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치킨'''은 닭고기를 튀기거나 구워서 만든 요리이다. 햄버거, 타코, 피자 등과 함께 대표적인 패스트푸드 메뉴로 꼽힌다....)
 
잔글 (코코아봇(토론)의 편집을 121.162.230.189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사용자 32명의 중간 판 8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치킨'''은 [[닭고기]]를 튀기거나 구워서 만든 요리이다. [[햄버거]], [[타코]], [[피자]] 등과 함께 대표적인 [[패스트푸드]] 메뉴로 꼽힌다.
{{다른 뜻|닭|닭을 튀긴 음식|살아있는 닭}}
{{youtube|srXsCRnSgBA|||center|[[영국 요리]]의 본고장에서 치맥을 츄라이 하는 영상}}


[[대한민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서민적인 외식 메뉴로 사랑을 받아왔으며, 한 동네에 치킨 가게가 수십 개에 이르는 등 기이할 정도로 온 국민이 치킨을 사랑한다. 그러나 가격이 20,000원에 육박한 오늘날에는 전혀 서민적인 음식이 아니다.
[[파일:20150620 012215 HDR.jpg|섬네일|용인•수원 지역 치킨인 깐부치킨과 콜라]]
'''치킨'''(Chicken)은 [[닭고기]]를 튀기거나 구워서 조리한 음식을 일컫는 용어이다. {{ㅊ|한국어로는 치느님, 라틴어로는 Cheus}}


[[일본]]에서는 '닭을 튀긴 요리'라고 하면 한국에서 말하는 통닭이나 프라이드 치킨보다는 밥 반찬으로 먹는 [[카라아게]]를 먼저 떠올린다고 한다. [[필리핀]]에서도 밥이랑 치킨을 같이 먹는다고.
[[햄버거]], [[타코]], [[피자]] 등과 함께 대표적인 [[패스트푸드]] 메뉴로 꼽힌다. 그 종류는 많지만 기본적으로 묘사되는 '치킨' 하면 떠오르는 것은 밀가루 옷을 입혀 기름에 바삭하게 튀겨낸 '''프라이드 치킨'''이다.
 
한국 치킨을 외국에서는 Chikin으로 부르기도 한다.
 
== 각 나라의 치킨 ==
명칭의 어원이 된 영미권에서는 "치킨(Chicken)"을 달라고 하면 그냥 닭요리를 내준다. 이는 비 영어권 구미지역에서도 마찬가지.<ref>기내식 단골 질문이기도 하다. "취킨 오어 뷔-프?"</ref> 때문에 치킨 전문점이라면 그냥 치킨 달라고 해도 알아먹기는 해도, 다양한 닭요리를 취급한다면 '''[[프라이드 치킨]]'''을 달라고 해야지 안 그러면 [[이뭐병]]의 표정으로 당신을 쳐다보며 메뉴를 다시 보여줄 것이다. 치킨(Chicken)이란 말 자체가 그냥 닭을 의미하는 것이니까 어찌보면 당연한 반응. 마찬가지로 슈퍼나 마트에서 "치킨" 어딨냐고 물어본다면 100% 생 닭고기가 있는 정육코너로 안내할 것이다.
 
사실 닭튀김=치킨이라는 공식은 1990년대 외식 산업이 발달한 이후부터의 [[대한민국]] 한정으로 정착된 표현이다. 한국에서 '통닭'은 한국전쟁 이후부터, '치킨'은 양념치킨이 발명된 1980년대 후반 이후부터 서민적인 외식 메뉴로 사랑을 받아왔으며, 다른 나라의 전례와 마찬가지로 서민 음식의 대표로서 굳어졌다. 그런데 한국의 튀긴닭 사랑은 한 동네에 치킨 가게가 수십 개에 이르도록 피바다 레드오션이라 불러야 할 정도로 과열현상이 일어나고 있어 이목을 끌고 있다.<ref>열면 망할게 뻔할텐데 굳이 오픈하는 것은 일단 안정적이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수요가 엄청난 시장이다. 몰론 도태되기도 쉽다.</ref> 치킨과 [[하느님]]의 합성어인 [[치느님]]이라는 말까지 있을 정도. 그러나 일부 <s>몹쓸</s> 브랜드에서 가격을 20,000원에 육박하게 올려낸 오늘날에는 전혀 서민적인 음식이 아니라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일본]]에서는 '튀긴 '이라 하면 한국에서 말하는 통닭이나 [[프라이드 치킨]]보다는 밥 반찬으로 먹는 가정요리인 [[카라아게]](唐揚げ)를 먼저 떠올린다. 상기했듯 통닭을 먹는 문화가 흔치 않기 때문에 도입경로가 한국과 상이하다. 일본어로 "チキン(치킨)"이라 칭하면 가장 기본적으로는 KFC의 치킨을 떠올리며, 이는 일본에 치킨 문화를 전파한 것이 사실상 KFC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수퍼 등지에서 취급하는 '치킨<ref>닭다리 부분에만 손잡이용 뼈가 붙은 넓적다리 튀김. 유난히 [[크리스마스]]때 수요가 폭발적으로 생긴다.</ref>'을 떠올리기도 한다. 후술할 밥과 함께 먹는 치킨([[치밥]]) 또한 카라아게에 한정하는 정도고, 소위 'KFC 치킨'은 미국식으로 치킨을 먹을 때나 찾는 곳에 가깝다.
 
[[중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지에서는 치킨을 밥과 함께 먹는 경향이 있다. 중국을 제외하면<ref>화북지방과 화남지방의 지역차가 상당히 크며, 중국 KFC도 수도 베이징의 영향인지 치밥메뉴가 상대적으로 매우 적다. 중국식 닭튀김과 밥을 같이 먹는 것은 논외.</ref> 주식으로 쌀을 먹던 자국 문화에 편입시킨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쪽 동네에 다녀온 사람들이 (특히, 필리핀) 한국에 돌아와서는 치킨과 밥을 같이 먹곤 했는데 초창기엔 '이뭐병...' 같은 반응이었으나 이내 '치밥'이라 불리는 유행으로 퍼졌다. <s>이런 츤데레 국가같으니</s> <s>치느님은 우리 모두를 사랑하시기 때문입니다.</s>


== 종류 ==
== 종류 ==
* [[프라이드 치킨]]
* [[프라이드 치킨]]
* [[양념 치킨]]
:본래 흑인 노예들이 주인집이 먹다 남긴 닭을 재활용해 먹었던 것에서 유래한 음식. 미국 남부식 요리이며 지금은 사실상 소울푸드화 되었다. 다만 미국식 치킨과 한국식 치킨은 다소 지향점이 다른데, [[KFC]]의 오리지날과 크리스피의 차이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ref>이 두 메뉴가 미국 KFC와 한국 KFC의 매출량이 정반대이다. 미국은 절대적으로 오리지날을 선호하고, 한국에서는 절대적으로 크리스피를 선호한다.</ref>
* [[간장 치킨]]
 
* [[파닭]]
{{유튜브|AMrSzbJVUBQ}}
* [[로스트 치킨]]
* [[로스트 치킨]]
* [[전기구이 통닭]]
:흔치 않은 '''맛있는''' [[영국 요리]]이다.
 
* 순살치킨
:뼈를 발라내 살코기만을 메인으로 조리한 치킨. 뼈가 없어 한입에 간단히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뒷처리를 귀찮아 하는 사람이 선호하며,<ref>뼈 치킨은 뜯는 맛이 좋고 깊은 맛이 나지만 그 외의 단점은 엄청나게 많다. 먼저 잡고 뜯어야 하니까 손과 입에 기름 또는 양념이 묻어서 매우 지저분해 진다. 기름은 잘 안닦일 뿐더러 양념은 매우 끈적거려서 물로 묻혀서 닦아야 하는데 버리는 휴지의 양이 엄청나며 먹고 남은 뼈는 쓰레기가 되서 쓰레기가 생기고 뼈를 버려놓으면 지나가는 길냥이가 봉투를 찢어놓는다. 치아가 안좋으면 깨끗하게 살을 바르기도 어렵다.</ref> 아예 순살치킨만을 전문으로 파는 곳도 많다. 다만 뼈에서 나온 깊은 맛이나 뜯어먹는 맛이 없어 심심하다고 취향을 타는 소비자들도 있으며, 생닭 가공과정에서 뼈를 발라내는 수고를 들여야 하기 때문에 보통의 치킨보다 값이 비싼 것이 단점. 특히 최근엔 물가 및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한국에서 생산하는 닭 순살은 단가가 폭등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치킨집에서 수입산을 쓰는 편이다.<ref>단적인 예로 한국 KFC 버전 순살치킨인 '블랙라벨'은 태국산 닭고기가 원재료다.</ref>
 
=== 한국화 치킨 ===
<s>치렐루야 치멘</s>
 
* [[통닭]](옛날통닭) : 한국에 가장 먼저 등장한 치킨조리법. 말 그대로 닭 한 마리를 통째로 기름에 넣어서 튀긴 것이다. 생닭에 간은 소금과 후추로 최소화하고 장시간 염지는 하지 않는 게 기본. 60~80년대 치킨의 상징이자 당시의 흔치 않은 외식 단골메뉴로, 1980년대 후반 양념치킨의 발견 이후로 파는 업체가 줄어들어 찾아보기 힘들어졌지만, 2010년대 초반무렵 고가격 정책의 대항마로서 서서히 부활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 [[전기구이 통닭]] : 통닭과 상당히 비슷한 형태의 치킨 조리법. 생닭에 소금과 후추를 뿌리는 식으로 간단히 간을 한 다음, 통째로 꼬챙이에 끼워서 전기오븐에 빙빙 돌리며 구워서 완성한다. 미국에서 흔한 '로티쉐리 치킨' 조리법이<ref>비만을 경계하고 건강한 식습관을 강조하는 현지 사회 분위기로 인해 기름에 조리한 치킨보다 이걸 장려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다.</ref><ref>참고로 로티세리(Rotisserie)는 꼬챙이에 꿰어서 조리한 음식을 통칭하는 말이다.</ref> 한국으로 건너온 것이며, 이후 장작구이 통닭 / 오븐구이 치킨 등으로 독자적 발전했다. 한국에서는 '명동영양센타'가 원조로 인정 받는 편이며, 최근엔 미국계 초대형 할인매장인 [[코스트코]]에서 파는 13호 닭 로티쉐리 치킨이 매우 유명해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다. 길가에서 트럭에 전기오븐을 설치해 전기구이 통닭은 파는 상인들도 있는 편.<ref>참고로 이 경우엔 닭의 크기가 좀 작아서 1마리를 여럿이서 먹으면 양이 안차는 경우가 많다.</ref> 참고로 열로 굽기 때문에 닭 자체에 있는 기름이 전기 오븐 밑으로 쫙 빠지는터라 식용유에 튀겨서 조리하는 일반적인 치킨보다는 건강에 좋다고 한다. 
 
* [[양념치킨]] : 약간 점도가 있는 매콤달콤한 양념장으로<ref>고추장을 베이스로 물과 설탕 같은 단맛이 나는 재료를 많이 가미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매운맛은 상당히 옅은 게 일반적. 물론 눈물이 쏙빠질만큼 매운 특제양념을 가미한 버전도 존재하는데, 이 경우엔 '매운 양념치킨'이라고 별도로 표기를 해준다.</ref><ref>참고로 단맛 + 새콤한 맛을 내기 위해 [[딸기잼]]을 넣는 게 원조 레시피. 최근엔 딸기잼의 단가가 많이 올랐기 때문에 더 저렴한 물엿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ref> 버무린 프라이드 치킨을 말한다. 아래에 언급된 다양한 소스 베이스의 치킨은 모두 양념치킨을 조금씩 어레인지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사실상 한국식 치킨의 원조격으로 봐도 무방하다. 1980년대 중반 경 '페리카나'<ref>참고로 조각 후라이드의 시초는 '림스 치킨', 최초 치킨CF를 찍은 브랜드는 '스모프양념통닭'이다.</ref>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개시 초창기에는 반응이 시큰둥했으나 이내 큰 인기를 끌며 한국식 치킨의 대표가 되었다. 기성 한국 요리 중에서 [[닭강정]]과 거의 차이점이 없는데, 닭강정이 강정으로서 보존에 중점을 두었다면 양념치킨은 먹기 직전에 버무려 내기 위함이 근본적인 차이점이다. 그 닭강정도 현대의 한국에서 발명된 음식인 만큼, 하마터면 [[부대찌개]]마냥 경쟁관계에 놓일 뻔했다고도 할 수 있다. 참고로 기본 열량이 엄청나게 높은 프라이드 치킨에 당분이 풍부한 소스까지 끼얹었기 때문에 3000 칼로리를 간단히 넘는 다이어트의 주적이다.
 
: 단점은 양념에 의해 튀김옷이 눅눅해지고 뼈치킨일 경우 손과 입에 양념이 떡칠되서 손이랑 입 주위가 심히 지저분해 진다는 점이다.
 
* [[간장치킨]] : 프라이트 치킨에 단맛을 가미한 간장소스를 바르고 볶거나 소스에 품 담근 후 끓여서 만드는 조리법. 튀김옷에 간장소스가 골고루 스며들어야 먹는 맛이 살기 때문에 단순히 겉표면에 바르는 건 간장치킨으로 치지 않는다. 그 기원은 1978년 개업한 '대구통닭'이나, 그곳에서 일하던 직원이 전수받아 프랜차이즈화 한 '교촌치킨'(1991년 개업)이 본격적으로 널리 알렸다. 달콤 짭짜름한 맛 덕분에 상당히 인기가 있으며, 외국인들도 선호한다. 참고로 갈비구이에 쓰이는 양념으로 만든 일명 갈비 치킨은 간장치킨의 한 종류이다.
 
* [[마늘치킨]] : 튀김옷에 마늘을 첨가하여 만드는 조리법. 참고로 생마늘은 기름에 장시간 튀기면 타기 때문에 마늘 파우더를 넣는 게 일반적. 기원은 1970년 개업한 문래동 마늘통닭. 참고로 가끔씩 간장소스에 간마늘을 둠뿍 넣은 다음 프라이드 치킨 위에 끼얹어서 내놓는 것도 마늘치킨으로 보기도 하는데, 튀김옷과 간마늘이 따로놀기 때문에 호불호가 심하게 갈린다. 참고로 외국에서도 튀김옷에 매운맛 포인트를 주기 위해 마늘 파우더를 첨가해서 만드는 경우가 오래 전부터 있있기 때문에 온전한 한국식 치킨 레시피로 보긴 힘든 측면이 있다. 
 
* [[파닭]] : 순살치킨에 채썬 파를 얹어서 먹는 레시피. 뼈 있는 치킨은 파와 함께 먹는 게 힘들어 보통의 파닭은 순살치킨을 베이스로 하며, 위에 언급된 간장치킨 등과 접목시킬 수 있다. 사실 이게 새로운 요리라고 해야하나 좀 고심할 여지가 있는데 그런건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신비한 음식이다. 이것의 파생형으로 양파닭, 마늘닭 등이 등장하긴 했지만 원체 파닭의 인기가 높은지라 그렇게 뜨진 못했다. 파의 매운맛과 향이 치킨의 느끼함을 잡아주는 게 장점이지만, 반대로 이런 향과 맛을 싫어하는 사람은 멀리하는 호불호가 있다. 이것의 변종으로 양파치킨, 깻잎치킨 등이 있다.<ref>참고로 깻잎치킨의 경우 프라이드 치킨 위에 그대로 얹으면 맛과 모양새가 영 아니라는 점이 많이 지적되어 최근엔 거의 사라졌고, 요즘은 튀김옷 반죽에 잘게 조각낸 깻잎을 넣은 조리법이 많이 쓰인다. 이러면 깻잎향이 많이 밤감되고 적당히 입에 감도는 수준이라 먹기 훨씬 편하다.</ref>
 
* 닭 부산물 튀김 : 외국에선 보통 닭의 살코기 부분만 먹고 나머지 부산물은 잘 안먹는 경향이 강한데, 한국에선 이런 부산물도 모두 즐겨먹기 때문에 이것들을 치킨과 비슷하게 조리 혹은 곁들여 먹기 좋은 다른 식재료를 곁들이는 일종의 사이드 메뉴가 많다. 대표적인 예로 닭의 위장에 해당하는 모래주머니를 요리한 닭똥집 튀김,<ref>순수 근육으로 이뤄진 부위다보니 튀기면 좀 질긴 식감이 호불호가 갈리지만, 순수 단백질로 이뤄졌다보니 지방섭취에 민감한 사람들도 먹기 알맞다. 참고로 서양권에서도 닭똥집을 먹기는 하는데, 튀기는 게 아닌 꼬치구이가 일반적이다.</ref> 닭의 껍질 부분을 모아서 튀긴 껍질 튀김,<ref>사실 이건 외국에서도 많이 먹는 레시피이며, KFC 등에서도 기간한정상품으로 종종 판매하곤 한다. 2010년대 후반 한국 KFC에도 들어와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데 기간을 정하지 않고 상시 판매는 하고 있으나 수량이 정해져 있어 운이 없으면 구입이 힘들 수 있다.</ref> 콜라겐 성분이 많은 닭발 튀김,<ref>일반적인 거물급 치킨 프랜차이즈에선 볼 수 없는 메뉴이며, 보통 지방의 소규모 치킨집에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ref> 고구마 튀김 등이 있다. 일부 지방 치킨집의 경우 닭똥집 튀김이나 고구마 튀김을 서비스로 섞어서 주기도 하는 편.
 
=== 기타 치킨 요리 ===
* [[카라아게]]
:[[일본 요리]] 버전 순살치킨이라고 하면 이해가 쉬운 음식. 다만, 튀김옷을 입히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순살치킨은 옷을 두껍고 바삭하게 튀긴다는 차이점이 있다.
 
* [[깐풍기]], [[라조기]]
:토막내어 튀긴 닭고기를 여러가지 소스로 볶아서 완성하는 [[중국 요리]]. 소스에 강한맛을 내는 향신료를 듬뿍 가미하는 게 특징이다. 참고로 두 음식은 비슷하지만 차이가 있는데, 깐풍기는 맵고 짠 소스를 튀김 겉표면에 묻히는 스타일 / 라조기는 맵고 단 걸죽한 소스에 푹 담가서 볶는 스타일이다. 
 
* [[버팔로윙]], 와플 치킨
:둘 다 [[미국 요리]]로 버팔로윙은 닭낡개를 튀겨 핫소스에 버무린 것이다. 특히 미국에선 버팔로윙을 매우 즐겨먹는 편. 와플 치킨은 와플 위에 프라이드 치킨을 얹고 단맛이 강한 메이플 시럽을 뿌려서 먹는 미국 남부식 스타일이다.
 
* [[저크치킨]]
:[[카리브 요리|자메이카 요리]]로 맵고 강한맛을 내는 다수의 향신료로 닭을 염지한 다음 오븐에 넣어 천천히 익히는 식으로 만든다.
 
== 치킨집 ==
한국에선 치킨을 매우 즐겨먹기 때문에 이를 판매하는 업장을 주변에서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다. 창업 진입장벽이 진입장벽이 낮은 편이라<ref>오죽하면 문과든 이과든 [http://www.inven.co.kr/mobile/board/powerbbs.php?come_idx=4538&my=opi&l=4422511 결론은 치킨집]이란 말이 돌기도 했다.</ref> 프랜차이즈부터 개인 사업까지 많이 열고 있기 때문. 오죽하면 '''전 세계 [[맥도날드]] 매장 수보다 한국의 치킨집 갯수가 더 많다.'''<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0/05/2015100501144.html 국내 치킨집, 전 세계 맥도날드 매장보다 많다 (2015.10.05, 조선일보)]</ref>
 
수요든 공급이든 인기가 많은 만큼,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성공하기 힘든 레드오션 시장이다. 많이 여는 만큼 많이 닫는 사업.
 
일부 치킨 프렌차이즈의 본사들은(BBQ 등) 가격을 앞장서서 올리고 있다. {{ㅊ|나쁜 놈들}} 특히 BBQ의 경우 적정 가격선이 3만원이니 그만큼 인상해도 좋다는 발언을 해서 소비자들의 공분을 산 이야기가 매우 유명. 사실 프렌차이브 업체의 치킨값 인상은 점주가 아닌 본사측에서 부추기고 있는데, 재료값 등을 수시로 올리기 때문이라고 한다. 최근엔 인건비 인상을 핑계로 일부 치킨 프렌차이즈가 앞장서서 배달비를 따로 받게 되었고, 이걸 너도나도 따라하게 되면서 배달비를 별도로 안받는 치킨집이 극히 드물어진 상태다. 예전엔 배달비 없이 치킨을 16000원에 먹을 수 있었으나, 물가상승과 배달비 등의 영향으로 2022년 기준 수도권에선 20000원대 중후반 혹은 비싸면 30000만원대 치킨도 등장한 상태. 때문에 포장({{ㅊ|직접 집으로 배달}}) 손님이 늘어나고 있다. {{ㅊ|집 주변에 치킨집이 없다면}}
 
그리고 2022년 중반부터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가격상승에 대항하기 위해 [[홈플러스]]에서 자체 브랜드 상품인 '''당당치킨'''을 약 7000원대의 가격에 판매하며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으며,<ref>수량 한정으로 팔기 때문에 편하게 사먹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고 최소 1시간 이상 웨이팅을 하는 수고를 들여야 한다는 점이 흠.</ref> 타 대형할인매장에서도 이를 따라하고 있다.
 
=== 프랜차이즈 ===
전국적으로 지점을 내고 있는 업체 몇곳만 나열한 것이며, 특정 지역에서만 영업하는 프랜차이즈도 상당히 많다는 걸 알아두자.
 
* [[BBQ]]
* [[BHC]]
* [[교촌치킨]]
* [[굽네치킨]]
* [[네네치킨]]
* [[다사랑치킨피자]]
* [[또래오래]]
* [[멕시카나]]
* [[부어치킨]]
* [[처갓집]]
* [[티바두마리치킨]]
* [[페리카나]]
* [[호식이두마리치킨]]
* [[계동치킨]]
* [[KFC]] (미국)
* [[맥도날드]] (미국)
* [[난도스]]
* [[파파이스]] (미국)
* [[맘스터치]]
 
== 같이 보기 ==
{{참고|프라이드 치킨/레시피}}
* <s>[[종교]]</s>
* [[기동전사 치킨 ~ 역습의 롯데]]


[[분류:음식]]
{{각주}}
[[분류:치킨| ]]

2024년 4월 11일 (목) 18:44 기준 최신판

영국 요리의 본고장에서 치맥을 츄라이 하는 영상

용인•수원 지역 치킨인 깐부치킨과 콜라

치킨(Chicken)은 닭고기를 튀기거나 구워서 조리한 음식을 일컫는 용어이다. 한국어로는 치느님, 라틴어로는 Cheus

햄버거, 타코, 피자 등과 함께 대표적인 패스트푸드 메뉴로 꼽힌다. 그 종류는 많지만 기본적으로 묘사되는 '치킨' 하면 떠오르는 것은 밀가루 옷을 입혀 기름에 바삭하게 튀겨낸 프라이드 치킨이다.

한국 치킨을 외국에서는 Chikin으로 부르기도 한다.

각 나라의 치킨[편집 | 원본 편집]

명칭의 어원이 된 영미권에서는 "치킨(Chicken)"을 달라고 하면 그냥 닭요리를 내준다. 이는 비 영어권 구미지역에서도 마찬가지.[1] 때문에 치킨 전문점이라면 그냥 치킨 달라고 해도 알아먹기는 해도, 다양한 닭요리를 취급한다면 프라이드 치킨을 달라고 해야지 안 그러면 이뭐병의 표정으로 당신을 쳐다보며 메뉴를 다시 보여줄 것이다. 치킨(Chicken)이란 말 자체가 그냥 닭을 의미하는 것이니까 어찌보면 당연한 반응. 마찬가지로 슈퍼나 마트에서 "치킨" 어딨냐고 물어본다면 100% 생 닭고기가 있는 정육코너로 안내할 것이다.

사실 닭튀김=치킨이라는 공식은 1990년대 외식 산업이 발달한 이후부터의 대한민국 한정으로 정착된 표현이다. 한국에서 '통닭'은 한국전쟁 이후부터, '치킨'은 양념치킨이 발명된 1980년대 후반 이후부터 서민적인 외식 메뉴로 사랑을 받아왔으며, 다른 나라의 전례와 마찬가지로 서민 음식의 대표로서 굳어졌다. 그런데 한국의 튀긴닭 사랑은 한 동네에 치킨 가게가 수십 개에 이르도록 피바다 레드오션이라 불러야 할 정도로 과열현상이 일어나고 있어 이목을 끌고 있다.[2] 치킨과 하느님의 합성어인 치느님이라는 말까지 있을 정도. 그러나 일부 몹쓸 브랜드에서 가격을 20,000원에 육박하게 올려낸 오늘날에는 전혀 서민적인 음식이 아니라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일본에서는 '튀긴 닭'이라 하면 한국에서 말하는 통닭이나 프라이드 치킨보다는 밥 반찬으로 먹는 가정요리인 카라아게(唐揚げ)를 먼저 떠올린다. 상기했듯 통닭을 먹는 문화가 흔치 않기 때문에 도입경로가 한국과 상이하다. 일본어로 "チキン(치킨)"이라 칭하면 가장 기본적으로는 KFC의 치킨을 떠올리며, 이는 일본에 치킨 문화를 전파한 것이 사실상 KFC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수퍼 등지에서 취급하는 '치킨[3]'을 떠올리기도 한다. 후술할 밥과 함께 먹는 치킨(치밥) 또한 카라아게에 한정하는 정도고, 소위 'KFC 치킨'은 미국식으로 치킨을 먹을 때나 찾는 곳에 가깝다.

중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지에서는 치킨을 밥과 함께 먹는 경향이 있다. 중국을 제외하면[4] 주식으로 쌀을 먹던 자국 문화에 편입시킨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쪽 동네에 다녀온 사람들이 (특히, 필리핀) 한국에 돌아와서는 치킨과 밥을 같이 먹곤 했는데 초창기엔 '이뭐병...' 같은 반응이었으나 이내 '치밥'이라 불리는 유행으로 퍼졌다. 이런 츤데레 국가같으니 치느님은 우리 모두를 사랑하시기 때문입니다.

종류[편집 | 원본 편집]

본래 흑인 노예들이 주인집이 먹다 남긴 닭을 재활용해 먹었던 것에서 유래한 음식. 미국 남부식 요리이며 지금은 사실상 소울푸드화 되었다. 다만 미국식 치킨과 한국식 치킨은 다소 지향점이 다른데, KFC의 오리지날과 크리스피의 차이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5]
흔치 않은 맛있는 영국 요리이다.
  • 순살치킨
뼈를 발라내 살코기만을 메인으로 조리한 치킨. 뼈가 없어 한입에 간단히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뒷처리를 귀찮아 하는 사람이 선호하며,[6] 아예 순살치킨만을 전문으로 파는 곳도 많다. 다만 뼈에서 나온 깊은 맛이나 뜯어먹는 맛이 없어 심심하다고 취향을 타는 소비자들도 있으며, 생닭 가공과정에서 뼈를 발라내는 수고를 들여야 하기 때문에 보통의 치킨보다 값이 비싼 것이 단점. 특히 최근엔 물가 및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한국에서 생산하는 닭 순살은 단가가 폭등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치킨집에서 수입산을 쓰는 편이다.[7]

한국화 치킨[편집 | 원본 편집]

치렐루야 치멘

  • 통닭(옛날통닭) : 한국에 가장 먼저 등장한 치킨조리법. 말 그대로 닭 한 마리를 통째로 기름에 넣어서 튀긴 것이다. 생닭에 간은 소금과 후추로 최소화하고 장시간 염지는 하지 않는 게 기본. 60~80년대 치킨의 상징이자 당시의 흔치 않은 외식 단골메뉴로, 1980년대 후반 양념치킨의 발견 이후로 파는 업체가 줄어들어 찾아보기 힘들어졌지만, 2010년대 초반무렵 고가격 정책의 대항마로서 서서히 부활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 전기구이 통닭 : 통닭과 상당히 비슷한 형태의 치킨 조리법. 생닭에 소금과 후추를 뿌리는 식으로 간단히 간을 한 다음, 통째로 꼬챙이에 끼워서 전기오븐에 빙빙 돌리며 구워서 완성한다. 미국에서 흔한 '로티쉐리 치킨' 조리법이[8][9] 한국으로 건너온 것이며, 이후 장작구이 통닭 / 오븐구이 치킨 등으로 독자적 발전했다. 한국에서는 '명동영양센타'가 원조로 인정 받는 편이며, 최근엔 미국계 초대형 할인매장인 코스트코에서 파는 13호 닭 로티쉐리 치킨이 매우 유명해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다. 길가에서 트럭에 전기오븐을 설치해 전기구이 통닭은 파는 상인들도 있는 편.[10] 참고로 열로 굽기 때문에 닭 자체에 있는 기름이 전기 오븐 밑으로 쫙 빠지는터라 식용유에 튀겨서 조리하는 일반적인 치킨보다는 건강에 좋다고 한다.
  • 양념치킨 : 약간 점도가 있는 매콤달콤한 양념장으로[11][12] 버무린 프라이드 치킨을 말한다. 아래에 언급된 다양한 소스 베이스의 치킨은 모두 양념치킨을 조금씩 어레인지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사실상 한국식 치킨의 원조격으로 봐도 무방하다. 1980년대 중반 경 '페리카나'[13]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개시 초창기에는 반응이 시큰둥했으나 이내 큰 인기를 끌며 한국식 치킨의 대표가 되었다. 기성 한국 요리 중에서 닭강정과 거의 차이점이 없는데, 닭강정이 강정으로서 보존에 중점을 두었다면 양념치킨은 먹기 직전에 버무려 내기 위함이 근본적인 차이점이다. 그 닭강정도 현대의 한국에서 발명된 음식인 만큼, 하마터면 부대찌개마냥 경쟁관계에 놓일 뻔했다고도 할 수 있다. 참고로 기본 열량이 엄청나게 높은 프라이드 치킨에 당분이 풍부한 소스까지 끼얹었기 때문에 3000 칼로리를 간단히 넘는 다이어트의 주적이다.
단점은 양념에 의해 튀김옷이 눅눅해지고 뼈치킨일 경우 손과 입에 양념이 떡칠되서 손이랑 입 주위가 심히 지저분해 진다는 점이다.
  • 간장치킨 : 프라이트 치킨에 단맛을 가미한 간장소스를 바르고 볶거나 소스에 품 담근 후 끓여서 만드는 조리법. 튀김옷에 간장소스가 골고루 스며들어야 먹는 맛이 살기 때문에 단순히 겉표면에 바르는 건 간장치킨으로 치지 않는다. 그 기원은 1978년 개업한 '대구통닭'이나, 그곳에서 일하던 직원이 전수받아 프랜차이즈화 한 '교촌치킨'(1991년 개업)이 본격적으로 널리 알렸다. 달콤 짭짜름한 맛 덕분에 상당히 인기가 있으며, 외국인들도 선호한다. 참고로 갈비구이에 쓰이는 양념으로 만든 일명 갈비 치킨은 간장치킨의 한 종류이다.
  • 마늘치킨 : 튀김옷에 마늘을 첨가하여 만드는 조리법. 참고로 생마늘은 기름에 장시간 튀기면 타기 때문에 마늘 파우더를 넣는 게 일반적. 기원은 1970년 개업한 문래동 마늘통닭. 참고로 가끔씩 간장소스에 간마늘을 둠뿍 넣은 다음 프라이드 치킨 위에 끼얹어서 내놓는 것도 마늘치킨으로 보기도 하는데, 튀김옷과 간마늘이 따로놀기 때문에 호불호가 심하게 갈린다. 참고로 외국에서도 튀김옷에 매운맛 포인트를 주기 위해 마늘 파우더를 첨가해서 만드는 경우가 오래 전부터 있있기 때문에 온전한 한국식 치킨 레시피로 보긴 힘든 측면이 있다.
  • 파닭 : 순살치킨에 채썬 파를 얹어서 먹는 레시피. 뼈 있는 치킨은 파와 함께 먹는 게 힘들어 보통의 파닭은 순살치킨을 베이스로 하며, 위에 언급된 간장치킨 등과 접목시킬 수 있다. 사실 이게 새로운 요리라고 해야하나 좀 고심할 여지가 있는데 그런건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신비한 음식이다. 이것의 파생형으로 양파닭, 마늘닭 등이 등장하긴 했지만 원체 파닭의 인기가 높은지라 그렇게 뜨진 못했다. 파의 매운맛과 향이 치킨의 느끼함을 잡아주는 게 장점이지만, 반대로 이런 향과 맛을 싫어하는 사람은 멀리하는 호불호가 있다. 이것의 변종으로 양파치킨, 깻잎치킨 등이 있다.[14]
  • 닭 부산물 튀김 : 외국에선 보통 닭의 살코기 부분만 먹고 나머지 부산물은 잘 안먹는 경향이 강한데, 한국에선 이런 부산물도 모두 즐겨먹기 때문에 이것들을 치킨과 비슷하게 조리 혹은 곁들여 먹기 좋은 다른 식재료를 곁들이는 일종의 사이드 메뉴가 많다. 대표적인 예로 닭의 위장에 해당하는 모래주머니를 요리한 닭똥집 튀김,[15] 닭의 껍질 부분을 모아서 튀긴 껍질 튀김,[16] 콜라겐 성분이 많은 닭발 튀김,[17] 고구마 튀김 등이 있다. 일부 지방 치킨집의 경우 닭똥집 튀김이나 고구마 튀김을 서비스로 섞어서 주기도 하는 편.

기타 치킨 요리[편집 | 원본 편집]

일본 요리 버전 순살치킨이라고 하면 이해가 쉬운 음식. 다만, 튀김옷을 입히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순살치킨은 옷을 두껍고 바삭하게 튀긴다는 차이점이 있다.
토막내어 튀긴 닭고기를 여러가지 소스로 볶아서 완성하는 중국 요리. 소스에 강한맛을 내는 향신료를 듬뿍 가미하는 게 특징이다. 참고로 두 음식은 비슷하지만 차이가 있는데, 깐풍기는 맵고 짠 소스를 튀김 겉표면에 묻히는 스타일 / 라조기는 맵고 단 걸죽한 소스에 푹 담가서 볶는 스타일이다.
둘 다 미국 요리로 버팔로윙은 닭낡개를 튀겨 핫소스에 버무린 것이다. 특히 미국에선 버팔로윙을 매우 즐겨먹는 편. 와플 치킨은 와플 위에 프라이드 치킨을 얹고 단맛이 강한 메이플 시럽을 뿌려서 먹는 미국 남부식 스타일이다.
자메이카 요리로 맵고 강한맛을 내는 다수의 향신료로 닭을 염지한 다음 오븐에 넣어 천천히 익히는 식으로 만든다.

치킨집[편집 | 원본 편집]

한국에선 치킨을 매우 즐겨먹기 때문에 이를 판매하는 업장을 주변에서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다. 창업 진입장벽이 진입장벽이 낮은 편이라[18] 프랜차이즈부터 개인 사업까지 많이 열고 있기 때문. 오죽하면 전 세계 맥도날드 매장 수보다 한국의 치킨집 갯수가 더 많다.[19]

수요든 공급이든 인기가 많은 만큼,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성공하기 힘든 레드오션 시장이다. 많이 여는 만큼 많이 닫는 사업.

일부 치킨 프렌차이즈의 본사들은(BBQ 등) 가격을 앞장서서 올리고 있다. 나쁜 놈들 특히 BBQ의 경우 적정 가격선이 3만원이니 그만큼 인상해도 좋다는 발언을 해서 소비자들의 공분을 산 이야기가 매우 유명. 사실 프렌차이브 업체의 치킨값 인상은 점주가 아닌 본사측에서 부추기고 있는데, 재료값 등을 수시로 올리기 때문이라고 한다. 최근엔 인건비 인상을 핑계로 일부 치킨 프렌차이즈가 앞장서서 배달비를 따로 받게 되었고, 이걸 너도나도 따라하게 되면서 배달비를 별도로 안받는 치킨집이 극히 드물어진 상태다. 예전엔 배달비 없이 치킨을 16000원에 먹을 수 있었으나, 물가상승과 배달비 등의 영향으로 2022년 기준 수도권에선 20000원대 중후반 혹은 비싸면 30000만원대 치킨도 등장한 상태. 때문에 포장(직접 집으로 배달) 손님이 늘어나고 있다. 집 주변에 치킨집이 없다면

그리고 2022년 중반부터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가격상승에 대항하기 위해 홈플러스에서 자체 브랜드 상품인 당당치킨을 약 7000원대의 가격에 판매하며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으며,[20] 타 대형할인매장에서도 이를 따라하고 있다.

프랜차이즈[편집 | 원본 편집]

전국적으로 지점을 내고 있는 업체 몇곳만 나열한 것이며, 특정 지역에서만 영업하는 프랜차이즈도 상당히 많다는 걸 알아두자.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기내식 단골 질문이기도 하다. "취킨 오어 뷔-프?"
  2. 열면 망할게 뻔할텐데 굳이 오픈하는 것은 일단 안정적이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수요가 엄청난 시장이다. 몰론 도태되기도 쉽다.
  3. 닭다리 부분에만 손잡이용 뼈가 붙은 넓적다리 튀김. 유난히 크리스마스때 수요가 폭발적으로 생긴다.
  4. 화북지방과 화남지방의 지역차가 상당히 크며, 중국 KFC도 수도 베이징의 영향인지 치밥메뉴가 상대적으로 매우 적다. 중국식 닭튀김과 밥을 같이 먹는 것은 논외.
  5. 이 두 메뉴가 미국 KFC와 한국 KFC의 매출량이 정반대이다. 미국은 절대적으로 오리지날을 선호하고, 한국에서는 절대적으로 크리스피를 선호한다.
  6. 뼈 치킨은 뜯는 맛이 좋고 깊은 맛이 나지만 그 외의 단점은 엄청나게 많다. 먼저 잡고 뜯어야 하니까 손과 입에 기름 또는 양념이 묻어서 매우 지저분해 진다. 기름은 잘 안닦일 뿐더러 양념은 매우 끈적거려서 물로 묻혀서 닦아야 하는데 버리는 휴지의 양이 엄청나며 먹고 남은 뼈는 쓰레기가 되서 쓰레기가 생기고 뼈를 버려놓으면 지나가는 길냥이가 봉투를 찢어놓는다. 치아가 안좋으면 깨끗하게 살을 바르기도 어렵다.
  7. 단적인 예로 한국 KFC 버전 순살치킨인 '블랙라벨'은 태국산 닭고기가 원재료다.
  8. 비만을 경계하고 건강한 식습관을 강조하는 현지 사회 분위기로 인해 기름에 조리한 치킨보다 이걸 장려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다.
  9. 참고로 로티세리(Rotisserie)는 꼬챙이에 꿰어서 조리한 음식을 통칭하는 말이다.
  10. 참고로 이 경우엔 닭의 크기가 좀 작아서 1마리를 여럿이서 먹으면 양이 안차는 경우가 많다.
  11. 고추장을 베이스로 물과 설탕 같은 단맛이 나는 재료를 많이 가미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매운맛은 상당히 옅은 게 일반적. 물론 눈물이 쏙빠질만큼 매운 특제양념을 가미한 버전도 존재하는데, 이 경우엔 '매운 양념치킨'이라고 별도로 표기를 해준다.
  12. 참고로 단맛 + 새콤한 맛을 내기 위해 딸기잼을 넣는 게 원조 레시피. 최근엔 딸기잼의 단가가 많이 올랐기 때문에 더 저렴한 물엿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
  13. 참고로 조각 후라이드의 시초는 '림스 치킨', 최초 치킨CF를 찍은 브랜드는 '스모프양념통닭'이다.
  14. 참고로 깻잎치킨의 경우 프라이드 치킨 위에 그대로 얹으면 맛과 모양새가 영 아니라는 점이 많이 지적되어 최근엔 거의 사라졌고, 요즘은 튀김옷 반죽에 잘게 조각낸 깻잎을 넣은 조리법이 많이 쓰인다. 이러면 깻잎향이 많이 밤감되고 적당히 입에 감도는 수준이라 먹기 훨씬 편하다.
  15. 순수 근육으로 이뤄진 부위다보니 튀기면 좀 질긴 식감이 호불호가 갈리지만, 순수 단백질로 이뤄졌다보니 지방섭취에 민감한 사람들도 먹기 알맞다. 참고로 서양권에서도 닭똥집을 먹기는 하는데, 튀기는 게 아닌 꼬치구이가 일반적이다.
  16. 사실 이건 외국에서도 많이 먹는 레시피이며, KFC 등에서도 기간한정상품으로 종종 판매하곤 한다. 2010년대 후반 한국 KFC에도 들어와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데 기간을 정하지 않고 상시 판매는 하고 있으나 수량이 정해져 있어 운이 없으면 구입이 힘들 수 있다.
  17. 일반적인 거물급 치킨 프랜차이즈에선 볼 수 없는 메뉴이며, 보통 지방의 소규모 치킨집에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18. 오죽하면 문과든 이과든 결론은 치킨집이란 말이 돌기도 했다.
  19. 국내 치킨집, 전 세계 맥도날드 매장보다 많다 (2015.10.05, 조선일보)
  20. 수량 한정으로 팔기 때문에 편하게 사먹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고 최소 1시간 이상 웨이팅을 하는 수고를 들여야 한다는 점이 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