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IC카드

금융IC카드의 일종

기존의 마그네틱 카드를 대체하는 금융전용 스마트 카드.

한국에서는 금융결제원이 정한 “금융IC카드표준”에 의해 현금카드, 전자화폐, 보안 저장소가 통합된 전자 지갑으로 구상되었다. 한국에서 발행되는 IC 신용카드는 국제 표준인 EMV와 호환되며, 일반 금융IC카드도 표준안 자체에 ISO/IEC 7816에 대한 호환성을 확보해 두었다.

형태 및 기능

IC카드와 기존 마그네틱 카드의 다른 점은 전면에 약 1cm 크기의 노란색 금속 조각이 있다. 이 금속 조각은 집적회로며, 자체적인 암호화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는 IC카드 리더기가 있다면 그곳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용량이 너무 작아서 공인인증서 하나 우겨넣는 정도로 쓰인다.

사실 금결원의 금융IC카드 표준안에는 모두 다섯 가지 기능이 정의되어 있다. 온갖 잡다한 기능이 다 들어 있지만 물론 금결원의 희망사항일 뿐이고, 실제로는 현금카드만 근근히 쓰이는 상태.

  • 신용카드
  • 전자화폐(K-CASH)
  • 현금카드(금융공동망)
  • 직불카드(직불공동망)
  • 공인인증서 저장토큰

도입

뒷면에 검은 띠가 둘러져 있는 마그네틱 카드는 자성을 이용해 검은 띠에 카드 정보를 기록해 두고 리더기에 읽혀서 이용하는 방법이었는데, 기록할 때 암호화 따위없이 생으로 정보를 기록해 둬서 카드 복제 등의 휴유증이 심각했다. 이에 국내에서 2002년부터 IC카드[1] 시범도입이 시작되었으며, 정부는 현금카드는 2005년까지, 신용카드는 2008년까지 IC카드로 전면교체하기로 목표를 세웠다. 그리고 결과는 2012년에 보다시피 완전히 실패했다.

틀:날짜/출력부터 영업시간 내 ATM에서 마그네틱 카드 거래가 제한되어 은행 창구에는 기존 마그네틱 카드를 IC카드로 전환하려는 고객들로 장사진을 이루었다. 결국 금융감독원이 6월로 미루기로 결정했다.

신용카드 단말기 정보보호 기술 기준의 제정과 관련 법률 개정으로 2015년부터 설치되는 단말기는 IC 우선 승인을 내도록 법제화하여 이 시기 이후 개업하거나 단말기를 교체한 상점에서는 IC 결제를 실시하고 있으며,[2] 기존 마그네틱 전용 단말기는 3년 이내에 IC카드 결제 가능한 단말기로 교체하도록 유예기간을 두었기 때문에 2018년부터 IC카드로만 카드 결제가 가능하다.

마그네틱 띠를 생각할 필요가 없는 현금카드 같은 부류는 아예 마그네틱 띠가 없는 형태로 발급된다.

해외에서

이것이 널리 쓰이는 유럽의 경우, 신용카드직불카드 결제는 모두 IC칩을 통해 이루어진다. 먼저 IC카드를 리더기에 꽃아 놓고, 신용카드 소유자가 리더기에 PIN[3]을 입력한다. 그러면 결제가 성립되는 것이다. 그래서 카드사가 고객에게 해외여행갈때 가까운 은행에서 카드 비밀번호를 등록하라고 입이 닳도록 전달하는 것이다.

각주

  1. 말은 IC카드이지만 정확히 하면 뒷면에 마그네틱 띠가 있으므로 IC-마그네틱 복합카드.
  2. 21일부터 신용카드 단말기 IC카드 우선 승인, 머니투데이, 2015.07.19.
  3. 4자리다. 국내에서 발급받은 카드는 발급시 혹은 수령시 등록한 신용카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일부 국가 가맹점에서 6자리 PIN을 요구할 수 있는데, 이 때에는 신용카드 비밀번호 뒤에 00을 붙여 입력하라고 안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