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수학): 두 판 사이의 차이

(앞에 왜 하는지 & 직관에 대한 설명을 추가했어요.)
잔글 (→‎소개)
3번째 줄: 3번째 줄:
==소개==
==소개==


''군'' (group)은 대충 말해, 덧셈 뺄셈이 가능한 집합이다. <ref?입맛에 따라 "곱셈 나눗셈"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ref> 즉, 어떤 집합에 정의된 적당한 추상적 연산이 몇가지 좋은 성질을 만족할 때 이걸 보고 "군"이라고 한다. 이 좋은 성질들은 다음과 같다:
''군'' (group)은 대충 말해, 덧셈 뺄셈이 가능한 집합이다. <ref>입맛에 따라 "곱셈 나눗셈"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ref> 즉, 어떤 집합에 정의된 적당한 추상적 연산이 몇가지 좋은 성질을 만족할 때 이걸 보고 "군"이라고 한다. 이 좋은 성질들은 다음과 같다:


* G의 원소들인 a와 b를 연산하면 다시 G의 원소가 된다. 즉, 연산에 대해 닫혀있다.
* G의 원소들인 a와 b를 연산하면 다시 G의 원소가 된다. 즉, 연산에 대해 닫혀있다.

2015년 4월 30일 (목) 00:57 판

틀:학술 관련 정보

소개

(group)은 대충 말해, 덧셈 뺄셈이 가능한 집합이다. [1] 즉, 어떤 집합에 정의된 적당한 추상적 연산이 몇가지 좋은 성질을 만족할 때 이걸 보고 "군"이라고 한다. 이 좋은 성질들은 다음과 같다:

  • G의 원소들인 a와 b를 연산하면 다시 G의 원소가 된다. 즉, 연산에 대해 닫혀있다.
  • a와 b의 연산을 a*b라고 쓰면, (a*b)*c=a*(b*c)가 된다. 이걸 요구하지 않으면 연산순서 때문에 a^n 같은걸 정의할 수 없어서 불편하다.
  • 어떤 e라는 원소가 있어서 a*e=a, e*a=a가 된다. 이게 항등원이다. 곱셈에서의 1 같은 존재이며 덧셈에서의 0같은 존재이다.
  • 각 원소 a에 대해서 a*c=e, c*a=e가 되는 c가 존재한다. 이게 역원이다. 곱셈에서의 1/x와 같은 존재이며 덧셈에서의 -x와 같은 존재이다.

예를 들어 {a, b}라는 집합을 두고 a+a=a, a+b=b+a=b, b+b=a 라고 정의하면 이것은 군이 된다. [2]

왜 할까?

수학, 물리, 화학, 공학 등에서 추상 연산을 정의하고 분석하는 행위는 아주 자연스럽게 여기저기서 등장하는 상황이다. 그렇다면 매번 추상 연산이 나타난 그 구체적인 상황을 면밀히 분석하는 대신에, 추상 연산들을 직접 분석하면 얼마나 간편할까? 이것이 군이론의 시작이다. 추상 연산에 대한 정보를 미리 연구하고 분류해놓음으로써 여기저기서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들을 한꺼번에 공략할 수 있는 것이다. 마치 "얼룩말 5마리와 돼지 8마리가 있으면 동물은 몇 마리가 있을까?" 라는 질문과 "몽쉘 5개와 칙촉 8개가 있으면 과자는 몇 개가 있을까?"라는 질문을 동시에 쉽게쉽게 대답하기 위해 숫자라는 개념이 나타난 것과 정확히 같은 맥락이다.

그렇다면 이상에서 말한 �추상적 연산 상황은 언제 등장할까?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 루빅스 큐브를 맞출 때, "옆면을 90도 앞으로 돌린다", "가운데 면을 90도 뒤로 돌린다" 따위의 행위를 원소로 생각하여 이 원소들을 죄다 모은다. 이 집합에서 a와 b의 연산은 "a를 시행한 후, b를 시행한다"는 변환으로 정의하면 이런 행위의 모임은 군이 된다.
  • 11같은 숫자를 고정해놓고, 1에서 10까지의 숫자를 죄다 모은다. 이 집합에서 a와 b의 연산은 a+b의 10에 대한 나머지로 정의하면 {1, 2, ... 10}은 군이 된다.
  • n x n 실수/복소수 행렬들 중 행렬값이 0이 아닌 것들만 죄다 모은다. 이 집합에서 A와 B의 연산은 행렬곱 AB로 정의한다. 이렇게 되면 이 모임은 군이 된다. 여기서 행렬값이 0이 아닌 것을 고집한 이유는, A 나누기 B를 정의할 수 있어야 (A/B는 A와 B의 역행렬을 곱한 것으로 정의) 어엿한 군으로 인정해주기 때문이다.
  • 화학/물리에서, 어떤 분자를 적당히 회전시켰을때 똑같은 모양이 되게 하는 회전변환을 원소로 생각하여 이 원소들을 죄다 모은다. 이 집합에서 원소간의 연산을 회전변환의 합성으로 정의하면 이것은 군이 된다.
  • 이밖에도 공간의 모양을 공부하기 위해 호몰로지, 호모토피 군을 정의하거나, 적당한 체 (field)의 변환을 모아놓고 "갈루아 군" 등을 정의할 수 있다. 정말 군은 여기저기서 다 나타난다.

위의 글에서 명백하게 서술되어있지는 않지만, 군이론의 등장은 매우 다양한 새로운 결과들을 얻게 해 주었다. (어떤것들? 추가바람)

이하에서는 이제 뜬구름 잡는 소리를 그만하고 군이 정말 무엇인지에 대해 논할 것이다.

정의

군(群, group)이란 다음 세 가지 공리를 만족하는 집합 [math]\displaystyle{ G }[/math]와 이항연산 [math]\displaystyle{ · :G \times G → G }[/math]의 쌍 [math]\displaystyle{ (G, ·) }[/math]을 말한다.

  1. 결합법칙을 만족한다. 그러니까 모든 [math]\displaystyle{ x, y, z \in G }[/math]에 대해서 [math]\displaystyle{ (x·y)·z=x·(y·z) }[/math]가 된다.
  2. 항등원이 존재한다. 그러니까 적당한 [math]\displaystyle{ e \in G }[/math]가 있어서 모든 [math]\displaystyle{ x \in G }[/math]에 대해서 [math]\displaystyle{ e·x=x·e=x }[/math]를 만족한다. 항등원은 존재하면 유일하므로[3], 이 원소를 그냥 [math]\displaystyle{ e }[/math]로 적고, 혼동의 여지가 있을 때는 [math]\displaystyle{ e_G }[/math]로도 적는다.
  3. 역원이 존재한다. 그러니까 모든 [math]\displaystyle{ x \in G }[/math]에 대해서 적당한 [math]\displaystyle{ y \in G }[/math]가 있어서 [math]\displaystyle{ x·y=y·x=e }[/math]가 된다. 역원도 존재하면 유일하므로[4], 이 원소를 그냥 [math]\displaystyle{ x^{−1} }[/math]로 적는다.

군의 연산은 보통 곱셈처럼 생각하며, 따라서 보통의 관습에 따라 [math]\displaystyle{ x·y = xy }[/math]처럼 적기도 한다. 아예 연산이 붙여쓰기(juxtaposition)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항등원은 1로도 많이 쓴다. 한편, 후술하는 아벨군의 경우에는 연산을 덧셈처럼 생각하고 표기도 [math]\displaystyle{ x+y }[/math]와 같이 하는 경우가 훨씬 많고, 이 경우 항등원은 0으로 많이 쓴다.

군의 대표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덧셈에 관해 군을 이루는 것
    • 정수 전체의 집합 [math]\displaystyle{ (\mathbb Z,+) }[/math], 유리수 전체의 집합 [math]\displaystyle{ (\mathbb Q,+) }[/math], 실수 전체의 집합 [math]\displaystyle{ (\mathbb R, +) }[/math], 복소수 전체의 집합 [math]\displaystyle{ (\mathbb C,+) }[/math].
    • 잉여군 [math]\displaystyle{ (\mathbb Z/n \mathbb Z, +) }[/math].
  • 곱셈에 관해 군을 이루는 것
    • 단원군(Unit group) [math]\displaystyle{ (\mathbb Z^\times, ·) }[/math], [math]\displaystyle{ (\mathbb Q^\times, ·) }[/math], [math]\displaystyle{ (\mathbb R^\times, ·) }[/math], [math]\displaystyle{ (\mathbb C^\times, ·) }[/math].
    • 복소수의 1의 [math]\displaystyle{ n }[/math]제곱근의 군 [math]\displaystyle{ \mu_n(\mathbb C) =\{ z \in \mathbb C : z^n=1\} }[/math].
    • 복소수에서 단위원군(Circle group) [math]\displaystyle{ \mathbb{T} = \{ z \in \mathbb{C} : |z| = 1 \} }[/math]
    • 행렬군(Matrix group)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GL}(V) }[/math],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SL}(V) }[/math],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O}(n) }[/math],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SO}(n) }[/math],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U}(n) }[/math],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SU}(n) }[/math],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Sp}(n) }[/math].
  • 그 밖의 것
    • 대칭군(Symmetric group) [math]\displaystyle{ S_n }[/math]
    • 교대군(Alternative group) [math]\displaystyle{ A_n }[/math]
    • 정이면체군(Dihedral group) [math]\displaystyle{ D_{2n} }[/math]
    • 갈루아군(Galois group) [math]\displaystyle{ Gal(K/F) }[/math].
    • 호모토피 군 (Homotopy Group) [math]\displaystyle{ \pi_n (X) }[/math]
    • 호몰로지 군 (Homology Group) [math]\displaystyle{ \H_n (X) }[/math]

군이 아닌 것의 예로는 자연수 전체의 집합을 들 수 있다. 자연수 전체의 집합은 덧셈에 대해서도, 곱셈에 대해서도 군이 아니다. 덧셈에 대해서는 항등원[5]과 역원이 없고, 곱셈에 대해서는 역원이 없다. 즉, [math]\displaystyle{ (\mathbb N,+) }[/math]은 1번 공리만 만족하여 반군(semigroup)이고, [math]\displaystyle{ (\mathbb N,·) }[/math]은 1,2번 공리만 만족해서 모노이드(monoid)이다.

군의 종류

[math]\displaystyle{ G }[/math]가 군일 때,

  • [math]\displaystyle{ G }[/math]아벨군(abelian group)[6]이라는 것은 교환법칙이 성립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모든 [math]\displaystyle{ x, y \in G }[/math]에 대해서 [math]\displaystyle{ xy=yx }[/math]가 성립한다.
    • 아벨군의 예: 위 군의 예 중 덧셈에 관해 군을 이루는 것 전부 및 아래 순환군.


  • [math]\displaystyle{ G }[/math]순환군(cyclic group)이라는 것은 적당한 [math]\displaystyle{ a∈G }[/math]가 있어서 [math]\displaystyle{ \left\lt a \right\gt =G }[/math]인 것이다. 이는 모든 [math]\displaystyle{ x∈G }[/math]에 대해 적당한 정수 [math]\displaystyle{ n }[/math]이 있어서 [math]\displaystyle{ x=a^n }[/math]꼴로 표현되는 것과 동치이다. 이때 [math]\displaystyle{ a }[/math][math]\displaystyle{ G }[/math]의 생성자(generator)라고 한다. 순환군은 가장 간단한 형태의 군이고, 모든 순환군은 아벨군이다.[7]
    • 순환군의 예: 자명군 [math]\displaystyle{ \{0 \} }[/math], 정수군 [math]\displaystyle{ ( \mathbb Z , + ) }[/math] , 잉여군 [math]\displaystyle{ (\mathbb Z/n \mathbb Z, +) }[/math]. 사실 모든 순환군은 이들 중 어느 하나와 동형(isomorphic)이다.


  • [math]\displaystyle{ G }[/math]단순군(simple group)이라는 것은 [math]\displaystyle{ G }[/math]의 정규부분군이 자기자신 [math]\displaystyle{ G }[/math]와 자명군 [math]\displaystyle{ \{ e \} }[/math]밖에 없는 것이다.


  • [math]\displaystyle{ G }[/math]소수 [math]\displaystyle{ p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p }[/math]군([math]\displaystyle{ p }[/math]‐group)이라는 것은, [math]\displaystyle{ G }[/math]의 모든 원소의 위수가 [math]\displaystyle{ p }[/math]의 거듭제곱인 것이다.


  • [math]\displaystyle{ G }[/math]가해군(solvable group)이라는 것은 적당한 [math]\displaystyle{ G }[/math]의 부분군들 [math]\displaystyle{ \{e \}=H_0⊴H_1⊴…⊴H_n=G }[/math]가 있어서 [math]\displaystyle{ H_i/H_{i−1} }[/math] ([math]\displaystyle{ i=1, …, n }[/math])가 모두 아벨군인 것이다.


또, [math]\displaystyle{ G }[/math]의 크기 [math]\displaystyle{ |G| }[/math][math]\displaystyle{ G }[/math]위수(order)라고 하는데, [math]\displaystyle{ G }[/math]의 위수가 유한하면 [math]\displaystyle{ G }[/math]를 유한군(finite group), 무한하면 [math]\displaystyle{ G }[/math]를 무한군(infinite group)이라고 부른다.

군 동형사상(Group Isomorphism)과 군 준동형사상(Group Homomorphism)

두 개의 군 [math]\displaystyle{ G }[/math][math]\displaystyle{ H }[/math]가 있고, [math]\displaystyle{ (G,*) }[/math]에서 [math]\displaystyle{ (H,*') }[/math]로 가는 함수 [math]\displaystyle{ f }[/math]가 있다고 하자. 이 함수가 모든 [math]\displaystyle{ x, y \in G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f(x*y) = f(x)*'f(y) }[/math]를 만족할 때, 이 [math]\displaystyle{ f }[/math]군 준동형사상(group homomorphism)이라고 부른다.

좀 더 정확하게는 [math]\displaystyle{ f }[/math]가 군의 이항연산 [math]\displaystyle{ · }[/math], 영항연산 [math]\displaystyle{ e }[/math], 단항연산 [math]\displaystyle{ {}^{−1} }[/math]을 모두 보존해야 하지만, 군에서는 이항연산 하나만 보존하면 나머지는 자동이므로 위처럼 정의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두 개의 군 [math]\displaystyle{ G }[/math][math]\displaystyle{ H }[/math]에 대해 군 준동형사상 [math]\displaystyle{ f : G \to H }[/math]가 존재하면 [math]\displaystyle{ H }[/math][math]\displaystyle{ G }[/math]준동형상(homomorphic image)이라고 한다.


만약 군 준동형사상 [math]\displaystyle{ f : G \to H }[/math]가 일대일대응(one‐to‐one correspondence)이면 군 동형사상(group isomorphism)이라고 부른다. 이때 두 군 [math]\displaystyle{ G }[/math][math]\displaystyle{ H }[/math]동형(isomorphic)이라고 하고, [math]\displaystyle{ G \approx H }[/math]로 적는다.

두 개의 군 [math]\displaystyle{ G }[/math][math]\displaystyle{ H }[/math]가 동형이라는 것은 두 군이 이름만 다르고 구조적으로 완전히 똑같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math]\displaystyle{ G }[/math][math]\displaystyle{ H }[/math]를 바꾸어도 된다).

  • [math]\displaystyle{ G }[/math]가 아벨군(순환군, 단순군, 가해군)이면, 군 [math]\displaystyle{ H }[/math]도 아벨군(순환군, 단순군, 가해군)이다.
  • [math]\displaystyle{ G }[/math]의 위수가 6이면, 군 [math]\displaystyle{ H }[/math]의 위수도 6이다.
  • [math]\displaystyle{ G }[/math]의 부분군이 4개이면, 군 [math]\displaystyle{ H }[/math]도 부분군이 4개이다.

동형인 군의 예는 다음과 같다.

  • [math]\displaystyle{ ( \mathbb Z/n \mathbb Z, +) \approx \mu_n ( \mathbb C ) }[/math][8]
  • [math]\displaystyle{ \mathbb Z^\times \approx \mathbb Z/2 \mathbb Z }[/math]
  • [math]\displaystyle{ \mathbb{T} \approx \mathbb{R}/\mathbb{Z} \approx U(1) \approx SO(2) }[/math]


부분군(Subgroup)

[math]\displaystyle{ G }[/math]의 부분집합 [math]\displaystyle{ H }[/math][math]\displaystyle{ G }[/math]부분군(subgroup)이라는 것은 [math]\displaystyle{ H }[/math][math]\displaystyle{ G }[/math]로부터 물려받은 연산에 관하여 다시 군이 되는 것을 말하고, [math]\displaystyle{ H \leq G }[/math]로 표기한다.

이때, [math]\displaystyle{ H }[/math]에서의 항등원 [math]\displaystyle{ e_H }[/math][math]\displaystyle{ G }[/math]에서의 항등원 [math]\displaystyle{ e_G }[/math]가 같은지 문제되고, 한 번은 확인해야 한다. 물론 [math]\displaystyle{ H }[/math]에서의 등식 [math]\displaystyle{ e_H e_H = e_H }[/math][math]\displaystyle{ G }[/math]에서의 등식 [math]\displaystyle{ e_H = e_H e_G }[/math]를 붙여 놓고 양변에서 [math]\displaystyle{ e_H }[/math]를 소거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는다. 그리고 항등원이 같은 이상 역원이 같은지는 앞의 유일성 증명에 의해 문제되지 않는다.

부분군의 대표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math]\displaystyle{ (\mathbb Z, +) \leq (\mathbb Q, +) \leq (\mathbb R, +) \leq (\mathbb C, +) }[/math]
  • [math]\displaystyle{ \mathbb Z^\times \leq \mathbb Q^\times \leq \mathbb R^\times \leq \mathbb C^\times }[/math]
  • [math]\displaystyle{ \mu_n ( \mathbb C ) \leq \mu_{m}(\mathbb{C}) \leq \mathbb{T} \leq \mathbb C^\times }[/math](만약 [math]\displaystyle{ m }[/math][math]\displaystyle{ n }[/math]의 배수일 때)
  •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 {SL} (V) \leq \operatorname {GL} (V) }[/math],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 {SO} (n) \leq \operatorname {O}(n) }[/math],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 {SU} (n) \leq \operatorname {U}(n) }[/math]


또 다음과 같은 것들도 부분군이다.

  • [math]\displaystyle{ \{ e \} \leq G }[/math], [math]\displaystyle{ G \leq G }[/math]
  • 부분군의 부분군은 부분군이다. 즉, [math]\displaystyle{ K \leq H \leq G }[/math]이면 [math]\displaystyle{ K \leq G }[/math]이다(정의에 의해 자명하다).
  • 부분군의 교집합도 다시 부분군이다. 즉, [math]\displaystyle{ H }[/math], [math]\displaystyle{ K \leq G }[/math]이면 [math]\displaystyle{ H∩K \leq G }[/math]이다(이것도 정의에 의해 자명하다).
  • [math]\displaystyle{ f : G → H }[/math]가 군 준동형사상이면,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 {ker} f \leq G }[/math]이고,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 {im} f \leq H }[/math]이다.[9]


한편, 잉여군 [math]\displaystyle{ ( \mathbb Z/n \mathbb Z, +) }[/math][math]\displaystyle{ ( \mathbb Z, +) }[/math]의 준동형상(homomorphic image)이지 부분군이 아니다.

[math]\displaystyle{ H }[/math][math]\displaystyle{ G }[/math]의 부분군인 것은 [math]\displaystyle{ H }[/math]가 다음 세 조건 (i) [math]\displaystyle{ x }[/math], [math]\displaystyle{ y∈H }[/math]이면 [math]\displaystyle{ xy∈H }[/math], (ii) [math]\displaystyle{ e∈H }[/math] 및 (iii) [math]\displaystyle{ x∈H }[/math]이면 [math]\displaystyle{ x^{−1}∈H }[/math]를 만족하는 것과 동치이다. 즉, [math]\displaystyle{ H }[/math]가 군의 이항연산 [math]\displaystyle{ · }[/math], 영항연산 [math]\displaystyle{ e }[/math], 단항연산 [math]\displaystyle{ {}^{−1} }[/math]에 대해 닫혀 있는 것과 동치이다.

정규부분군(Normal subgroup)과 몫군(Quotient group)

[math]\displaystyle{ G }[/math]의 부분군 [math]\displaystyle{ N }[/math]이 정규부분군(normal subgroup)이라는 것은 모든 [math]\displaystyle{ x∈G }[/math]에 대해서 [math]\displaystyle{ xN=Nx }[/math]인 것을 말한다. 그러니까, 좌잉여류와 우잉여류가 항상 같은 것이다. 이때 [math]\displaystyle{ N⊴G }[/math]와 같이 표기한다.

한편, 아벨군의 경우에는 교환법칙이 성립하므로 모든 부분군은 정규부분군이 된다.

정규부분군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 {SL}(V)⊴\operatorname {GL}(V) }[/math],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 {SO}(n)⊴\operatorname {O}(n) }[/math],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 {SU}(n)⊴\operatorname {U}(n) }[/math]
  • [math]\displaystyle{ A_n ⊴ S_n }[/math] [10]


또 다음과 같은 것들도 부분군이다.

  • [math]\displaystyle{ \{e \}⊴G }[/math], [math]\displaystyle{ G⊴G }[/math]
  • [math]\displaystyle{ f : G → H }[/math]가 군 준동형사상이면,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 {ker} f ⊴ G }[/math]이다.
  • [math]\displaystyle{ N≤H≤G }[/math]이고 [math]\displaystyle{ N⊴G }[/math]이면 [math]\displaystyle{ N⊴H }[/math]이다.
  • 지표(index)가 2인 부분군[11] 은 정규부분군이다.


[math]\displaystyle{ N }[/math][math]\displaystyle{ G }[/math]의 정규부분군이라면 (좌)[12]잉여류의 집합 [math]\displaystyle{ G/N = \{ xN : x∈G \} }[/math]에 아래와 같이 자명한 연산을 정의할 수 있고, 이 연산에 관해 [math]\displaystyle{ G/H }[/math]는 군이 되는데, 이를 몫군(quotient group)이라 한다. 자명한 방법이란, [math]\displaystyle{ xN, yN \in G/N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xN)(yN)=(xy)N }[/math]과 같이 정의하는 것이다. 이 연산이 잘 정의될 필요충분조건이 [math]\displaystyle{ N }[/math][math]\displaystyle{ G }[/math]의 정규부분군인 것이기 때문에 이때만 몫군을 정의한다. 한편, 이와 같은 연산의 정의는 전형적 사영(canonical projection) [math]\displaystyle{ \pi : G \to G/N }[/math], [math]\displaystyle{ x \mapsto xN }[/math]이 군 준동형사상이 되는 유일한 방법이기도 하다.

존재 이유

어떤 object 안의 흐름을 group을 통해서 관찰한다.[13]

군론의 기본 철학은 이것이며, 군이라고 이름붙이는 것들은 대부분 이런 철학을 가진다. 이게 무슨 소리냐면, 예를 들어 1, 2, 3, 4, 5 이 숫자 다섯개를 뒤섞는 방법, 즉 1, 2, 3, 4, 5를 2, 1, 3, 5, 4로 섞는 것 등등을 모두 모은 집합을 [math]\displaystyle{ S_5 }[/math]라고 하자. 이제 [math]\displaystyle{ S_5 }[/math] 위에 연산을, 하나는 1, 2, 3, 4, 5를 2, 1, 3, 4, 5로 섞는 방법을 [math]\displaystyle{ x }[/math]로 하고, 1, 2, 3, 4, 5를 3, 2, 4, 5, 1로 섞는 방법을 [math]\displaystyle{ y }[/math]라고 하자. [math]\displaystyle{ xy }[/math]는 1, 2, 3, 4, 5를 3, 2, 4, 5, 1에서 앞의 두 개를 바꾼 2, 3, 4, 5, 1로 섞는 방법이라는 식으로 정의하면, [math]\displaystyle{ S_5 }[/math]는 이 연산에 관해 군을 이룬다. 좀 더 정확히는 [math]\displaystyle{ S_5 }[/math][math]\displaystyle{ S=\{1, 2, 3, 4, 5 \} }[/math]일 때 [math]\displaystyle{ S }[/math]에서 [math]\displaystyle{ S }[/math]로 가는 모든 전단사함수의 집합이고 연산은 함수의 합성으로 정의한 것이다.

이제 [math]\displaystyle{ S_5 }[/math]의 원소 중 하나인 1, 2, 3, 4, 5를 2, 1, 3, 4, 5로 섞는 방법 [math]\displaystyle{ x }[/math]로 1, 1, 2, 2, 2를 섞는다고 해보자. 그렇다면 아무런 변화도 없을 것이다. 앞의 두 개를 바꾸는 것인데 앞의 두 개는 모두 1이니 말이다. 이를 일반화하여 [math]\displaystyle{ x }[/math]라는 방법으로 다섯 개의 숫자를 섞은 결과 변화가 없는 것과 처음 두 개의 숫자가 같다는 것은 동치임을 증명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다섯 개의 숫자가 있을 때 직접 첫 두 개의 숫자를 확인하는 대신, 그 다섯 개의 숫자를 [math]\displaystyle{ x }[/math]라는 방법으로 섞어 봐서 변화가 없는지 아닌지로 첫 두 개의 숫자가 같은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숫자 다섯 개의 대칭성을 [math]\displaystyle{ S_5 }[/math]를 통해서 볼 수 있다.

이 방법은 얼핏 보면 이상하고 오히려 더 번거로운 방법으로 보이지만, 이것은 갈루아가 만든 갈루아 이론(Galois theory)의 기본 아이디어이다. 갈루아는 어떤 다항식의 근을 그 계수들의 합, 차, 곱, 몫 및 [math]\displaystyle{ n }[/math]제곱근을 유한 번 사용해서 나타낼 수 있는지(즉 근의 공식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그 방정식의 해들을 섞는 방법을 다항식에 적용하는 것을 생각했고, 그 섞는 방법들을 모은 집합을 group이라고 이름지었다. Group으로 보면 group의 성질과 group이 그 숫자를 어떻게 바꾸냐에 따라서 따라서 그 숫자의 성질을 알아낼 수 있고, group의 성질은 쉽게 알아낼 수 있다.

Group의 성질을 알아내기 힘들 때도 있는데, 그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군표현론(representation theory)이다. Group을 선형대수학에서 배운, 비교적 친숙한 행렬군(matrix group)으로 나타내어(이를 matrix representation이라 한다) 그 group의 성질을 알아낼 수 있다. 번사이드 정리(Burnside's theorem)가 대표적인데, 어떤 군의 원소의 개수의 소인수가 두 개뿐이라면(즉 [math]\displaystyle{ p^a q^b }[/math] 꼴이라면) 가해군이라는 간단한 정리지만, 표현론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증명이 많이 어려워진다. 정수론(Number theory)에선 cyclic extension[14]들의 갈루아군이나 local field에서 maximal unramified extension의 갈루아군은 비교적 다루기 쉽지만 absolute Galois group은 바로 다루기가 매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Galois representation이라는 것을 사용한다. 근데 그것도 안 되어서 다 보는 것은 너무 어렵다고 징징대면서 좀 더 정수론적인 것만 보겠다고 Weil group을 만들고, 그것도 모잘라서 representation의 정수론적 정보만 보겠다고 representation 위에다가 l-adic cohomology도 끼얹는데 안 되는 걸 보면 이건 그냥 안 된다. 정수론은 그냥 포기가 답인 듯...

그 외

  • [math]\displaystyle{ G }[/math]가 유한군이고 [math]\displaystyle{ H }[/math][math]\displaystyle{ G }[/math]의 부분군이면, ([math]\displaystyle{ H }[/math]도 유한군이고) [math]\displaystyle{ H }[/math]의 위수(order)는 [math]\displaystyle{ G }[/math]의 위수를 나눈다(라그랑주 정리, Lagrange’s theorem).
  • [math]\displaystyle{ G }[/math]가 유한군일 때, 위의 라그랑주 정리의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즉, [math]\displaystyle{ n \, \big| \, |G| }[/math]라고 해서 위수가 [math]\displaystyle{ n }[/math][math]\displaystyle{ G }[/math]의 부분군 [math]\displaystyle{ H }[/math]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math]\displaystyle{ p \, \big| \, |G| }[/math]소수 [math]\displaystyle{ p }[/math]에 대해서는 위수가 [math]\displaystyle{ p }[/math][math]\displaystyle{ G }[/math]의 부분군이 존재한다. 이를 코시 정리(Cauchy’s theorem)라고 한다. 사실 [math]\displaystyle{ p^n }[/math][math]\displaystyle{ |G| }[/math]를 나누는 가장 큰 [math]\displaystyle{ p }[/math]의 거듭제곱일 때 위수가 [math]\displaystyle{ p^n }[/math][math]\displaystyle{ G }[/math]의 부분군[15]이 존재한다는 것이 실로 제1정리(Sylow’s first theorem)이고, 코시 정리는 그 따름정리로 이해할 수 있다.
    • 그러나 [math]\displaystyle{ G }[/math]가 순환군이면 라그랑주 정리의 역이 일반적으로 성립한다.
  • 아벨군은 [math]\displaystyle{ \mathbb Z }[/math]‐가군과 같다.
  • 모든 유한아벨군은 깔끔하게 분류되어 있다. 분해정리를 이용해 유한순환군의 직합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Chinese remainder theorem)는 정수 [math]\displaystyle{ m }[/math][math]\displaystyle{ n }[/math]이 서로 소(mutually prime)이면 [math]\displaystyle{ \mathbb Z/mn \mathbb Z ≈(\mathbb Z /m \mathbb Z )×( \mathbb Z/n \mathbb Z ) }[/math]라는 꼴로 깔끔하게 표현할 수 있다. 환론에서 더 일반화된 형태를 만날 수 있다.
  • 모든 유한단순군도 모두 분류되어 있다. 하지만 증명이 엽기적…인데, 증명 논문이 15,000 쪽이나 된다.‘유한’을 ‘가산’으로 바꾸고 싶어진다. 참고로 가산아벨군도 모두 분류가 안 되어 있다. 세계에서 가장 긴 수학 논문. 그리고 수학자들이 말하기를 다음으로 할 것은 이 증명 길이를 5000쪽…으로 줄이는 것이라고. 참고로 유한단순군 중에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많이 나오는 이임학 교수님의 이름이 붙은 Ree group이 있다.
  • [math]\displaystyle{ G }[/math]가 유한군이고 원소의 개수가 홀수 개면 가해군이다. Feit-Thompson theorem이라고 불린다. 유한단순군의 분류에 Feit-Thompson theorem이 필수적으로 쓰인다.

각주

  1. 입맛에 따라 "곱셈 나눗셈"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2. 뺄셈은 a-a=a, a-b=b, b-a=b, b-b=a로 "정의"한다. 이 상황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추후에 명백해진다.
  3. 증명: [math]\displaystyle{ e′ }[/math]도 항등원이면 [math]\displaystyle{ e=e·e′=e′ }[/math].
  4. 증명: [math]\displaystyle{ z }[/math][math]\displaystyle{ x }[/math]의 역원이면 [math]\displaystyle{ y=y·e=y·(x·z)=(y·x)·z=e·z=z }[/math].
  5. 자연수를 1부터 시작하는 경우. 0부터 시작하는 경우 항등원은 있다.
  6. 수학자 아벨의 이름에서 왔는데, 대문자로 적지 않는 쪽이 관습이다. 그만큼 아벨이 많이 사용된다는 이야기이고, 상당히 영광스러운 일이다.
  7. 증명: [math]\displaystyle{ x }[/math], [math]\displaystyle{ y∈G }[/math]이면 적당한 정수 [math]\displaystyle{ n }[/math][math]\displaystyle{ m }[/math]이 있어서 [math]\displaystyle{ x=a^n }[/math], [math]\displaystyle{ y=a^m }[/math]이다. 이제 [math]\displaystyle{ xy=a^{n} a^{m}=a^{n+m}=a^{m+n}=a^{m} a^{n}=yx }[/math].
  8. 동형사상은 궁극적으로는 아무 생성자(generator)를 아무 생성자로 보내는 것이면 다 되는데, 제1동형정리를 쓰는 편이 훨씬 간명하다.
  9. 증명은 아래 동치조건을 증명한 후에 하는 편이 쉽다.
  10. [math]\displaystyle{ n }[/math]이 1보다 클 때에는 지표가 2이기 때문이다.
  11. 좀 더 일반적으론, 지표가 "어떤 유한군의 위수를 나누는 가장 작은 소수"일 때
  12. 어차피 좌잉여류와 우잉여류가 같으므로 별 상관 없다.
  13. 군의 작용(group action)이라고 부른다.
  14. cyclotomic extension 아닌지? 아시는 분이 수정바람.
  15. 이러한 부분군을 실로 [math]\displaystyle{ p }[/math]부분군(Sylow [math]\displaystyle{ p }[/math]‐subgroup)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