라 말한다.

원인[편집 | 원본 편집]

냉전의 기원에 대해서 총 세 가지 해석이 존재한다. 전통주의(Traditionalism), 수정주의(Revisionism) 그리고 후기 수정주의(Post Revisionism)이다. 전통주의는 냉전의 원인을 소련에게서 찾는다. 전통주의자들에 따르면 냉전이 발생한 것은 소련의 팽창적 행보[2]에 의한 것이라 설명한다. 전통주의자들은 냉전이 소련의 팽창적인 움직임에 미국은 당연히 맞설 수밖에 없었고, 그로 인해서 냉전이 시작되었다고 말한다. 즉, 전통주의자들은 냉전의 원인이 소련에게 그 책임이 있다고 보고 있다. 이 해석의 주요 대변자로는 캐넌(G. Kennan)과 덜레스(J. F. Dulles)가 있고, 학자로는 질라스(M. Djilas), 댈린(D. Dalin) 등이 있다.

수정주의는 전통주의 시각에 대한 저항으로 나타났다. 수정주의 시각은 냉전의 원인이 미국에게 있다고 본다. 수정주의는 1959년에 출간한 윌리엄 A. 윌리엄스(William A. Williams)의 『미국 대외정책의 비극』이라는 책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들은 냉전의 원인에 있어서 미국의 책임을 강조했다. 이들의 주장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이미 탈탈 털린 소련이 무슨 힘으로 미국과 싸우겠냐!! 였다. 그러므로 냉전은 힘없는 소련을 과대평가한 미국에게 있다고 보았다. 대표적인 학자로는 앞서 말한 윌리엄스, 콜코(G. Kolko), 호로비츠(D. Horowitz), 가드너(L. C. Gardner)가 있다.

후기 수정주의 시각은 수정주의 시각에서 전통주의 시각을 통합하는 것이다. 이들은 수정주의와 전통주의 두 시각의 문제, 한 진영에게만 책임이 있다고 보는 시각에서 탈피하여 이 양쪽의 책임을 강조했다. 후기 수정주의 시각에 의하면 냉전의 원인은 힘없으면서도 팽창하려는 소련과 힘없는 소련을 과대평가한 미국의 오해가 낳은 결과라 본다. 대표적인 대변자로는 로트(W. Loth), 여진(D. Yergin)이 있다.

전개[편집 | 원본 편집]

평가[편집 | 원본 편집]

국제정치학의 아버지인 케네스 월츠는 냉전의 시기를 가장 안정적인 시기라 말했다. 그에 의하면 냉전으로 인한 양극체제는 서로간의 경쟁을 통해 성장할 기회와 동시에 서로 간의 힘에 의해 전쟁을 예방하는 세력균형의 형태를 유지하기에 가장 안정적인 국제정치체제라 역설했다. 뭐 이 말은 사실 그대로 되었지만 냉전의 시기 얼마나 많은 전쟁이 일어날 뻔했으며, 핵전쟁의 가능성도 충분히 있었다. 그렇기에 이런 상황을 정말로 안정적인 형태라 말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이 대립을 하지 않은 이유로 핵무기로 인한 상호확증파괴를 두려워해서 그렇다는 의견이 있다. 물론 그런 부분이 아예 없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당시 핵무기의 공포는 그야말로 상상을 초월할 정도이니까 말이다. 대표적으로 영화 《닥터 스트레인지러브》가 핵전쟁에 대한 공포를 잘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냉전 시기의 평화가 단순히 이것 때문이라고 말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1947년 베를린 봉쇄 당시 미국은 핵무기를 런던에 전면 재배치했다. 그 시기 핵무기를 보유한 국가는 미국뿐이던 시기였다. 그러나 그런 핵 위협도 소련의 베를린 봉쇄를 풀 수 없었다. 이 봉쇄를 푼 것은 항공기를 동원한 수송작전이었다. 또한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에도, 미국은 이미 쿠바에 핵 미사일이 배치되었음을 인지했음에도 쿠바를 봉쇄했다. 이러한 것을 생각해본다면 핵 억제의 존재 및 실효성을 마냥 인정하기는 어렵다.

관련 문서[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베른트 슈퇴버 지음, 최승완 옮김, 『냉전이란 무엇인가』, 서울:역사비평사, 2008.
  2. 팽창적 행보의 원인으로는 나폴레옹 전쟁 이후 러시아가 보여준 팽창적 행보에 기인했다는 의견, 소련 공산주의 사상 자체가 팽창적이다는 의견, 당시 소련의 지도자인 스탈린이 히틀러와 같이 영토팽창의 야욕이 있다는 의견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