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두 판 사이의 차이

(측정법 및 실질/명목금리 관련 내용 추가)
(토막글 틀 삭제)
1번째 줄: 1번째 줄:
{{토막글}}
==개요==
==개요==
금리는 예금이나 대출 등 금융 거래에서의 이자를 의미한다. 정확히는 자금 차입에 대해 지급하는 대가로 지급하는 이자금액 혹은 이자율. 통상적으로는 이자율의 의미로 쓰이나 여전히 혼용된다.
금리는 예금이나 대출 등 금융 거래에서의 이자를 의미한다. 정확히는 자금 차입에 대해 지급하는 대가로 지급하는 이자금액 혹은 이자율. 통상적으로는 이자율의 의미로 쓰이나 여전히 혼용된다.

2017년 10월 23일 (월) 23:18 판

개요

금리는 예금이나 대출 등 금융 거래에서의 이자를 의미한다. 정확히는 자금 차입에 대해 지급하는 대가로 지급하는 이자금액 혹은 이자율. 통상적으로는 이자율의 의미로 쓰이나 여전히 혼용된다.

측정

채권

채권의 이자율을 측정할 땐 명시된 이자율이 아닌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측정한다. 채권의 종류에 따라 세부적인 계산법은 다르나 현재가격과 미래에 지급받을 현금흐름이 일치하도록 만드는 이자율이 만기수익률이 된다. 통상적으로 채권가격과 만기수익률은 음의 관계를 갖고 있으며 만기가 많이 남아있을 수록 만기수익률, 즉 금리 변화에 따른 수익률 변동폭이 더 커진다. 따라서 장기채권의 가격은 금리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단기채권에 비해 변동성이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실질금리과 명목금리

명목금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통상적인 이자율이다. 하지만 명목금리는 인플레이션 발생에 따른 화폐가치의 하락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실질금리라는 개념이 등장하게 된다.[1] 물가연동국채(TIPS)의 원금과 이자는 물가변동분을 고려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물가연동국채의 금리를 통해 실질금리를 파악할 수 있으며 피셔방정식을 이용하여 기대인플레이션도 측정할 수 있다.

금리와 경기

금리는 가계의 저축과 기업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경기가 나쁠 땐 보통 기업안정성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기업 신용도가 떨어져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의 이자율이 높아지는 모습을 보인다. 반면 정부는 경기부양을 위한 통화정책 사용을 위해 단기 국채 이자율을 낮추곤 한다.[2]

종류

  • 기준금리 - 한국은행 등 중앙은행에서 정하는 금리이다. 시중은행 등의 금리는 이 기준금리에서 일정 비율을 더하는 경우가 많다.
  • 대출금리
  • 예금금리

각주

  1. 한국은행 경제교육, 경제용어 상세설명, 유동성 함정
  2. 미쉬킨의 화폐와 금융, Frederic S. Mishkin, Pearson, 10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