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철도

공항철도는 도시와 공항을 연결하는 철도망이다. 공항은 시설물의 특성상 보통 도심의 외곽에 위치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공항은 도시 중심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교통편은 대체적으로 불편하며 이동시간도 긴 편이다. 공항철도는 철도의 특성을 기반으로 정시성을 보장하며, 철도망을 순전히 공항 연결 목적으로 계획했을 때엔 부가적인 시설과 서비스를 바탕으로 공항 이용객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어 큰 이득을 가져온다.

공항철도의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순수 공항철도 운행 목적으로 설계된 전동차에는 수하물 보관장소가 있다.
    공항을 이용하는 승객들은 큰 가방이나 캐리어 가방, 짐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공항철도 운행 목적으로 설계된 전동차에는 데크에 수하물 보관장소가 있다. 공항철도에 따라서는 수하물 보관장소에 CCTV를 설치해 수하물 분실에 대비하는 경우도 있다.
  • 순수 공항철도 운행 목적으로 설계된 전동차는 일반 간선형 전동차보다 디자인 측면에서 뛰어나다.
    간선형 전동차와 다르게 간접조명, 투명 유리 등이 자주 쓰인다. 공항철도는 그 나라에 방문한 사람들이 처음 접하게 될 교통망으로, 좋은 디자인을 통해 관광객들에게 좋은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공항철도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는 해당 국가의 전통 무늬나 전통 예술에서 모티브를 따와 전동차를 디자인하는 경우도 있다.
  • 배차 간격이 긴 편
    사람들이 항상 공항을 이용해 여행을 갈 것은 아니기 때문에 공항철도의 이용객은 어느 정도 한계치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공항철도는 도시철도의 역할을 겸하지 않을 때 배차간격이 긴 편이다. 공항철도의 배차간격이 20분이라면 배차가 좋은편에 속한다. 보통 30분 ~ 1시간에 1대꼴.
    특히 주요공항에 JR사철이 각각 하나씩 공항철도로 들어오는 경우가 많은 일본 같은 경우에 목적지까지 가장 빨리가는 열차를 무작정 선택했다가, 배차간격에 걸려 다른쪽 공항철도보다 더 늦게 목적지에 도착하는 경우도 있다.
  • 도시철도가 공항철도의 역할을 겸하게 될 경우 철도망의 선형이 불량해진다.
    서울 지하철 5호선김포국제공항 부지를 관통하기 위해 곡선 승강장을 건설해야만 했고 선형상의 불이익을 감수해야 했다. 부산김해경전철공항역 역시 김해국제공항 정차를 위해 표정속도 감소와 선형 불량이라는 문제를 감내해야만 했다. 충북선 청주공항역도 마찬가지로 청주국제공항 부지와 선로부지가 겹치는 일을 피하기 위해 철로가 공항부지를 우회해야했으며 그로인한 선형상의 불이익을 감수해야 했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공항역 같은 경우는 원 계획으로 역사와 공항 입구를 붙이기 위해 선형을 U자형으로 계획했으나 난공사, 붕괴위험, 공군 지하 유류저장탱크 간섭 문제 때문에 원 계획을 파기하고 접근성을 희생하는 대신 선형을 일자형으로 해 건설했다. 인천공항1터미널역 같은 경우는 공항 건설 때부터 공항철도 건설을 계획해 이러한 문제가 없다.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계획이 바뀌면서 인천공항1터미널역을 중심으로 하는 환승센터 계획이 파기됨에 따라 공항철도와 인천공항간의 접근성이 나빠지는 문제를 초래했다.
    공항 활주로를 관통해야하는 경우 개착식 공법을 사용할 수 없어, 고심도로 굴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민간공항과 군공항이 한 건물에 병존하는 경우가 많은 한국공항의 특성상 지하철도가 활주로를 관통할 때 공군 지하 유류저장소 간섭 문제로 아예 공사가 불가능할 수 있다.

공항철도의 종류[편집 | 원본 편집]

대한민국[편집 | 원본 편집]

해외여행 자유화 시기와 서울 지하철 5호선 개통일을 비교해보면 공항철도의 건설이 늦은편이다. 90년대 말에 김포공항을 이용해 해외여행을 다녀온 사람들은 서울 지하철 5호선 언급을 많이 한다.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한 이후 5호선 김포공항역의 이용률이 상당히 감소했다. 공항부지를 관통해야 하기 때문에 비교적 깊은 곳에 역이 건설되었다. 지도로 보면 5호선 김포공항역 선형이 굉장히 기괴하다. 현재는 의외로 단거리 승객이 많으며 서울특별시 도심 중심으로 가는 사람들은 적은 편이다. 김포공항에 가까운 사람들이 5호선을 많이 이용하는 편.

인천국제공항철도(이하 '대한민국' 항목 내에서 공항철도라고 지칭)가 김포공항을 관통하고 있으나 직통 열차는 정차하지 않는다. 직통 열차를 김포공항역에 세우자는 의견도 있으나 5호선/9호선과 같은 일반 도시철도가 정차하지 않는 인천공항의 특징을 생각하면 인천공항에만 직통열차를 정차시키는게 합리적으로 보인다. 서울역이 있는 서울특별시 구도심지를 가기에 좋은 노선이다. 정차역 수가 적어 표정속도가 높은 편이라 구도심 방면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서울 지하철 9호선도 김포공항을 관통한다. 무엇보다도 9호선은 급행이 있기 때문에, 국내선 항공 이용객들이 9호선 급행 열차를 애용하는 편. 강남 방면으로 갈 승객들이 9호선을 찾는 편이며 신논현역으로 가는 승객들이 꽤 많은 편.

공항철도와 9호선의 환승이 단순하며 많은 사람들이 공항철도-9호선간 환승에 대해 호평하고 있다. 설계 때부터 공항철도와 9호선간의 직결운행을 고려했기 때문에 이러한 환승 구조가 나올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계획이 실현되면 인천 북부 사람들이 강남 방면으로 손쉽게 갈 수 있으나, 일단 김포공항 기준으로는 별 차이를 가져오지 못한다.

아래는 바로 여객기에 탑승할 수 있는 공항이 아닌 도심공항이나 도심공항터미널이다. 유럽에서는 보편화 되어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비교적 생소한 개념의 교통 시스템이다.

중국[편집 | 원본 편집]

일본[편집 | 원본 편집]

중화민국[편집 | 원본 편집]

독일[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