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訓民正音, 훈민져ᇰᅙᅳᆷ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조선시대 초기에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한다. 명칭인 한문을 번역하면 백성(民)을 가르치는(訓) 바른(正) 소리(音)라는 뜻이다.

한글은 1443년(세종 25년) 훈민정음 28자를 연구·창제하고 3년 동안 다듬고 실제로 써본 후, 1446년 음력 9월에 이를 반포하면서 조선 세종은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 解例本)을 통하여 문자와 천지인을 바탕으로 하는 음양오행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모음은 음양의 원리를 기본으로 만들어졌다. 기본 모음 ', , '를 보면 'ㆍ'는 양(陽)인 하늘(天)을 본 떠 만들고, 'ㅡ'는 음(陰)인 땅(地)을 본 떠 만들었으며 'ㅣ'는 음과 양의 중간자인 인간(人)의 형상을 본 떠 만들었다.

오늘날 남아 있는 훈민정음의 판본 가운데 하나인 훈민정음 해례본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대한민국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판본[편집 | 원본 편집]

훈민정음의 판본에는 크게 해례본(간송본, 상주본), 언해본이 있고, 그밖에 예의본이 있다. 실록본이 있는데, 이는 예의본에 속한다. 이 가운데 완전한 책의 형태를 지닌 것은 해례본이다.

해례본[편집 | 원본 편집]

언해본[편집 | 원본 편집]

예의본[편집 | 원본 편집]

해례(解例)와 예의(例義)가 모두 포함된 해례본과 달리 예의 부분만 들어 있는 것을 예의본이라 부른다. 그런데 이 예의본은 단행본이 아니라, 세종실록과 희방사판(喜方寺版) 월인석보에 실린 것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이 책의 의의[편집 | 원본 편집]

이 책은 한글의 창제 원리를 설명하고 있으며, 중세 한국어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히 중요한 책이다. 《해례본》에 포함되어 있는 있는 예의(例義)는 특히 창제 당시의 자체(字體)를 그대로 보이고 있어서 그 중 가장 높이 평가된다. 또한, 해례는 오랫동안 문제로 삼던 글자의 기원 등 여러 가지의 의문점을 밝혀 주고 있다.

1940년 안동에서 발견된 간송본(국보 70호)과 2008년 상주에서 발견된 상주본 모두 한글 창제 원리를 풀이한 한문으로 된 해설서다. 훈민정음 창제 3년 뒤인 1446년(세종 28년) 편찬됐다. 서울 간송미술관에 있는 훈민정음 해례본 간송본과 동일한 판본이지만 상주본은 간송본보다 보존 상태가 좋고 학자의 어문학적 견해가 많아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예의본은 해례본이 발견되기 이전에 훈민정음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일차적 문헌이었다.

여담[편집 | 원본 편집]

Hunmin jeong-eum.jpg

여담으로 훈민정음의 책 제목은 솅종엉졩 훈민졍음 인데 중세국어식으로 발음하면 셔이종어져이 훈민졍음이 된다. 여기다 방점까지 반영해서 성조를 추가하면 중국어 느낌이 난다. 중세국어나 고대 한국어의 'ㅓㅣ'나 'ㅏㅣ'가 'ㅔ'나 'ㅐ' 단모음으로 변화한 것이다. '에'는 '어이', '애'는 '아이', 'ᄋퟄ'는 '이이', 'ᄋᆘ'는 '이아'로 읽으면 된다. 몽골어에서 볼 수 있는 이중모음이랑 비슷하다.

나랏말ᄊᆞ미도 '나'라스'말'ᄊᆞ'미'가 된다. 라스를 한 글자처럼 발음한다.

각주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훈민정음 문서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