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수송

실제 사례[편집 | 원본 편집]

가축 수송의 실제 사례는 대부분 , 돼지, 같은 동물들이 농장에서 출하되어 도축장으로 운반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대부분 곧 고기가 될 운명의 동물들이기에 운송차량의 적재함 여유공간을 거의 남겨놓지 않고 빽빽하게 눌러 담는 수준으로 운송하는 모습이 대부분이다. 특히 양계장에서 닭공장으로 출하하는 운송차량을 보면 적재함에 실린 케이지 안에 최상의 압축비율로 우겨넣어진 닭들을 볼 수 있다. 물론 스트레스로 인한 피해가 뒤따르고 동물권에 있어서도 좋게 볼 수 없다.

엔하계 위키에서의 쓰임새[편집 | 원본 편집]

교통수단에 있어서 예측된 수요보다 훨씬 많은 승객들이 몰리면서 승차정원의 2배 이상을 억지로 수용하는 현상을 묘사하는 관용적인 표현이다. 반대로 수요가 너무 없어서 텅텅 빈 상태로 운행할 경우는 공기수송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발생 원인[편집 | 원본 편집]

  • 잘못된 수요예측
    수요에 비해 인원이 적게 몰려서 공기수송이 발생하는 것과 반대로 수요에 비해 너무 많은 인원이 몰려서 가축수송이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철도노선 건설 당시에는 연선지역에 별다른 거주지역이 없어서 4량 1편성을 투입하는 등 수요 자체가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여 운행을 시작했는데, 신도시 개발 혹은 대규모 상업시설 등이 조성되면서 유동인구가 늘어나 당초 예상한 수요를 뛰어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 배차간격
    예산상의 문제로 수요에 비해 적은 차량을 투입한다거나, 선로용량 등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배차를 늘릴 수 없는 경우.
  • 러시아워
    출퇴근 시간대 거주지와 업무단지 혹은 도심지로 이동하려는 수요가 순간적으로 폭증하는 경우.
  • 돌발상황
    여름이나 연말 휴가, 명절, 스포츠 행사 및 사고 등 평소보다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예시[편집 | 원본 편집]

오해[편집 | 원본 편집]

가축수송이 있는 국가는 저개발국이다?[편집 | 원본 편집]

한국 내에서 이 오해가 생긴 이유가 두 가지가 있는데, 우선 사람을 그렇게 바리바리 데리고 다니는 교통수단이라는 이미지의 나라들이 인도방글라데시 등의 저개발 및 인구가 먼저 떠오르는 것이 원인이기도 하고, 한국 내에서도 가축수송 현상이 있는 노선들이 저개발 지대인 경우가 매우 많아서 생긴 오해이다.

실제로는 영국이나 프랑스, 독일 등 잘 산다고 하는 나라들에게도 이런 게 있고, 당장 일본에는 푸시맨이라는 직업마저 있었을 정도였다. 이런 나라들의 특징들이 도시화율이 매우 높은 편에 속하거나, 인구 밀도가 높은 나라들인 경우다. 적은 수준의 가축수송을 보여주는 나라는 필연적으로 인구 밀도가 낮은 나라들이 나올 수 밖에 없는데, 헝가리러시아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 두 나라는 한국보다 더 많이 소득수준이 높다고 하기에는 어려운 국가이기에 위의 "가축수송이 있는 국가=저개발국"이라는 공식은 오해임이 입증된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