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파엘 코레아

라파엘 비센테 코레아 델가도(Rafael Vicente Correa Delgado, 1963년 4월 6일~ )는 에콰도르정치인이자 경제학자로, 제91대 에콰도르 대통령을 역임했다.

생애[편집 | 원본 편집]

코레아는 중산층 집안에서 출생했다. 그렇지만 아버지가 5년간 마약사범으로 감옥에 수감되면서 어려움을 겪었고 고등학교 때도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는데, 그럼에도 콰야킬 가톨릭 산티아고 대학에 진학하면서 경제학을 전공했다. 졸업 후에는 성 프란시스코 회의 지원을 받아 Zumbahua라는 소도시에서 몇년간 아이들을 가르쳤다. 그리고 나서 벨기에 루벤 대학교로 유학 가서 석사 학위를 따냈으며 이후로 에콰도르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에도 참여하다가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로 유학 가서 조지프 스티글리츠의 제자가 되며 박사 학위를 따냈다. 이때 그는 장하준과도 인연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한국에 대해서 상당히 잘 알게되었다고 한다.

2005년에 알프레도 팔라시오 대통령 치하에서 경제재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알프레도 팔라시오 대통령도 국제통화기금(IMF)의 긴축정책안을 수용하려고 하자 이에 적극적으로 반발하여 경제재무부 장관직을 사퇴했다. 그의 행동은 무례하기는 했지만 IMF에 질릴대로 질린 여론의 지지를 얻었고[1] 경제학자라는 직함도 달고 있기 때문에 페루의 오얀타 우말라와는 다르게 압도적으로 지지를 받으며 알바로 노보아를 앞도적으로 누르면서 당선되었다. 그는 집권 초기부터 차베스, 에보 모랄레스와 상당히 친하게 지내는 모습을 보였으며 OPEC에 재가입하고[2] 개헌을 통해 여러 개혁안과 대통령의 권한 강화 등을 이뤄냈다. 물론 야권의 반발을 사게 되었지만 적절하게 타협을 해서 넘어가기는 했다.

2008년 하반기에 유가가 폭락하면서 2009년에 채무불이행을 선언했지만[3] 상당히 정치적인 목적이 큰데다가 2010년에 괄목한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며 회복하는데 성공했고 브라질과도 채무조정을 성공적으로 해냈기 때문에 큰 탈없이 지나갔다. 2010년에 교육개혁안과 경찰개혁안과 관련해서 교사들과 경찰관들이 대거 반발하면서 감금을 당하기까지 했지만 반발은 무마되었고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에콰도르는 경제적으로 건실하게 성장세를 이어갔고 월급 수준도 크게 올라갔다. 그러나 2015년에 유가폭락으로 세수가 급속히 줄면서 가용예산이 크게 줄어들었고 이로 말미않아 키토 지하철 건설이 지연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를 일단 부유층들을 대상으로 한 세금 신설도 하고 예산 삭감도 단행했지만 경기가 크게 침체되었고 부유층들을 대상으로 한 세금신설로 콰야킬 일대 부유층들이 대거 반발하여 시위가 상당한 규모로 일어나서 상당한 위기에 처했기도 했다. 그래도 2016년 1분기에는 유가가 2000년대 초반 이래 최저수준을 보이는 수준에서 경상수지 흑자를 내고 유가도 바닥에서 올라가면서 그런대로 경제위기 국면이 끝나나 싶었는데 2016년 에콰도르 지진 국면에서 전두지휘했지만 수습에 있어서는 상당히 무능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지진 피해자들에게 상당히 까이는 편이다. 확실히 경제학자라서 그런지 피해비용 마련안을 재빠르게 만들기는 했지만 피해복구가 그리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컸다. 여하튼 지진 사태가 지나고 나서는 외교 노선도 조금 변화했다.

여하튼 이런저런 상황에서도 여러모로 권위주의적인 면모를 드러내기도 했다. 그러나 상당히 권위주의적인 면모를 드러냄에도 비교적 높은 지지를 얻었는데 1979년 민주화 이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20여 년 동안 뒤통수만 맞은 영향이 컸다. 사실 우파측으로 선출되나 좌파측으로 선출되나 IMF의 등쌀에 독자적인 경제정책 같은 건 제대로 짤 수 없었던 상황이었는데 라파엘 코레아는 그간의 대통령 가운데서 오랫만에 독자적인 경제정책을 진행한 인물이라서 에콰도르인이 볼 때는 굉장히 나은 대통령 정도로 보인다는 듯하다.

대한민국과의 관계[편집 | 원본 편집]

장하준하고 친하게 지내는데다가 경제정책에 있어서 한국의 사례를 상당히 참고하는 편이기 때문에 한국에 우호적인 인물이지만 안습하게도 한국에서는 한국 언론에서 잘 보도되지 않아서 그리 유명한 인물이 아닌데(...) 에콰도르 자체가 그리 큰 나라가 아닌데다가[4] 한국 언론 특성상 영미권 언론 기사를 받아쓰기 하는 경향 때문인 듯.

각주

  1. 에콰도르 역사에서 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까지는 IMF 강점기라고 해도 결코 틀린 말은 아니며 좌우 가릴 것 없이 뒤통수 치기로 일관했던 것도 바로 이 문제와 연관이 있다.
  2. 에콰도르도 1970-1980년대에 걸쳐 OPEC의 회원국이었던 시절이 있었지만 1980년대 중반의 저유가로 인해 탈퇴했다.
  3. 이때가 한창 유가가 하락했기 때문에 유가하락으로 디폴트를 선언한 것으로 보이지만 사실 유가하락과는 별로 관련이 없는 문제다. 2015년 이후로 베네수엘라에서 심심치않게 얘기되는 디폴트라는 비교 자체가 불가능하다.
  4. 다만 남미 기준에서나 작은 나라지 당연히 남한보다 영토가 훨씬 넓고 남북한 합쳐도 에콰도르가 더 넓다.